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ve Weights of the Components of Core Competence Based Learning Outcomes in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ematics)

융합인재교육에서 핵심역량 기반 학습성과 구성요소의 상대적 가중치 연구

  • Received : 2015.08.10
  • Accepted : 2015.09.17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a reasonable assessment of the learning outcomes of STEAM. It presented a learning outcome evaluation method, relative weights of key competencies standard that a learner should cultivate. For this study, a pairwise comparison questionnaire about the key competencies was conducted on the STEAM professionals, and AHP was applied to analyze the priority of main factors of key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capabilities of convergence accomplishment and capabilities of convergent cognition, in the first layer of key competencies, were 39.4% and 36.8%, respectively. In the education evaluation of the STEAM, capabilities of convergence accomplishment and capabilities of convergent cognition showed similar level of importance, and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factor than capabilities of convergence attitude (23.8%). Seco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pabilities of problem solving (20.0%) was highest in the second layer of key competencies, and followed by capabilities of creative thinking (18.3%), responsibility (15.3%), and understanding convergence knowledge (11.0%). Third, it will be a foundation of a competency evaluation, which reasonably evaluates, based on the relative weights, whether to accomplish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TEAM program In addition, this results is expected to become a guide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raise the learning outcome, as well as an education evaluation of the STEAM.

이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의 학습성과에 대한 합리적인 교육평가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융합인재교육에서 학습자가 함양해야 할 핵심 역량 준거의 상대적 가중치를 포함하는 학습성과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융합인재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이원비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핵심역량 요인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계층적 분석기법(AHP)을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역량 1계층에서 융합수행능력과 융합인지능력의 중요도는 각각 39.4%, 36.8% 순으로 분석되었다. 융합인재교육의 교육평가에서 융합수행능력과 융합인지능력은 유사한 중요도 수준을 보였으며, 융합태도능력(23.8%)보다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인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핵심역량 2계층에서 문제해결(20.0%)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창의적 사고력(18.3%), 책임감(15.3%), 융합지식 이해(11.0%) 순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핵심역량의 상대적 가중치 분석 결과는 융합인재 교육프로그램의 교육목표 달성 여부를 상대적 가중치에 따라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역량평가 체제의 토대가 될 것이다. 더불어 융합인재교육의 교육평가뿐만 아니라 교수 학습 과정 개선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가이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0.12.17.). 2011년 업무계획. 저자.
  2.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3. 김진실, 나승일(2004). AHP 방법을 적용한 전문대학 전공수업 평가준거의 가중치 결정. 직업교육연구, 23(3), 45-66.
  4. 박기문 외(2014). 융합인재교육의 핵심역량 구성요인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3), 214-234.
  5. 박기문(2014). 융합인재교육에서의 학습성과 측정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인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234-257.
  6. 박민정(2008).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 분석: 내재된 가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7(4), 71-94.
  7. 박성익(1996). 수업 방법 탐구 : 수업모형.수업전략.수업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8. 백순근, 길혜지, 박경인(2012). 계층분석과정(AHP)을 이용한 중등교사 교수역량 척도의 하위 요인 간 상대적 중요도 분석. 교육평가연구, 25(3), 389-409.
  9. 백윤수 외(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교육부.
  10. 서범종, 이혜종(2011). 2010년 교원능력개발평가 시행 결과 분석-16개 시․도교육청의 종합보고서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집, 32(2), 85-105.
  11.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12. 신재한(2013). STEAM 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13. 이성근, 윤민석(1994). AHP기법을 이용한 마케팅 의사결정. 서울: 도서출판 석정.
  14. 이훈병, 윤건호(2008). 교육연구에서 계층분석과정의 활용가능성 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4), 117-137.
  15. 정명애 외(2008). 융합신산업 육성 발전 방안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업통상자원부.
  16. 정범모(2000). 교육과 교육학. 서울: 배영사.
  17. 정순옥(2007). 위계적 분석과정을 활용한 학교 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정옥란, 이상원(2009). 계층적 분석과정을 활용한 초등실과 교과의 가꾸기 실습에 적합한 식물 선정.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0(1), 147-169.
  19. 정은영, 이상원(2010). AHP를 활용한 초등실과교육과정에 적합한 생활 속의 동물 선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2), 41-65.
  20. 조재주 외(2011).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1), 210-227.
  21. 홍정화(2003). 중학교 기술교과 '제품의 구성과 만들기' 단원에서 계층분석과정을 적용하여 적합한 실습 과제 선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2. 황정규 외(2011). 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학지사.
  23. Dwyer, C. A.(1994). Criteria for performance-based teacher assessments: validity, standards, and issues. Journal of Personnel Evaluation in Education, 8(2), 135-150. https://doi.org/10.1007/BF00972260
  24. Miller, G. A.(1956).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 The Psychological Review, 63(2), 81-97. https://doi.org/10.1037/h0043158
  25. O'connell, W. & Moomaw, W. (1975). A CBC Primer: Competency-based curriculums in general undergraduate programs. Atlanta, GA: Southern Regeonal Education Board.
  26. Saaty, T. L. and Vargas, L.G. (1982) The Logic of Priorities; Applications in Business, Energy, Health, and Transportation. Boston: Kluwer-Nijhoff.
  27. Saaty, T. L.(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9-26. https://doi.org/10.1016/0377-2217(90)90057-I
  28. Saaty, T. L.(1995). Decision Making for Leaders: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for Decisions in a Complex World: 3rd edition. RWS Publications, Pittsbur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