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건설교통부. (2006). 국토공간계획지원체계(KOPSS) 구축사업 2006년 준공보고서: 도시기반시설 입지배분모형(모형 2).
- 김현중, 이성우, & 조덕호. (2011).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공간적 형평성 및 입지 효율성 분석. 농촌경제, 34(4), 1-24.
- 나준엽, 정남수, & 이정재. (2006). 정보편익에 의한 농촌생활환경시설의 계획 모델 개발. 농촌계획, 12(4), 77-82.
- 남영우. (2007). 도시공간구조론. 서울: 법문사.
- 남윤철, & 박경옥. (2010). 노인장기요양시설의 현황 및 Web GIS 분석에 의한 농촌지역 요양시설과 보건소.병원간의 접근성. 농촌건축, 12(4), 29-37.
- 박미정, 윤도식, 진현승, & 신민지. (2014). 지니계수 분해법을 이용한 농촌마을 시설물의 지역 격차 분석. 농촌계획, 20(3), 11-20. https://doi.org/10.7851/ksrp.2014.20.3.011
- 송미령, 박시현, 성주인, 김광선, & 권인혜. (2009). 지역발전정책 변화에 대응한 농어촌정책 방향 설정 및 농어촌서비스기준 도입 방안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이성근, 이관률, & 허재원. (2000). 대도시주변 농촌지역의 생활편익시설 이용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성주군을 사례로. 영남지역발전연구, 26, 35-52.
- 이영아. (2013). 사회적 약자를 위한 생활인프라 공급 과제. 국토정보, 382, 29-36.
- 이영아, 진영환, & 변재관. (2000).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도시시설 확충방안 연구. 안양: 국토연구원.
- 이준모, 조순철, & 황정임. (2013).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 측정. 농촌지도와 개발, 20(2), 431-450.
- 조대헌. (2014). 서울시 고령일인가구 분포와 대중교통 접근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2), 119-136.
- 조대헌, 신정엽, 김감영, & 이건학. (2010). 농촌지역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2), 137-153.
- 조판기, 민범식, 송경환, 박세훈, 김성수, 김재철, 김동근, 서민호, 이승욱, & 박근현. (2013). 생활인프라 실태의 도시 간 비교 분석 및 정비 방안. 안양: 국토연구원.
- 최명규. (1998). 농촌지역유형별 자연발생적 생활편익시설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19(2), 887-900.
- 최삼배. (2003). 농촌지역 노인 복지시설의 현황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농촌건축, 5(1), 22-31.
- 최영완, & 김영주. (2014). 농촌마을 에너지 사용 및 공공시설 활용 분석: 농촌어메니티 공공생활시설자원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20(1), 115-125. https://doi.org/10.7851/ksrp.2014.20.1.115
- 추상호, 이향숙, & 신현준. (2013). 수도권 가구통행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한 고령자의 통행행태 변화 분석. 국토연구, 76, 31-45.
- 통계청. (2012). 장래가구추계.
- 통계청. (2013). 2013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 통계청. (2014). 2014 고령자 통계.
- 허만형. (2011).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약자 지원 프로그램. 지방행정연구, 25(4), 95-113.
- 국토교통부 토지이용규제 정보 용어사전(http://luris.molit.go.kr/web/actreg/lawlanguage/WebLawLanguageView.jsp?termsNo=00507&termsIndexNm=)
- Bowen, W. (2002). An analytical review of environmental justice research: what do we really know? Environmental Management, 29(1), 3-15. https://doi.org/10.1007/s00267-001-0037-8
- Getis, A., & Ord, J. K.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 189-206.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2.tb00261.x
- Guagliardo, M. F., Ronzio, C. R., Cheung, I., Chacko, E., & Joseph, J. G. (2004). Physician accessibility: an urban case study of pediatric providers. Health & Place, 10(3), 273-283.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3.01.001
- Hansen, W. G. (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5(2), 73-76.
- Liu S., & ZHu, X. (2004). Accessibility analyst: an integrated GIS tool for accessibility analysis in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Environment and Planning B, 31, 105-124. https://doi.org/10.1068/b305
- McAllister, D. M. (1976). Equity and efficiency in public facility location. Geographical analysis, 8, 47-63.
- Miller, H. J. (1999). Measuring space-time accessibility benefits within transportation networks: basic theory and computational procedures. Geographical Analysis, 31, 187-212.
- Mobley, L. R. (1998). Effects of selective contracting on hospital efficiency, costs and accessibility. Health Economics, 7(3), 247-261. https://doi.org/10.1002/(SICI)1099-1050(199805)7:3<247::AID-HEC319>3.0.CO;2-J
- Murray, G., Judd, F., Jackson, H., Fraser, C., Komiti, A., Hodgins, G., Pattison, P., Humphreys, J., & Robins, G. (2004). Rurality and mental health: the role of accessibility.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8, 629-634. https://doi.org/10.1080/j.1440-1614.2004.01426.x
- Shergold, I., & Parkhurst, G. (2012). Transport-related social exclusion amongst older people in rural Southwest England and Wales. Journal of Rural Studies, 28(4), 412-421. https://doi.org/10.1016/j.jrurstud.2012.01.010
- Weibull, J. W. (1980). On the numerical measurement of accessibility. Environment and Planning A. 12, 53-67. https://doi.org/10.1068/a12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