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Focused on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

초등과학에서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태양계와 별 단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9.30
  • Accepted : 2015.12.08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how developed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on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 affected on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unit of Solar system and Star was selected among 5th grade science curriculum contents to design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Smart learning instruction program utilized a various contents of smart equipment and made learners to do problem solving through their interaction and coope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mart learning instruction improved the science-related attitude and the science learning interes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ignificantly. Sencond, the survey and the individual face-to-face data shows the positive effects of smart learning instruction. Especially, the satisfaction was high on the attitudes and interests in the classroom and the students regarded the classroom activities as interesting games by using the smart devices. On the basic of the conclusions, this work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udies, such as necessity of developments and researches on Smart learning teaching-learning program about other units or other subjects, such as measures of the increasing the intrinsic interest on science rather than Smart learning elicit simple interest and attitude.

본 연구는 '태양계와 별' 단원에 대한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과학 교과 내용 중 '태양계와 별' 단원을 선정하여 설계한 스마트러닝 수업은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학습자간 상호작용과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공유하여 교사 및 학생 상호 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과학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스마트러닝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와 개별면담 자료를 통해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업의 '참여도'와 '흥미도' 부분에서 만족도가 높았고 스마트기기의 사용으로 수업을 게임처럼 재미있게 생각하는 반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근거하여 다른 단원, 다른 주제에 대한 스마트러닝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의 필요성, 스마트러닝이라는 새로운 수업방식으로 흥미와 태도를 이끌어 내기 보다는 과학에 대한 본질적인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과 같은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손정은, 박정영(2012). SNS 및 스마트폰을 활용한 이러닝 교육모형 연구, 서울: 경희사이버대학교 사회연구소.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전략.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김명남(2005). 과학영재교육원 초등반 학생들의 과학 태도와 탐구 능력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4. 김미용, 배영권(2013).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1), 467-481.
  5. 김연진(2013).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 활동이 중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6. 김영록, 정미현, 김재현(2013). 스마트 기기의 교육적 이용 실태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지, 14(3), 47-55.
  7. 김은정(2002). 평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8. 김은지(2008). 4학년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별자리를 식별하는 수준 간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9. 김효정(2014). 태양계와 지구 단원에 대한 스마트 러닝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0. 김희수, 서창현, 이홍로(2003).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4(6), 508-523.
  11.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2011).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구현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9(2), 79-88.
  12. 박상우(2011). 과학과 디지털교과서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3. 서창현(2002).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 검사지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4. 임정훈, 김상홍(2013). 스마트러닝 기반 개별학습 및 협력학습이 학업성취도, 자기주도학습 및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1), 1-24.
  15.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6. 장경익(2012). 스마트러닝의 특성이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7. Keller, J.M. (1983).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18. Prensky, M. (2001). Digital natives, digital immigrants part 1. On the horizon, 9(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