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lanning Indicators for Spatial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Urban Public Space - the Weight Analysis for Activation of Public Space

도시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 평가를 위한 계획 지표 연구 -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 분석

  • Received : 2015.07.31
  • Accepted : 2015.09.12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This study derives planning items and indica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tivate public space in term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was to analysis the importance in the public officials/academics and practitioners side. Derived in accordance with spatial planning topics characteristic of public space through previous research to them and after a detailed selection indicators in Christopher Alexander's Pattern Language was so lead through the FGI. Derived surface was subjected to the significance analysis AHP through the survey expert. For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are working professionals accessibility, publicity, connectivity, spatiality, amenity, placeness the order, public officials/academics accessibility, amenity, placeness, connectivity, spatiality, publicity the order. In addition, professionals working i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ost important priority was to recognize the hierarchy of open space, public officials/academics appeared to have an open space on the street the most importan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index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and evaluation for consideration of the next active public space.

본 연구는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 측면에서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계획항목 및 지표들을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의 패턴언어에서 선별 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공간적 특성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접근성, 공공성, 연계성, 공간성, 쾌적성, 장소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접근성, 쾌적성, 장소성, 연계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오픈스페이스의 위계를 가장 중요하게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거리에 개방된 공간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경, 문정민, "도시의 공공공간 활성화를 위한 평가 지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지, 제24권, 제3호, pp.109-119, 2013.
  2. 김미영, 문정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공 공간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0권, 제6호, pp.291-299, 2011.
  3. 김혜란, 이혜주, 이명훈, "AHP분석을 통한 공공공간의 공공성 제고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511-52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511
  4. 김희권, 패턴언어와 옥외치료공간디자인,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 강제성, 공개공지 유형화 및 실태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6. 김득수, 도시의 공공공간에 관한 기초적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7. 백승경, 김주연, 이승훈, "도시화에 따른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제6호, pp.158-165, 2009.
  8. 신민수, 도시외부공간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간 구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9. 이경미, 정재호, "AHP를 이용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지표의 중요도 평가", 부동산정책연구, 제14권, 제2호, pp.137-153, 2013.
  10. 이준복, 공공성 분석을 통한 공개공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1. 이훈길, 도심공공영역의 공간적 특성에 따른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장하리, "공개공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7권, 제4호, pp.47-60, 2006.
  13. 최기원, 지역문화시설의 공공성과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4. 최경숙, 패턴언어를 적용한 집합주거 배치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15. 허진하, 이용자 만족도를 위한 공공영역의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6. C. Alexander, The Oregon Experiment,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17. C. Alexander, A Pattern Languag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7.
  18. C. Alexander, The Timeless Way of Building,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