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is a native Korean herbal medical food and a native millet, and Koreans have eaten it as a substitute for rice since ancient times. Foods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have been recorded not only in cookbooks but also in Korean traditional medical books several time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Therapy (食治)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recorded in the literature from 1300 to 1600 from early to mid-Joseon (朝鮮) and provide data required to develop menus for Yaksun (藥膳, herbal food). This study examined Food-Therapy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in 10 types of literatures from the 1300s to the 1600s. and i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a total of 63 tim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cooking method, porridge (粥) was most frequently mentioned in the literature at 27 times. The cooking method of Soup (湯) is described 11 times. Cooking methods such as porridge juice and soup are frequently used since those methods are digestive and absorptive. Other food ingredients described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are white leek (Allii Fistulosi Bulbus) ginger (Zingiber officinale), chicken egg, Allium chinense, sparrow (Passer montanus), rooster liver, Du-si,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L), and white broiler. Other medicinal herbs described with Setaria italica are Panax ginseng (人蔘), Poria cocos (茯笭), Angelica acutiloba (當歸), Ziziphus jujuba (大棗), Liriopeplatyphylla (麥門冬), and cinnamon (肉桂). Food-Therapy using Setaria italica L. Beauv was described as a prescription for stomach and spleen (脾胃), stomach reflux (反胃), defecation and urinary disorder (大小便難), cholera, deficiency syndrome (虛症), and tonification (補益). This focus on promoting health and preventing diseases by strengthening the stomach and spleen and improving defecation and urination using Food-Therapy when herbal medicine was r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