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Decision Making of People Migrated to Rural Area for Farming - Case of Gyeongsangbuk-do -

귀농·귀촌의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6개 시·군을 대상으로 -

  • Woo, Seong-Ho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and Welfare Administration, Yeungnam University) ;
  • Lee, Seong-Keun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and Welfare Administration, Yeungnam University)
  • 우성호 (영남대학교 지역및복지행정학과) ;
  • 이성근 (영남대학교 지역및복지행정학과)
  • Received : 2015.02.24
  • Accepted : 2015.06.02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cision-making factors of people who have returned to rural areas for farming and reside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20 return farmers of six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buk-Do from September 1st to October 11th 2013. For data analysis, researchers used 280 answered sheets and utilized two-way ANOVA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ree factors of returning to farm which are pull to rural area, push from city, and policy factor. The highest scores of factor is pull to rural area (2.93), the second one is push from city (2.31), and the lowest score is politic factor (2.18). In addition, these three factors of returning to farm are elucidated by environmental variable, economic variable, and information and opportunity provided by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factor of pull to rural area is related environmental variable and the factor of push from city is affected by economic variable. Lastly, politic factor pertains to information and opportunity provided by govern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구. (2006). 귀농자의 귀농유형별 영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2), 23-53.
  2. 강대구. (2007). 귀농동기에 따른 귀농정착과정.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59-98.
  3. 김상균. (2012). 중고령 귀농인 생활만족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성수 외. (2004). 귀농자들의 농촌정착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11(1), 53-65.
  5. 농림축산식품부. (2013). (2012년 )귀농.귀촌인 통계.
  6. 류성호. (2001). 지역특성에 따른 인구이동 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박공주. (2006).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 이주준비 및 적응에 관한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공주 외. (2006). 은퇴 후 귀농인의 농촌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계획, 12(4), 63-76.
  9. 박영일. (1998). 성공적인 귀농을 위한 연구: 귀농사례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은경. (2008). 귀농인의 이주만족도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서규선, & 변재면. (2000). U턴 귀농자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개발. 농촌지도와 개발(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 7(1), 137-153.
  12. 서규선, & 박덕병. (1999). 농업경영인 육성을 위한 작목별 선진농가 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1(3), 1-18.
  13. 성주인, & 송미령. (2007). 농촌 정주수요 조사결과.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4. 성주인 외. (2012). 도시민의 귀농.귀촌실태와 정책 과제. 농업전망 2012.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성주인 외. (2012). 도농상생을 위한 농업.농촌가치의 재발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손능수, & 이재모. (2012). 경상북도 귀농인구 증가에 따른 복지욕구와 정책 방안. 대구: 경북행복재단 정책연구보고서.
  17. 송미령 외. (2006).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 정책대안 개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 오수호. (2012). 귀농.귀촌 가구의 이주.정착 특성과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우종현. (1997). 귀농농가의 발생원인과 적응과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1), 99-113.
  20. 유정규. (1998). 귀농의 현황과 과제. 도시와 빈곤, 34, 23-41.
  21. 윤순덕, 강경하, 박공주, & 이정화. (2005). 도시 장년층의 은퇴 후 농촌이주의사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지, 25(3), 139-153.
  22. 이민관. (2011). 중소도시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이상용. (1999). 귀농인 의식실태 및 안정적 정착방안. 연구와 지도, 40(6), 35-41.
  24. 이정관. (1998). 귀농자의 영농정착과 관련된 특성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희찬, & 김현. (2006). 도시민의 농촌지역 이주의향에 관한 연구. 농촌관광연구, 13.
  26. 임혜영. (1999). 귀농자의 적응과 복지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장동헌. (2009). 지방자치단체의 귀농관련 자치법규의 비교분석-귀농의 조례 및 규칙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7(3), 19-32.
  28. 정일홍, & 이성우. (2010). 농촌이주 도시민의 특성과 공간적 선호, 농촌사회. 20(2), 163-190.
  29. 정철영. (1999). 농업인력의 육성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1(2), 111-137.
  30. 조록환. (1998). 귀농자의 생활실태 분석. 도시와 빈곤, 34, 42-47.
  31. 조혜종. (2006). 새인구론: 인구의 공간적.사회적 접근. 서울: 푸른길.
  32. 통계청. (2012). 베이비부머 및 에코세대의 인구.사회적 특성분석: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중심으로. 대전: 통계청.
  3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농업전망 2011 보고서.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34. Bogue, D. J. (1969). Principles of demography. New york, John Wiley.
  35. Borjas, G. J. (1989). Economic theory of international migr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3(3), 457-485. https://doi.org/10.2307/2546424
  36. Boyle, P., Halfacree, K., & Robinson, V. (1998). Exploring contemporary migration. London: Longman.
  37. Graves, P. E., & Linneman, P. (1979). Household migration: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ults, Journal of Urban Economics, 6(3), 383-404. https://doi.org/10.1016/0094-1190(79)90038-X
  38. Goss, E. P., & Schoening, N. C. (1984), Search time, unemployment, and the migration decision, Journal of Human Resources, 19(4), 570-579. https://doi.org/10.2307/145949
  39. Goss, E. P., & Paul, C. (1990), Union membership, economic rents, and migration behavior, Journal of Labor Research, 11(3), 347-355. https://doi.org/10.1007/BF02685405
  40. King, R. (2012). Theories and typologies of migration: An overview and a primer. Willy Brandt Series of Working Papers International Migration and Ethnic Relations, Malmo: Malmo University.
  41. Lee, E. S. (1966). A Theory of Migration, Demography, 3(1), 47-57. https://doi.org/10.2307/2060063
  42. Massey, D. S., Arango, J., Hugo, G., Kouaouci, A., Pellegrino, A., & Taylor, J. E. (1998). Worlds in motion: Understanding international migration at the end of the millenniu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3. Samers, M. (2010). Migration. London: Routledge.
  44. Schwartz, A. (1973), Interpreting the effect of distance on migr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1(5), 1153-1169. https://doi.org/10.1086/260111
  45. Sjaastad, L. A. (1962). The costs and returns of Human Migr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70(1), 80-93. https://doi.org/10.1086/258726
  46. White, P., & Woods, R.(1980). The geographical impact of migration (eds). London: Longman.

Cited by

  1. 성인교육에서 교수리더십, 학습동기,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귀농·귀촌 학습자를 중심으로- vol.24, pp.1, 2017, https://doi.org/10.12653/jecd.2017.24.1.0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