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evious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apply it to the study area, and select priority areas for groundwater management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For this purpose, first, the previous 'potential contamination' based on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was upgraded to the methodology considering 'adaptation capacity' which reduced contamination. Second, the weigh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factor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and the result of survey targeting groundwater experts. Third, Gyeonggi-do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the improved methodology and weight were implemented with GIS and actual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carried out. Fourth, the priority area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management was selected based on the quantitative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diagram. The improved detailed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factors in this study were a total of 15 factors, and 15 factors were analyzed as new and improved weight with higher 'adaptation capacity' than the assessment factor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potential contamination' in the weight calculation result using AHP. Also, the resul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in Gyeonggi Province using GIS showed that Goyang and Gwangmyeong which were adjacent to Seoul had a high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nd Pocheon and Yangpyeong County had a relatively low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In this study, the previous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improved and applied to study areas actu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for the groundwater management master plan at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level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방법을 개선하고,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보다 정량적인 지하수 오염 취약성 분석을 기반으로 지하수 관리 우선 대상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기존의 '잠재오염' 중심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방법을 오염을 완화시키는 '대응 능력'을 고려한 방법론으로 개선하였다. 둘째, 계층분석 방법(AHP)과 지하수 전문가의 설문을 바탕으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인자의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셋째, 광역지자체(경기도)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개선된 방법론 및 가중치를 GIS로 구현하여 실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넷째, 정량적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도를 바탕으로 지하수 오염 관리 우선 대상 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선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세부 평가인자는 총 15개 이며, 이에 대한 AHP를 활용한 가중치의 산정결과에서 기존의 '잠재오염'에 해당하는 평가인자 보다 신규로 개선된 '대응능력'이 높은 가중치로 분석되었다. 또한 GIS를 활용한 경기도 지역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 서울에 인접한 고양시 및 광명시 등이 지하수 오염 취약성이 높았으며, 포천시 및 양평군이 상대적으로 취약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개선하였고 실제 연구지역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 및 지자체 차원의 지하수 관리 기본계획에 직간접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