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the Implementation Mechanism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South Korea and the U.S.

한국과 미국의 가정과 교육과정 실행 과정 사례 연구

  • Received : 2015.08.26
  • Accepted : 2015.09.29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Curriculum may be defined as everything students learn at school or the specific plan of a subject that students are supposed to learn. The purpose and goals of the curriculum or who is in charge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may differ by country. This study aimed at comparing the mechanisms in which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Korea and the Unite States at different levels. Considering that Korean government now supports increased autonomy of schools, allowing them to execute curricula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s, it is meaningful tha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implementation mechanisms of two countries are explored. Specifically, middle schools in a City of Kyung-gi Province in South Korea and three states(Wisconsin, Ohio, and Washington states) in the United States are examined. The curriculum documents at different levels as well as study plans used by actual teachers are compared for this purpose. In case of South Korea, the nation state is in charge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 curriculum document defines the educational contents to detail in order to provide standardized learning experience to students. This type of closely controlled system warrants standardized educational contents and thus allows nation-wide assessment using standardized measures.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accommodate diversities among students in terms of aptitudes and learning styles, and also limits creativity enhancement or integr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In comparison,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is rather loosely defined, and more autonomy is granted to schools and teachers. Each of these two different systems may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ir ow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to curriculum development as well as to the development of framework and guidelines to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교육과정은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모든 것 혹은 학생들을 위한 교과의 구체적 계획인 교육과정으로 정의된다. 이 교육과정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교육과정의 주체는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다양하다. 이 과정에서 한국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경기도 교육청의 가정과 교육과정 및 중학교와 고등학교 각 1개교의 교육계획서, 수업 계획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미국의 국가수준의 내용표준을 포함하여 3개 주의 교육과정과 워싱턴 주에 소속된 중등학교에서의 지도계획서과 평가계획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를 맥락적인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의 경우는 국가가 교육과정의 주체이며, 교육과정 기초연구를 시작으로 교과교육과정 고시와 교육과정 해설서를 제시한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출판사에서는 전문가 집단으로 집필진을 구성하여 교과서, 교사용지도서 등을 집필하고, 이를 시도교육청 및 각급 학교에 보급한다. 이 중에서 각급 학교의 교사는 가정교과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교과서를 선택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mechanism)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 운영의 방식은 교육과정의 통일성을 기해 학생들을 동일한 척도로 교육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으나, 획일화된 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한국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시도교육청 수준에서 재구조화하여 학교 교육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과 교육과정 운영의 주체가 다른 미국과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그 장단점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이 연구를 통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개정 방향은 물론 가정교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지침(framework) 및 안내(guidelines)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