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Husbands' Experience in Marital Conflict in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ed on Critical Incident, Development and Coping -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 결정적 사건, 전개 및 대처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02.10
  • Accepted : 2015.06.15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at marital conflict in multicultural families, a type of families form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from husbands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with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ask about marital conflict, and then,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analysis. In summar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cisive events that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often experienced in marital conflict with their wives were disrespect toward husbands and parents-in-law, husbands with a low level of trust, feelings of pressure due to financial support for wives' families and children and lack of practical sense about marriage. Second, development of marital conflict that husbands often experienced included aggravated cultural conflict between a couple and between members of the family, difficulty in managing blame and anger, signs of separation or divorce and wives leaving home and limitations in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as to how husbands tried to deal with marital conflict, they tried to be patient and comfort wives,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together, find something that they could focus on, turn to religion or gatherings, use service from government organizations, have trust and develop rules and limit the range of their wives activities.

Keywords

References

  1. 강기정, & 변미희. (2009). 다문화 가족 남편의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변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23-136.
  2. 구향숙. (2013). 다문화가족 남편의 부부갈등대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6, 79-108.
  3. 권구영, & 박근우.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 연구, 14, 187-219.
  4. 권정란, & 이인수. (2005).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35-50.
  5. 김근식, & 장윤정. (2009). 국제결혼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3(1), 223-247.
  6. 김남진, & 김영희. (2010). 기혼남녀의 자아분화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 및 안정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1), 197-225.
  7. 김민경. (2012). 국제결혼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3(1), 223-247.
  8. 김민정. (2009).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사회부적응 우울 및 자아탄력성과 일상생활만족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4) 679-693. https://doi.org/10.5934/KJHE.2012.21.4.679
  9. 김상임. (2011). 소그룹 협동놀이를 통한 사회성 훈련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오남. (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8, 34-76.
  11. 김용배. (2012).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과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우현. (2010). 다문화가정의 결혼초기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인 남편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숙, 이혁구, & 이근무. (2010). 다문화가정 부부의 결혼적응 연구: 근거이론 방법론 접근. 한국가족복지학, 30, 135-166.
  14. 김태임, 권윤정, & 김미종. (2012). 결혼이주여성의 모성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도시거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8(2), 85-97.
  15. 김혜숙, 최진아, 신희천, & 이주연. (2011). 도시 지역 다문화 가정의 부부관계 고찰을 위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2), 299-322.
  16. 나정임. (2011). 다문화 가정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북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노충래, 강현주, & 최미지. (2010). 베트남 여성과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0, 105-134.
  18. 도현심, 김민정, 김상원, 최미경, & 김재희. (2011).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분노가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5), 85-101. https://doi.org/10.5723/KJCS.2011.32.5.85
  19. 박경동. (2007).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재규. (2007).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민자여성의 이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농촌사회문제, 17(2), 75-105.
  21. 박태영, & 은선경. (2010). 다문화가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일본인 아내와 한국인 남편의 부부치료. 한국가족복지학, 167-196.
  22. 박은지. (2011). 부부의 자기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대처방식에 관한 배우자 의사소통의 영향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정희. (2010). 부부갈등과 초등학생의 표출 불안과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17(12), 27-48.
  24. 박형식. (2006).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 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 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6. 성현란. (2011).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2), 219-239.
  27. 성도경, & 이지영. (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22(3), 749-772.
  28. 신경희, & 양성. (2006).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2), 1-8.
  29. 오광실, & 정혜정. (2012).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153-171.
  30. 양영은, & 배임. (2010).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연구, 41(4), 189-224.
  31. 양진향, 박현주, 김송순, 강은정, 변상희, & 방지수. (2012).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가족적응 경험. 대한간호학회지, 42(1), 36-47. https://doi.org/10.4040/jkan.2012.42.1.36
  32. 양철호, 김영자, 손순용, 양선화, 신봉관, & 조지현. (2003).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6, 127-149.
  33. 여성가족부. (2012).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개정 법령.
  34. 오광실, & 정혜정. (2012).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153-171.
  35. 엄명용. (2010). 결혼이민여성의 한국인 남편에 대한 생애사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261-298.
  36. 윤형숙. (2004).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2004년도 한국여성학회심포지엄 발표 논문.
  37. 원서진, & 송인욱. (2011). 결혼이주여성의 개인적, 문화적, 사회적 특성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2) 95-113.
  38. 이미영, & 박혜인. (1995). 전화 상담사례에 나타난 부부 갈등문제와 대응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3(1), 141-154.
  39. 이민식, & 오경자. (2000).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4), 727-745.
  40. 이명자. (2009). 다문화가정 부부갈등 요인과 대책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아진, & 최연실. (2011). 문화적응 유형화를 중심으로 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과 가족상담자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기대.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71-90. https://doi.org/10.5934/KJHE.2011.20.1.071
  42. 이현심. (2014).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 어려움에 관한 질적(CQR)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1(1), 143-176.
  43. 이은정. (2010). 다문화가족 부부의 가족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이영선. (2008).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 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이영숙, & 박경란. (2011). 부부의 성격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결혼기간별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20(4), 731-743. https://doi.org/10.5934/KJHE.2011.20.4.731
  46. 이영희. (2011).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와 다문화, 1(2), 39-78.
  47. 임성옥, 강성률. (2011). 다문화가족 한국인남편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251-272.
  48. 임옥경. (2010). 다문화가정의 부부를 위한 교육내용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임지윤, 문동규, & 김영희. (2009). 아버지의 직장생활 만족도에 따른 부부갈등 및 양육참여가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93-118.
  50. 임춘희. (2014). 다문화가족 재혼남성의 결혼생활 적응에 대한 경험적 연구: 대처행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9(1), 27-54.
  51. 장온정. (2007).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전현영. (2012). 결혼이주여성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연구: 17년 결혼생활, 부러지지 않고 휘어지기. 교육연구논총, 23-47.
  53. 정문자, & 이종원. (2003). 원가족변인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3), 147-164.
  54. 정은희. (2004). 원가족분화, 자아존중감과 부부갈등 대처방식에 따른 결혼안정성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조용환. (1999). 질적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56. 조해선, & 류진아. (2013).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0(1), 265-297.
  57. 채옥희, & 홍달아기. (2008). 피해사례를 통해서 본 결혼이민자남편의 갈등. 한국생활과학지, 17(5), 891-902.
  58. 최미나, & 유평수. (2014). Gottman의 이론을 적용한 다문화가정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1), 79-102.
  59. 최선희, & 전명희. (1999). 우리나라 부부갈등과 부부관계 유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38, 284-308.
  60. 최의신. (2009). 베트남 국제결혼가정의 가족생활실태와 가족기능,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최지영. (2009).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남편으로서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6, 225-254.
  62. 최해금. (2007).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3. 통계청. (2012a). 2011년 다문화인구동태통계.
  64. 통계청. (2012b). 이혼종류별 외국인과의 이혼.
  65. 한국법률상담소. (2012). 다문화가정 상담통계.
  66. 한영숙. (2007).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59-272. https://doi.org/10.5934/KJHE.2007.16.2.259
  67. 홍성희. (2012). 다문화가족의 부부갈등과 갈등대처 전략.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149-175.
  68. 현경자. (2008). 저소득층 부부들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부부갈등 및 결혼결과: 탄력적 대응을 돕는 기혼자의 자기해석. 한국심리학회지, 2(3), 49-79.
  69. 황민혜 & 고재홍. (2010). 부부간 결혼가치관 차이, 오해 및 부부갈등: 의사소통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 여성, 15(4), 779-800.
  70. 황성동 (2013). 알기 쉬운 사회복지조사방법. 서울. 학지사.
  71. Aldwin, C. M. (1994). Culture, stress, and coping. In C. M. Aldwin. (Eds.),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An integrative perceptive(pp. 191-215). New York: Guilford Press.
  72. Berry, J. W. (1996). Immigration, accul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73. Chartier, K. G., & Caetano. (2012). International partner violence and alcohol problems interethic and intra-ethic coupl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7(9), 1780-1801. https://doi.org/10.1177/0886260511430392
  74. Ellis, M. (1991). Critical incidents in clinical supervision and in supervisor supervision: Assessing supervisory issu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3), 342-349. https://doi.org/10.1037/0022-0167.38.3.342
  75. Flores, E., Tschann, J. Marin, B., & Pantoja, P. (2004). Marital conflict and acculation among Mexican American husbands and wive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10, 39-52. https://doi.org/10.1037/1099-9809.10.1.39
  76. Goodyear, R. K., Crego, C. A., & Johnstone, M. W. (1992). Ethnical issues in supervision or student research: A study of critical incident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3(3), 203-210. https://doi.org/10.1037/0735-7028.23.3.203
  77.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coping, andadaptation. New York: Spinger.
  78. Moos, R. H., & Schaefer, J. A. (1993). Coping resources and processes: Current concepts and measures. In L. Goldberg & S. Breznitz(2nd Eds.), 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pp. 234-257). NY: Free Press.
  79.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80. Schwartz, A. L. (2002). Marital quality, acculation, and communication in Mexican American Couples, All Graduate Theses and Dissertation, 1048. Retrived from http://digitalcommons.usu.edu/etd/1048.
  81. Scott, A. E. (2004). Counselor development through critical incidents: A qualitative study od intern experiences during the predoctoral internship.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82. Stake, R. E. (1995). 질적사례연구.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공역. 서울. 창지사.
  83.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3rd ed.).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Cited by

  1.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의지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vol.23, pp.1, 2015, https://doi.org/10.12653/jecd.2016.23.1.0039
  2. Marital Decision Process of Older Women and Younger Men Couple: Focusing on 30-40 years old Women vol.54, pp.None, 2015, https://doi.org/10.16975/kjfsw.2016..54.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