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KNOW): Focused on the Engineering Students in College Career Courses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과대학 진로교과목 수강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8.10
  • Accepted : 2015.09.25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rovement plan of Korea Network for Occupations and Workers(KNOW) in terms of the information quality and usefulness for undergraduate students.'Homework of occupational information exploration'as research instrument was assigned to the engineering students taking career courses at KoreaTech in Chungnam province,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two-hundred sixty six college studen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awareness of KNOW was very low(7.5%), but the mean of preference(73.5) and usefulness of career readiness(70.6) of KNOW were likely to be high. The information quality of KNOW was analysed in terms of both menu bar and evaluative components. In menu bar, the highest mean of information quality was'wage, job satisfaction, and job outlook'menu bar(71.7). On the other hand'task information on the job'had the lowest mean. In evaluative component, the highest mean of information quality was understandability(73.4), whereas the completeness was at the bottom(63.7).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KNOW has the usefulness for engineering students to explore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to make ready for career. Nevertheless, it is needed to publicize KNOW and to redeem menu bar and cont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is online system.

본 연구는 국가차원에서 개발된 온라인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인식과 평가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KNOW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공대 특성화 대학인 K대학교의 진로교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KNOW 사이트 전반에 대한 평가(인지도, 이용자반응도: 애호도, 진로준비 유용성), KNOW 메뉴별 평가(선호도, 만족도, 도움정도, 정보품질)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수강생들에게 <정보탐색 개별과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정보탐색 개별과제>는 학생들이 실제로 관심 갖고 있는 직업정보를 KNOW에서 검색해볼 수 있도록 구성한 인쇄자료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연구 자료 활용에 동의한 진로교과목 수강생 266명의 과제물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NOW에 대한 인지도는 7.5%로 나타났다. 둘째, KNOW에 대한 반응 중 애호도는 평균 73.5점으로 나타났고, 진로준비 유용성은 평균 70.6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정보 검색 메뉴 중, 사용 전 선호도가 가장 높은 메뉴는 '나의 특성에 맞는 직업 찾기'(141명, 53.0%)였다. 넷째, 사용 후 불만족이 가장 큰 메뉴는 '조건별 검색'(104명, 40.6%)으로 나타났고, 가장 도움이 되는 검색 메뉴는 '키워드로 직종 찾기'(87명, 33.1%)로 나타났다. 다섯째, '키워드로 직종 찾기' 하위메뉴에 대한 정보품질 분석결과, '임금/직업만족도/전망' 메뉴가 평균 71.7로 가장 높았고, 반면'하는 일'메뉴는 평균 67.9로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평가 요소별 정보품질 분석 결과, '이해성'이 평균 73.4로 가장 높았고, 반면'완전성'은 평균 63.7로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볼 때, KNOW가 공대 학생의 정보탐색에 유용성이 있지만, 보다 나은 시스템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인지도 향상,'조건별 검색'메뉴 개선, '키워드로 직종 찾기' 메뉴에서 '하는 일 '개선 및'완전성' 보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영, 박가열(2014). 이공계 대학생이 지각한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유용성과 한계.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활용과 미래비전 심포지엄 자료집, 20-67. 한국고용정보원.
  2. 강혜영(2014). 상담교재에 나타난 '정보제공'기법의 정의와 방법에 대한 고찰.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2). 144-164.
  3. 강혜영, 이제경(2008). 진로지도 및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노동부 직업훈련 신교수법 연구과제 개발 보고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4. 김나현(2005). 정보품질 요인의 적합한 구조파악과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박가열, 김균(2014).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과거, 현재, 그리고 의도된 미래.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활용과 미래비전 심포지엄 자료집, 76-117. 한국고용정보원.
  6. 박기문, 이규녀(2009).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103-127.
  7. 서다혜, 강혜영(2014). 취업정보센터 웹사이트 이용자의 컨텐츠 특성에 대한 지각이 이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실천공학교육논문지, 6(2), 111-117. https://doi.org/10.14702/JPEE.2014.111
  8. 이동혁(2010). 대학 진로관련 교과목의 효과성 검증 연구 분석. 상담학연구, 11(2), 657-683.
  9. 이명훈, 이상민, 테라다모리키(2014). 대학생의 진로 관련 인식, 직업기초능력, 직업가치.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2). 58-80.
  10. 이병일(2014). 공공운영 취업정보사이트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서울시 청년일자리 허브연구보고서.
  11. 이시환, 정세현, 김용겸(2001) 웹사이트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터넷 비즈니스 연구, 2(1) 73-118
  12. 이제경, 선혜연, 김선경(2012). 대학생의 효율적 진로상담 체계 구축을 위한 진로문제 유형분와 개입방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센터.
  13. 이정우, 윤성철, 이슬(2003)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정보품질의 차원과 요소들에 관한 연구. 한국 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4. 이지연(2001). 고등교육단계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4년제 일반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15. 임광현, 한상우(2010). 청년층 고용동향분석 및 고용정보 제공웹사이트에 대한 정보접근 및 정보활용 분석. 한국정책연구, 10(3), 319-342.
  16. 임언, 이지연, 윤형한(2004). 이공계 대학생의 전공 및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II. 연구보고서 2004-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임언, 최동선, 강혜영(2006). 대학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18. 정경희, 김형래, 이성열(2007) 취업정보 사이트의 서비스 품질현황 및 비교 연구. 한국 인터넷 정보학회 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8(1), 291-297.
  19. 정철영 외(2006). 대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용역보고서.
  20. 조규만(2007). K사의 고객 정보시스템의 정보품질 평가 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조철호(2012) 취업정보사이트의 웹서비스 품질이 가치,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업탐색유형의 조절효과. 서비스경영학회지, 13(5), 1-29.
  22. 한국고용정보원(2014). 대학생을 위한 취업교육: 진로계획 수립과 노동시장의 이해.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보고서.
  23. 허은영(2009). 대학생 대상 진로지도 교과목 운영의 효과. 직업교육연구, 28(4), 77-94.
  24. 황매향, 손만익, 강혜영(2007). 대학생 대상 진로탐색 교과목 운영의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8(1), 71-91.
  25. Gordon, V. N. (2007). The undecided college student: An academic and career advising challenge(3rd ed.). Illinois: CHARLES C THOMAS.PUBLISHER, LTD.
  26. Lapan, R. T. (2004). Career development: Across the K-16 years. VA: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27. Luzzo, D. A. (2000). C areer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8. Santrock, J. W. (2002). Adolescence(9th ed). 김현정 외 공역(2004). 청년심리학. 서울: 박학사.
  29. Sharf, R. S. (2008). 진로발달이론을 적용한 진로상담[Applying career development theory to counseling, 4/E.] (이재창 외 공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원전은 2006년에 출판).
  30. Super, D. E. (1990). A life-span, life-space to career development. In D. Brown, L, Brooks, & other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2nd ed., pp.197-261). San Francisco: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