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Self-Discrepancy on Well-being in College Student: A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전문대학생의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5.04.23
  • Accepted : 2015.05.22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college students' self-discrepancy has an effect on their well-being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For this study,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on self-discrepancy,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were administered to 587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21.0 program. First,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lf-discrepancy,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econ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ir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lf-discrepan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ell-being. Second, contrary to the research hypothesis, social suppor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well-be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및 경남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58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불일치,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기불일치, 안녕감, 사회적 지지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 21.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자기불일치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와 안녕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연구 가설과는 달리 자기불일치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가 주는 시사점을 논의를 통해 밝혔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 Bandur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pp.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 A. H. Ahrens, "Theories of depression: The role of goals and the self-evaluation proces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1, No.6, pp.665-680, 1987. https://doi.org/10.1007/BF01176004
  3. 임일모, 조용래, 김학렬,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불편 감의 관계", 신경정신의학, 제24권, 제5호, pp.1416-1431, 1995.
  4. E. T. Higgins,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Vol.94, No.3, pp.319-340, 1987. https://doi.org/10.1037/0033-295X.94.3.319
  5. L. Scott and M. W. O'Hara,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ly anxious and depressed university students", J. of Abnormal Psychology, Vol.102, No.2, pp.282-287, 1993. https://doi.org/10.1037/0021-843X.102.2.282
  6. 박현희, 자기불일치 및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시험 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7. 허재홍, 조용래,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이 대학생의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제5권, 제2호, pp.85-100, 2005.
  8. 김영수, 신희천, "자기불일치가 대인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 불안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745-760, 2012.
  9. 임진, 김은정,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치심과 반추적 반응양식을 매개변인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79-306, 2012.
  10. E. Diener, S. Oishi, and R. E. Lucas, "Personality,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Emotional and cognitive evaluations of lif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4, No.1, pp.403-425, 2003.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56
  11.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4,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12. C. D. Ryff,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7, pp.1069-1081, 1989.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13. C. L. M. Keyes,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merica's youth: Toward a comprehensive assessment", Adolescent and Family Health, Vol.4, pp.3-11, 2005.
  14. 이상철, 정상원, 김새로미, 이혁준, "자기불일치가 불안 및 우울을 매개로 부적자아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3호, pp.183-206, 2008.
  15. 김지윤, 이동귀, "여고생의 가족관계 및 가정경제 수준에 대한 자기불일치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기수용의 조절 역할",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443-1460.
  16. S. Cohen and S. L. Syme, Issues in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Social Support, In S. Cohen and S. L. Syme, (Eds.), Social support and Health, pp.3-23, 1985.
  17. 이옥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호, pp.29-57, 2012.
  18. 김홍순, 송민경, 김청송, "청소년의 행복과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7권, 제1호, pp.253-270, 2012.
  19. 김미례, 기혼 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0. 이현송, "빈곤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사회복지 학생연구논총, 제1권, pp.104-161, 2008.
  21. E. T. Higgins, R. Klein, and T. J. Strauman, "Self-concept discrepancy theory: A psychological model for distinguishing among different asp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Social Cognition," Special Issue: Depression, Vol.3, No.1, pp.51-76, 1985.
  22. 황민영, 방희정, 김영숙, "고등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우울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3권, 제2호, pp.239-261, 2014.
  23. 고영남,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안녕감의 관계", 한국교육학연구, 제18권, 제3호, pp.49-71, 2012.
  24. C. L. M. Keyes, "Social well-be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61, No.2, pp.121-140, 1998. https://doi.org/10.2307/2787065
  25. E. Diener and R. E. Lucas, "Explaining differences in societal levels of happiness: Relative standard, need fulfillment, culture, and evaluation theory", J. of Happiness Studies, Vol.1, pp.41-78, 2000. https://doi.org/10.1023/A:1010076127199
  26. C. L. M. Keyes and S. J. Lopez, "Toward a science of mental health: positive directions in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C. R. Syner, and S. J.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45-5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27. 이현주, 이미나, 최인수, "한국청소년 안녕감 척도의 타당화 및 삶의 질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1호, pp.301-315, 2008.
  28. 이자영, 최웅용,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1481-1499, 2012.
  29. R. C. Kessler, R. H. Price, and C. B. Wortman,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36, pp.531-572, 1985. https://doi.org/10.1146/annurev.ps.36.020185.002531
  30.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pp.300-314, 1976.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31. R. D. Caplan, S. Cobb, J. P. French, R. Van Harrison, and S. R. Pinneau, Job Demands and Worker Health, Washington, D. C, U. 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1975.
  32. L. Cohen and H.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upports as bugg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pp.99-125, 1983.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33. P. W. Nolten,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in, 1994.
  34. M. Jr. Barrera, "Distinction between social support support concept, measures and models," American J.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 pp.413-455, 1986. https://doi.org/10.1007/BF00922627
  35. A. Vaux, Social Suppor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Y.: Praeger Publishers, 1988.
  36. 오순옥,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7.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38.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e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39. F. M. Andrews and S. B. Withey,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1976.
  40. D. C. Shin and D. M. Johnson, "Avowed ha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 pp.475-492, 1978. https://doi.org/10.1007/BF00352944
  41.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2호, pp.415-442, 2003.
  42. 김연주,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자존감, 삶의 민족 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3. M. M. Morretti and E. T Higgins, "Relating self-discrepanccy to self-esteem: The contribution of discrepancies beyond actual-self ratings", J.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6, pp.108-123, 1990. https://doi.org/10.1016/0022-1031(90)90071-S
  44. M. Argyle and M. Martin, The psychological causes of happiness, In F. Strack, M. Argyle, and N. Schwarz(Eds.), Subjective well-being :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pp.77-100), Oxford : Pergamoon Press, 1991.
  45. C. D. Ryff, "Experience and well-being : Explorations on domains of life and how they matter", International J.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20, pp.193-206, 1997. https://doi.org/10.1080/016502597385289
  46. 최유진, 사회적 지지와 학업능력 지각이 무기력, 열등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7. 임미향, 박영신, 김의철,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 성격, 자기효능감, 학업성취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4호, pp.255-283, 2007.
  48. 김현주,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 개발을 통한 청소년 안녕감 설명 변인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9. 문은식,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19권, 제4호, pp.1087-1108, 2005.
  50. 전혜성 이희연, "진로 개발형 중년기 연성의 주관적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 아시아 여성연구, 제49권 제1호, pp.123-159, 2010.
  51.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2. 최미영, 사회적 낙인이 화상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53. 정승아, 자기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54. J. A. Blumenthal, M. M. Burg, J. Barefoot, R. B. Williams, T. Haney, and Zimet, "Social support, type a behavior, and coronary artery disease," Psychosomatic Medicine, Vol.49, pp.331-340, 1987. https://doi.org/10.1097/00006842-198707000-00002
  55. 김희정, 권정혜, 김종남, 이란, 이건숙,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 성장 관련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6권, 제2호, pp.197-207, 2008.
  56. 김진수, 사회적 지지 및 성장적 반추가 외상후성장애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57. 김연주, 대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자존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2011.
  58. 박현주, 조긍호, "고등학생의 자기불일치와 우울, 불안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인간이해, 제24권, pp.127-148, 2003.
  59. 박현희, 자기불일치 및 자기통제력이 대학생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60. 신혜진, 자기불일치와 목표성향 및 자기효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61. 강석, 이지연, "청소년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의식과 자기침묵의 매개 효과", 중등교육연구, 제61권, 제4호, pp.811-839, 2013.
  62. 김현덕, "전문대생의 대학생활 적응도에 관한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103-113, 2000.
  63. 김종운, 이명희, "전문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자아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506-51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506
  64. 김완수,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삶의 의미 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5.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e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66. S. Cohen and G. McKay, "Social support, stress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A theoretical analysis", In A Baum, S. E. Taylor, and J. E. Singer(Eds), Handbook of Psychology and Health(pp.253-267), Hillsdale, NJ: Lwarence Erlbaum, 1984.
  67. 박미애, 김세경, 천성문,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재활심리연구, 제20권 제3호, pp.627-652, 2013.
  68. 박영신,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예비 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기질적 낙관성,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 영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총, 제16권 ,제2호, pp.113-138, 2012.
  69. 전원희, 조명주, 나현주,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 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3호, pp.219-228,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219
  70. 김의철, 박영신,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2권, 제4호, pp.1-36, 2006.
  71.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청소년과 부모의 실패와 미래성취 의식을 통해 본 한국인의 성취관련 토착 심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1권, 제2호, pp.73-108, 2005.
  72. 고현석, 민경환,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료성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5권 제1호, pp.825-846, 2012.
  73. 김효정,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자아정체감, 가족기능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376-386,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376
  74. J. P. Tangney, P. E. Wagner, C. Fletcher, and R. Gramzow, "Shamed into anger? The relation of shame and guilt to anger and self-reported aggression", J. of Personality and Soical Pshchology, Vol.62, pp.669-675, 1992. https://doi.org/10.1037/0022-3514.62.4.669
  75. M. Wells and R. A. Jones, "Childhood parentification and shame-proneness : A prelilinary study", The American J. of Family Therapy, Vol.28, No.1, pp.19-27, 2000. https://doi.org/10.1080/019261800261789
  76. G. Kaufman, The psychology of shame: Theory and treatment of shame-based syndromes, Springer Publishing Co, 1996.
  77. S. Swan and B. Andrews, "The relationship between shame, eating disorders and disclosure in treatment", Bristish J. of Clinical psychology, Vol.42, pp.367-378, 2003. https://doi.org/10.1348/014466503322528919
  78. M. M. Moretti and J. W. Vanessa, "Self-discrepancy in adolescence: Own and parental standpoints on the self", Merrill-Palmer Quarterly, pp.624-649, 1999.
  79. Graff, "Shame in supervision", Issues in Psychology, Vol.30, No.1, pp.79-94, 2008.
  80. 김남재, "대인불안과 사회적 자기불일치",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19권, 제3호, pp.473-483, 2000.
  81. D. C. Beidel, S. M. Tuner, and C. V. Dancu, "Psychologic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social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23, pp.109-117, 1985. https://doi.org/10.1016/0005-7967(85)90019-1
  82. 권호인, 함병주, 백종우, 서신영, 권정혜, "우울증 환자의 대인관게 특성: 증상과 독립적인가?", 한국심리학회지:임상, 제29권, 제4호, pp.1117-1133, 2010.
  83. S. E. Krantz, "When depressive cognitions reflect negative realiti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9, No.5, pp.595-610, 1985. https://doi.org/10.1007/BF01173020
  84. T. Joiner, J. Katz, and A. Lew, "Harbingers of Depressotypic Reassurance Seeking: Negative Life Events, Increased Anxiety, and Decreased Self-Estee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5, No.5, pp.632-639, 1999. https://doi.org/10.1177/0146167299025005008
  85. C. M. Steele, The Psychology of self-affirmation: Sustaining the integrity of the self. In L. Berkowitz(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21, pp.261-302, New York; Academic Press, 1993.
  86. C. M. Steele, S. J. Spencer, and M. Lynch, "Self-image resilience and dissonance: The role of affirmational resource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4, pp.885-896, 1993. https://doi.org/10.1037/0022-3514.64.6.885
  87. B. Verplanken, D. Trafimow, I. K. Khusid, R. W. Holland, and G. M. Steentjes, "Different selves, different values: Effects of self-construals on value activation and use", European J. of Social Psychology, Vol.39, pp.909-919, 2009. https://doi.org/10.1002/ejsp.587
  88. C. J. Armitage and R. Rowe, "Testing multiple means of self-affirmation", British J. of Psychology, Vol.102, pp.535-545, 2011. https://doi.org/10.1111/j.2044-8295.2010.02014.x
  89. 이난, 김헌수,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사회과학논총, 제23권, 제2호, pp.77-97, 2008.
  90. 이주은, 우울과 자기지향이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및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91. R. A. Thompson, M. F. Flood, R. Goodvin, "Social support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and D.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Vol. III. Risk, disorder, and adaptation(2nd ed., pp.1-37), New York: Wiley, 2006.
  92. 구현경, 김종남, "내현적 자기애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내면화된 수치심, 부적응적 완벽주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5권, 제2호, pp.609-636, 2014.
  93. 이진숙, 현명호,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소극적 대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4호, pp.161-18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