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에 대한 담당 교사의 교육요구도 우선 순위 분석

  • Received : 2015.08.10
  • Accepted : 2015.09.25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roperty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for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job training programs so as to develop the capabilities of teachers, the base for effective education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o achieve them, educational need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and the priority of the educational need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were analyzed and suggested. Concret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educational needs of the teacher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as 5.02. There were 23 item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whose educational needs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whole items and for those items and the average of each item, there were F4(The average of patent applications) 6.72, F5(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specification sheets) 6.46, F2(Writing of patent floor plans) 6.39, F3(Writing of patent specification sheets and abstraction) 6.31, A5(Invention method and activity) 6.27, E6(Invention design project) 6.15, H3(Invention commercialization) 5.97, F1(Patent information and application) 5.90, E5(Design obligation) 5.78, E3(Designing process of inventional design) 5.77, A4(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5.57, G2(Patent investigation and classification) 5.47, C2(Thinking method of inventional problem solution) 5.45, E4(Production of inventional design product) 5.45, B5(Inventional patent project) 5.42, A2(Creativity development) 5.26, C4(Inventional problem solving project) 5.26, H4(Invention marketing) 5.26, H2(Analysis on invention commercialization) 5.20, D4(Invention and management) 5.16, C3(Problem solving activity) 5.14, E2(Inventional design devise and expression) 5.11, B3(Actuality of inventional method) 5.08 in order. Second, for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of the teachers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there were 13 item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first rank, 10 for the second rank and 17 for the third rank. The item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first rank were A4(invention and problem solving), A5(inventional method and activity), B5(Invention patent project), C2(Thinking method of inventional problem solution), C4(Inventional problem solving project), E3(Inventional design process), E4(Production of inventional design product), E5(Design obligation), E6(Invention design project), F1(Patent information and application), F2(Writing of patent floor plan), F3(Writing of patent specification sheet and abstract), and H3(Invention commercialization. The item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second rank were A2(Creativity development), B3(Actuality of inventional method), C3(Problem solving activity), D4(Invention and management), E2(Invention design devise and expression), F4(Range of patent demand), F5(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specification sheet), G2(Patent investigation and classification), H2(Analysis on invention commercialization), and H4(Invention marketing). The items for the third rank were the educational contents except the ones of the first rank and the second rank.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에 대한 교사의 교육요구도 우선 순위를 분석하여,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토대가 되는 교원의 역량 개발을 위한 직무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담당 교사 인식에 기반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이러한 교육요구도의 우선 순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에 대한 담당 교사의 교육 요구도 평균은 5.02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가 전체 평균보다 높은 교육내용 항목은 23개이고, 이들 항목과 항목별 평균은 F4(특허 청구 범위) 6.72, F5(명세서 수정 및 보충) 6.46, F2(특허 도면 작성) 6.39, F3(특허명세서와 요약서 작성) 6.31, A5(발명 기법과 활동) 6.27, E6(발명 디자인 프로젝트) 6.15, H3(발명품 사업화) 5.97, F1(특허 정보 및 출원) 5.90, E5(디자인 권리화) 5.78, E3(발명 디자인의 디자인 과정) 5.77, A4(발명과 문제 해결) 5.57, G2(특허 조사 및 분류) 5.47, C2(발명 문제 해결 사고 기법) 5.45, E4(발명 디자인 제품 제작) 5.45, B5(발명특허 프로젝트) 5.42, A2(창의성 개발) 5.26, C4(발명 문제 해결 프로젝트) 5.26, H4(발명품 마케팅) 5.26, H2(발명품 사업성 분석) 5.20, D4(발명과 경영) 5.16, C3(문제 해결 활동) 5.14, E2(발명 디자인의 발상과 표현) 5.11, B3(발명기법의 실제) 5.08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에 대한 담당 교사의 교육 요구도 우선 순위는 1순위에 해당하는 교육내용 항목은 13개, 2순위는 10개, 3순위는 17개로 나타났다. 1순위에 해당하는 교육내용 항목은 A4(발명과 문제 해결), A5(발명 기법과 활동), B5(발명특허 프로젝트), C2(발명 문제 해결 사고 기법), C4(발명 문제 해결 프로젝트), E3(발명 디자인 과정), E4(발명 디자인 제품 제작), E5(디자인 권리화), E6(발명 디자인 프로젝트), F1(특허 정보 및 출원), F2(특허 도면 작성), F3(특허명세서와 요약서 작성), H3(발명품 사업화)이다. 2순위에 해당하는 교육내용 항목은 A2(창의성 개발), B3(발명기법의 실제), C3(문제 해결 활동), D4(발명과 경영), E2(발명 디자인의 발상과 표현), F4(특허 청구 범위), F5(명세서 수정 및 보충), G2(특허 조사 및 분류), H2(발명품 사업성 분석), H4(발명품 마케팅)이다. 3순위는 1, 2 순위를 제외한 교육내용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노마(1998). 직업훈련에 대한 교육적 요구분석: 여성 근로자와 산업체 관련인사를 중심으로. 공업기술교육, 84, 45-67.
  2. 김세직, 정운찬(2007).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창조형 인적자본과 이를 위한 교육개혁. 경제논집, 46(4), 187-214.
  3. 김태훈, 조한진(2012). 발명특허 기초에 대한 발명 교육 참여 교사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직업교육연구, 31(2), 315-338.
  4. 박광렬, 최호성(2011).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31-300.
  5. 배을규(2003). 기업 교육훈련 이해관계자 집단의 교육훈련 평가요구도 조사: 북미지역 핵발전 기업을 대상으로.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5(2): 113-133.
  6. 서혜애 외(2006). 발명교육 내용표준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특허청.
  7. 와타나베 슌스케(2003). 지적재산 경영전략(허재관, 김석현 편역). 새로운 제안.
  8. 유승현(2005). CAI:CAM를 넘어서=CAI: beyond CAE. 한국CAD/CAM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5(1), 1098-1103.
  9. 이규녀, 이병욱(2014). 초중고에서의 발명지식재산교육 핵심 학습 요소 편성 실태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194-215.
  10. 이병욱 외(2007). 발명․특허 특성화고 운영 방안. 특허청.
  11. 이병욱, 김태훈, 강경균(2009). 발명과 디자인 과목의 교재 집필 체제 및 내용 개발에 대한타당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9(1), 219-234.
  12. 이병욱 외(2010). 전문계고 지식재산 실무 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 충남대학교, 한국발명진흥회, 특허청.
  13. 이병욱 외(2013).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 체계 구축 및 활성화 연구. 충남대학교,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14. 이찬주, 이병욱(2012). 태양광 발전 설비 전문교과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우선 순위 분석 연구. 직업교육연구, 31(4), 245-267.
  15. 이찬주, 이병욱, 강경균, 임유화(2013). "발명․특허 기초"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실태 및 요구 조사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1), 105-124.
  16. 이찬주, 이병욱, 이상현(2015).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1), 1-22.
  17. 이춘식 외(2006). 정규 교과를 통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특허청.
  18. 임윤진, 최유현(2015).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 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대한공업교육학회, 40(1), 23-39.
  19. 조대연(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 순위 결정 방안 탐색.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5(2009년 11월): 165-187.
  20. 조명희(2015). 미경험학습자의 교육요구분석을 위한 수정모델에 대한 연구: 스마트교육 교원역량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1. 조한진, 김태훈(2012). 특성화고 수준의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발명특허 교육내용의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2(2). 26-48.
  22. 최유현 외(2012).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 12(1), 148-168.
  23. 최유현, 이동원, 임윤진(2013). 발명교사 표준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기술교육학회, 13(3), 1-21.
  24. 최유현, 이병욱, 문대영, 이한규, 류병구, 강경균(2007). 발명교육 담당 교사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교육요구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7(3), 256-282.
  25. 특허청(2013).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지식재산생태계 구축-특허청 '13년 업무계획 발표-. 2013년 3월 25일 보도자료.
  26. Borich, G.(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