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Couples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 및 관계 증진 프로그램 개발

  • Received : 2015.06.02
  • Accepted : 2015.07.13
  • Published : 2015.1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enrichment programs for married multicultural couples and verify its effects. This preliminar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results from reviews of existing intervention programs, participants' interview for their needs and professionals' feedback on program. The program includes 11 sessions(once a week; 2 hours per session) focusing on communication strategies and related activities using marital counseling. Four multicultural couples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Qualitativ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program, including voice recording files, activity sheets, and filed notes cond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we could find the intervention program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multicultural couples. Specifically, the intervention program could (1) enhanced intimacy in the couples, (2) started conversation and improved communication patterns between the couples. And also (3) modes of communication were changed to mor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through this program. The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yed a catalytic role for marital conversation in multicultural couples and used professional counsel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in solving and managing marital confli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부의 특별한 개별적 요구에 기반을 둔 부부 의사소통 및 관계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 효과를 살피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프로그램은 기존 프로그램 및 선행연구 검토와 참여자의 요구조사, 전문가 면담의 과정을 통해 개발되었고, 4쌍의 다문화가정 부부에게 11주간(주 1회, 회당 120분) 부부 대화기법, 부부 상담을 활용한 부부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되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수집된 녹음파일, 활동지, 연구자의 현장노트 등의 질적자료를 통해 살펴본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정 부부의 친밀성이 향상되었고, (2) 부부간의 대화가 증가되었으며, (3) 특히 부부간의 의사소통 방식은 "역기능적 의사소통"에서 "협력적인 의사소통"으로 변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변화가 부부관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 부부대화의 물꼬를 열었다는 점과 부부갈등을 해결하고 관리하기 위해 의사소통 전략과 전문적인 상담지원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상림, "혼인이주 현상에 대한 인구학적 조망: 전망과 과제," 한국인구학, 제36권, 제2호, pp.105-127, 2012.
  2. 법무부 2014년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2014.
  3. 김혜영,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족정책: 이념과 정책의 탈구," 여성연구, 제87권, pp.7-43, 2014.
  4. 위인백, "인권과 사회통합 관점에서 본 여성결혼 이민자 관련 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5호, pp.317-327,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17
  5. 김금희, 김영순, 전예은, "결혼이주여성 가정의 부부간 협력적 의사소통에 나타난 사회적 상호작용 연구," 언어와 문화, 제9권, 제2호, pp.73-100, 2013.
  6. 한재희, 한국적다문화상담, 학지사, 2011.
  7. 안전행정부 외국인 수 통계자료, 2014.
  8. 한주리, 김인영, "다문화 가정의 부부 갈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 갈등 형성과 대처를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9권, pp.159-196, 2012.
  9.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21-2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221
  10. 김계하, 선정주, 오숙희, "여성 결혼이민자 남편의 스트레스, 자존감 및 무력감,"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29-39,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29
  11. 김연수, "가족 탄력성 접근을 활용한 여성 결혼 이민자대상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4호, pp.59-90, 2010.
  12. 연영란, 양수, "부부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 갈등해결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50-261, 2012.
  13. 최진아, 신희천, 김혜숙, 이현서, "도시지역 다문화가정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 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4권, 제3호, pp.505-531, 2012.
  14. 박남숙, 연문희, "부부성장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 연구, 제3권, 제2호, pp.337-364, 2002.
  15. 박수선, "신혼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건강가정지원센터 신혼기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1권, 제1호, pp.85-98,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1.085
  16. 원복연, 박태수, 허철수, 김성봉, "현실치료를 적용한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검증," 상담학연구, 제14권, 제6호, pp.3283-3305, 2013.
  17. 이선희, 임성문 "통합적 행동 부부치료에 기초한 기혼여성의 결혼 만족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한국 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5권, 제3호, pp.449-476, 2013.
  18. 정지명, "TSL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직장인의 결혼만족도, 부부적응과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 연구, 제38권, pp.125-148, 2013.
  19. 한정희, 가트맨 부부치료 프로그램의 한국부부 집단상담 적용 및 효과검증,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0. 최미나, 유평수, "Gottman의 이론을 적용한 다문화가정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9권, 제1호, pp.79-102.
  21. 김정옥, "다문화가족을 위한 통합치료적 부부관계향상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8권, 제3호, pp.157-177, 2013.
  22. 소병숙, 정혜정, "결혼이민여성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 이론을 기초로,"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31-151, 2009.
  23. G. Calvo(1958), Worldwide Marriage Encounter Korea 2010, 한국 ME발표팀 지침서, 월드와이드 매리지 엔카운터 한국협의회, 2010.
  24. Virginia Satir(1991), 아름다운 가족, 나경범 역, 창조문화, 2003.
  25. Hendrix, Harville, Keeping The Love You Find, Atria books, 1998.
  26. 최연자, 이경완, 정춘화, "나 전달법과 자기노출 훈련이 여대생의 자기 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정신건강 학회지, 제17권, 제4 호, pp.461-470, 2008.
  27.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2nd ed.), Sage Publication, California,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