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총담관담석의 내시경 치료 후 잔여 담석의 위험인자

Risk Factors for the Presence of Residual Bile Duct Stones after Endoscopic Treatment of Stones of the Common Bile Duct

  • 황진원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내과) ;
  • 최정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내과)
  • Hwang, Jin 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Jung 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150000

초록

목적: 총담관담석의 내시경 제거술 이후 발생하는 잔여 담석은 재발성 총담관담석으로 발현하거나 총담관담석으로 자라는데 핵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된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총담관담석의 내시경 제거술 후 잔여 담석과 관련이 있는 인자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7월부터 2013년 6월까지 부산백병원에서 총 담관담석으로 생애 처음 내시경 제거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잔여 담석이 발견된 환자 55명, 잔여 담석이 발견되지 않은 환자 281명을 선정하여 후향적으로 환자 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총담관담석의 성상, 혈액학적 검사 결과, 유두부 주위 게실의 유무, 기계식 쇄석술 시행 유무, 유두부 풍선확장술 단독 사용 유무, 다발성 총담관담석의 동반 유무, 총담관담석의 크기, 총담관의 직경, 담낭 담석의 존재 유무, 이전에 담낭 절제술 시행 유무, 총담관담석의 내시경 제거술 시행 후 담낭 절제술 시행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기계식 쇄석술을 시행 받은 경우, 10 mm 이내의 유두부 풍선확장술만을 시행한 경우, 다수의 총담관담석을 제거한 경우, 총담관담석의 크기가 1 cm보다 큰 경우가 잔여 담석의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10 mm 이내의 유두부 풍선확장술만을 시행한 경우(OR, 3.174; p = 0.000), 4개 이상의 총담관담석을 제거한 경우(OR, 2.459; p = 0.013)가 잔여 담석의 발생에 관여하는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결론: 10 mm 크기 이내의 유두부 풍선확장술 단독 사용, 4개 이상의 총담관담석이 동반된 경우가 총담관담석의 내시경 제거술 후 잔여 담석의 발생과 관련된 독립된 위험인자이고 이런 인자들이 동반된 환자의 시술 시 더욱 주의를 기울임과 동시에 2차 내시경 역행 담췌관조영술을 고려해야 하겠다.

Background/Aims: Stones remaining after endoscopic treatment of common bile duct (CBD) stones may evolve into recurrent CBD stones or serve as nuclei for the growth of new CBD ston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the presence of residual stones after endoscopic treatment of CBD stone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55 patients with residual stones were enrolled as the case group and 281 patients without such stones served as a control group. We collected information on age, sex, stone characteristics, laboratory findings, the presence/absence of a periampullary diverticulum, use of mechanical lithotripsy, use of (single-procedure) endoscopic papillary balloon dilatation (EPBD), presence/absence of multiple CBD stones, CBD stone size, CBD stone diameter, whether CBDs were associated with gall bladder stones, and histories of prior cholecystectomy and cholecystectomy performed after endoscopic treatment. Results: Upon univariate analysis, mechanical lithotripsy, single-procedure EPBD, the presence of multiple CBD stones (more than four), and CBD stone diameter greater than 1 cm were risk factors for the presence of residual stones. Upon multivariate analysis, single-procedure EPBD (odds ratio [OR], 3.174; 95% confidence interval [CI], 1.68-6.00; p = 0.000), and more than four CBD stones (OR, 2.459; 95% CI, 1.24-4.86; p = 0.010),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the presence of residual stones. Conclusions: Single-procedure EPBD and the presence of more than four CBD stones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the presence of residual stones. Particular care, featuring meticulous inspection, is necessary when treating patients with these risk factors. A second procedure,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may be requir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