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Ministry of Education (1997).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1997-15)
-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notice 2007-79)
-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tice 2011-361)
- 김광한.김병학 김경석.박은아 (2009).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 교육과정 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2), (pp.255-277).(Kim, K. H..Kim, B. H.Kim, K. S..Park, E. A. (2009).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Efficient Methods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he 7th Curriculum Generation ,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2), (pp.255-277).)
- 김병무 (2007). 대학수학 지도를 위한 공대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1(3), (pp.467-482).(Kim, B. M. (2007). The Analysis of the Attitudes of Engineering Students to Mathematics and Its Implication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1(3), (pp.467-482).)
- 김영옥 (2009). 이공계대학 신입생들의 수학불안과 수학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4), pp.469-479.(Kim, Y. O (2009).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anxiety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college of engineering,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8(4), (pp.469-479).)
- 김태수 (2011). 교차지원에 따른 가산점 제도의 필요성과 효과-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수학 운영사례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5(3), (pp.525-536).(Kim, T. S. (2011). On the Necessity and Effect of Additional Points System in Cross-Applications of University Admission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3), (pp.525-536).)
- 남진영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pp.211-229).
- 박준식.표용수 (2013).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 수준별 학습지도 개선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 27(1), (pp.19-37).(Park, J. S..Pyo, Y. S. (2013). Improvement strategies of teaching methods for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by ability grouping,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1), 27(1), (pp.19-37).)
- 박형빈.정인철.이헌수 (2010). 이공계 신입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학업 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3), (pp.329-341).(Choi, K. M..Jang, I. S..Chung, B. H..Jung, S. M.Yang, W. S..Cho, K. N.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shmen's achievements of general mathematics and BMDT,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3), (pp.329-341).)
- 이규봉.오원태.위인숙.장주섭 (2007). 대학 신입생의 수학 기초실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1(4), (pp.613-620).(Lee, G. B..Oh, W. T..Wee, I. S..Chang, J. S. (2007). University Freshmen's Basic Mathematical Abilitie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1(4), (pp.613-620).)
- 이경희.이성진 (2013). 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대학 수학교과의 학업성취도 관계 연구 - 수도권 중규모 대학교의 이공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7(4), (pp.473-486).(Lee, G. H..Lee, S. J.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Focusing on freshmen enrolled in a college of science and engineering of the medium-sized university,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4), (473-486).)
-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 (2011a).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5(1), (pp.167-184).(Lee, J. R..Lee, S. J.Kwon, H. H..Lee, G. H. (2011a). The Effect of Basic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Program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Scholastic Motivation - A Case Study on Engineering Freshmen in D University,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1), (pp.167-184)..)
- 이정례.이경희 (2011b). 수학 기초학력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 성적의 관계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5(3), (pp.629-639).(Lee, J. R. Lee, G. H. (2011b).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al scholastic ability and scholastic aptitude test.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3), (pp.629-639).)
- 이헌수.김영철.박영용 (2013).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 2012년 M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7(4), (369-379).(Lee, H. S..Kim, Y. C..Park, Y. Y. (2013). A Study on freshmen's achievements for grade point average among college entrance types in natural science or engine,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2), (pp.369-379).)
- 전재복 (2008).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공학기초수학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2(4), (pp.399-415).(Jun, Jae-Bok (2008). Desirable Management of Basic Mathematics Curriculum in College,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2(4), (pp.399-415).)
- 정상조.박중수 김태순 (2011). 공학인증 기초수학에서 학습부진 학생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5(3), (pp.593-606).(Chung, S. C..Park, J. S.Kim, T. S..Lee, G. H. (2011). Comments on mathematics diagnostic tests and education by level for under achieving first year engineering student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3), (pp.593-606).)
- 조성민.김재홍.최지선.최인선 (2014).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내용 영역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8(2), (pp.195-217).(Cho, S. M..Kim, J. H..Choi, J. S..Choi, I. S.. (2014). A study on the Content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2), (pp.195-217).)
- 최경미.장인식.정보현.정순모.양우석.조규남 (2007). 중위권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1), (pp.53-67).(Choi, K. M..Jang, I. S..Chung, B. H..Jung, S. M.Yang, W. S..Cho, K. N.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Background and Accomplishment in the First College Mathematics at a Middle level Engineering School,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1), (pp.53-67).)
- Carey, J. (2004). A matter of degree: Improving graduation rates in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Washington, DC: Education Trust.
- Tinto, V. (1993).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Cited by
- 블렌디드 러닝기반 기초수학 수업에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vol.20, pp.6, 2015, https://doi.org/10.18108/jeer.2017.20.6.3
-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vol.22, pp.4, 2015, https://doi.org/10.30807/ksms.2019.22.4.003
-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들의 함수의 극한과 연속 개념 이해에 관한 연구 vol.23, pp.4, 2015, https://doi.org/10.30807/ksms.2020.23.4.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