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examined disaster risk from climate change in urban open spaces. This study conducted an assessment depending on type of damage and type of open space, subcategorizing it into flood damage and wind damage, flat park and mountainous park, and classified the assessment items by type into natural factor, artificial factor, and social factor for the purpose of analysis. Our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look at the standardized score for the disaster risk from flood damages in the case of a flat park, Asian Park was higher at 55.800 point than Seoul Forest at 51.775 point, and in the case of mountainous parks, Dogok Park was at 58.428 point and Baebongsan Park was at 58.374 point. To look at the standardized score for disaster risk from wind damage, in the case of a flat park, Asian Park was higher at 64.763 point than Seoul Forest at 61.054 point, and in the case of mountainous parks, Baebongsan Park was higher at 58.533 point than Dogok Park at 55.459 point. This study raised a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for and value of this disaster risk assessment in open space from damages caused by climate change, established an assessment model for disaster risk from damages in open spaces only to attempt risk assessment. Disaster risk of urban green space was enhanced.
본 연구는 도시 내 녹지 공간을 대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재해유형, 녹지공간 유형에 따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수해와 풍해, 평지형 공원과 산지형 공원으로 유형화 시키고, 각 유형별 평가항목으로는 자연적 요소 인공적 요소 사회적 요소로 구분하여 평가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해로 인한 재해 위험도 표준화 점수는 평지형 공원의 경우, 아시아 공원이 55.800점으로 서울숲 51.775점보다 높았으며, 산지형 공원의 경우 도곡 공원 58.428점, 배봉산 공원 58.374점의 지수를 보이고 있었다. 풍해로 인한 재해 위험도 표준화 점수를 살펴보면 우선 평지형 공원의 경우, 아시아 공원이 64.763점으로 서울숲 61.054점보다 높았으며, 산지형 공원의 경우, 배봉산 공원이 58.533점으로 도곡 공원 55.459점보다 높은 지수를 나타냈다. 기후변화 재해로 인한 오픈스페이스 위험도 평가의 필요성과 가치를 제기하고, 오픈스페이스만의 재해 위험도 평가모형을 정립하여 위험도 평가를 시도하였으며, 도시 녹지공간의 재해 위험도를 제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