DOI QR코드

DOI QR Code

Estimation of K-factor according to Road Type and Economic Evaluation on National Highway

일반국도의 도로 유형별 설계시간계수 산정 및 경제성 평가

  • 김태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 융합연구소) ;
  • 오주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 융합연구소)
  • Received : 2015.06.05
  • Accepted : 2015.06.22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Road type classification and K-factors are important role when design of number of lane. In this study not only classifies road type and estimating of K-factor but also economic evaluation tries for feasibility verification. Road type analysis results, time of day traffic volume variation, weekend-factor and vacation-factor are large in recreation roads. Weekday traffic volume and weekend traffic volume are similar patterns in provincial roads. AADT is high and time of day traffic volume variation is small in urban roads. In this study compares with economic analysis that designing of number of lane between KHCM's K-factor and this study K-factor. Economic analysis results, designed roads by this study's K-factor reduce cost about 4,708 hundred million won. So this study's K-factor is economical on provincial 4 lane roads.

도로 유형 분류 및 설계시간계수는 도로의 차로수 설계 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유형분류 및 설계시간계수를 추정하였으며, 설계시간계수의 타당성 입증을 위해 경제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도로 유형의 분석 결과 관광부 도로는 일교통량 편차가 크고 주말 계수, 휴가철 계수가 높았다. 지방부 도로는 평일 교통 패턴과 주말 교통 패턴이 유사하고, 도시부 도로는 AADT가 높고 일교통량 편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곡점 탐색을 통하여 설계시간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설계시간계수를 바탕으로 차로수를 산정하여 도로용량편람의 설계시간계수로 차로수를 산정하였을 경우와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경제성 분석결과 본 연구의 설계시간계수로 도로 설계 시 4,708억 원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 결과의 지방부 4차로 도로에 대한 설계시간계수가 경제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도로교통량 통계연보, 국토교통부, 2013.
  2. 국토교통부, 2013년 도로업무편람, 국토교통부 도로정책관실, 2013.
  3. 국토해양부, 도로용량편람, 국토해양부, 2013.
  4. 국토해양부, 도로교통량 조사 지침, 국토해양부 예규 제 2012-252호, 2012.
  5. 문미경, 장명순, 강재수, "설계시간교통량 산정방법 개선,"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5호, pp.61-71, 2003.
  6. 김범진, 손영태, "도로 설계시 도로의 군집별 K-factor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 제105호, pp.62-73, 2006.
  7. 김상구, 강선욱, 김영춘, 고승영, "도시부 고속도로 설계시간계수(K) 추정방법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제시," 대한교통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11-121, 2010.
  8. 김정환, 설계시간교통량 순위곡선을 이용한 설계 시간계수(K) 추정 : 경기도지역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9. 임성한, 류승기, 변상철, 문학룡, "일반국도의 중방향 설계시간 교통량 추정 모형," 한국 ITS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p.13-22, 2012.
  10. 임성한, 하정아, 오주삼, "요인분석을 활용한 일반국도 유형분류," 한국 도로학회 논문집, 제7권, 제3호, pp.43-52, 2005.
  11. 조준한, 김성호, 노정현, "확률적인 중방향 설계 시간 교통량 산정 모형에 관한 실험적 해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7권, 제2호, pp.23-34, 2009.
  12. 조한선, 이동민, 김영춘, 전국 교통혼잡비용 추정과 추이 분석, 한국교통연구원, 2013.
  13. 하정아, "일반국도 도로유형별 설계시간계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ITS학회 논문지, 제12권, 제2호, pp.52-62, 2013.
  14. 한국개발연구원, 도로.철도 부문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완 연구 [제5판], 한국개발연구원, 2008.
  15. 한국개발연구원,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도로부문의 유지관리비 추정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9.
  16. 한국도로공사, 적정차로수 산정을 위한 설계시간계수 연구, 한국도로공사, 2007.
  17. R. C. Don, Use of Short-term interval counts to determine K Factors, Oreg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6.
  18. L. Dykstra, D. McLeod, and A. Piszczatoski, "Standard K Factors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Design," ITE journal, Vol.81, No.11, pp.20-25, 2011.
  19. L. Liggett, M. Burris, and S. Turner, "Analysis of Seasonal and Day-of-Week Traffic Patterns at National Parks,"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2119, pp.74-82, 2009.
  20. U. 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raffic Monitoring Guid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