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 관계에 있어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5.08.03
  • Accepted : 2015.08.13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test the impact of issue leadership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18 employees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large hotels located in Seoul and Jeju.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ssue lead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ork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at issue leadership is a crucial factor to facilitate employees' positive attitudes toward voluntary change-oriented behavior. In addition, work engagemen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have been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본 연구는 서울 및 제주지역 호텔종사자를 대상으로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이슈리더십이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 관계에서 직무열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 및 제주지역에 소재하는 대형 호텔종사자 218명으로부터 획득하였다. 분석결과, 이슈리더십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열의는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슈리더십이 추종자의 직무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촉진하고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슈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보다 직무열의를 통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더 큰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는 이슈리더십이 추종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추종자의 직무열의가 중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가 주는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논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문선, 강영순, "창의성과 혁신행동의 관계와 집단특성의 조절효과", 인사관리연구, 제27집, 제1권, pp.251-271, 2003.
  2. 강영순, 김정훈, "코칭리더십, 기본심리욕구, 혁신 행동,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제26권, 제7호, pp.1909-1928, 2013.
  3. 구정대, "상사의 이슈 리더십, 리더 신뢰와 경영성과간의 관계 : 서울지역 특급호텔을 대상으로", 경영경제, 제45권, 제2호, pp.69-82, 2012.
  4. 김동산,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검증,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5. 김익택, 복잡계 과학을 통한 이슈리더십 이론의 실증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6. 김익택, 백기복, "복잡계 과학을 통한 이슈리더십 이론의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제25권, 제9호, pp.3731-3759, 2012.
  7. 김인숙, 강영순, 지성호, "권력유형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저항의 매개효과: 제주지역 손해보험설계사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제27권 제5호, pp.135-155, 2013.,
  8. 김호석, 김민성, 구동우, "호텔 기업 총지배인의 변혁적 리더십이 외식종사원의 직무열의, 직무성과, 그리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제9권, 제3호, pp.29-43, 2013.
  9. 백규선, 이슈리더십과 리더십 효과성의 관계에 대한 향상초점과 집단전형성의 조절효과: 시나리오를 통한 실,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0. 백규선, 백기복, 김익태, "이슈리더십 3차원과 리더십유효성의 관계에 있어 리더 집단전형성의 조절효과 검증",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9집, 제 1권, pp.147-175, 2015.
  11. 백기복, "Anatomy of issue leaders' behaviors",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26집, 제2호, pp.313-341, 2002.
  12. 백기복, 리더십 리뷰, 창민사, 2005.
  13. 윤종설, "우리나라 공무원 중간관리자의 뉴 리더십 확보방안 : 이슈리더십과 전략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제4권, 제1호, pp.1-33, 2007.
  14. 이재희,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5. 이준재, "호텔 레스토랑 지배인의 이슈리더십이 구성원의 만족도와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18권, 제2호, pp.169-182, 2003.
  16. 이명숙, "항공사 직원의 이슈리더십이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Tourism Research, 제33권, pp.155-175, 2011.
  17. 신영숙, 이슈리더십이 직무태도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사회구조적 특성 및 직종의 조절효과, 교육행정조직을 중심으로, 동양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8. 서수석, 이슈리더십의 개인결정 요인과 성과변수의 관계에 대한 상황적 맥락의 조절효과 검증, 국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9. 지성호, 강영순, "상사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및 지각된 상사 관계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5, pp.2809-2823, 2013.
  20. 김성훈, 지성호, 강영순,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5호, pp.93-114, 2014.
  21. 한태영, 박수연, "직무열의에 대한 성과코칭 및 팀 과업의 영향: 인사평가효과성과 피드백환경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4, No.3, pp.597-626, 2011.
  22. T. M. Amabile,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Springer-Verlag, New york. NY, Manual request, 1983.
  23.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 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pp.411-423, 1988. https://doi.org/10.1037/0033-2909.103.3.411
  24. A. Etzioni, "Organizational dimension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A theory of compliance. People Groups, and Organizations", New York: Teachers College, pp.94-109, 1968.
  25. B. A. Bakker, A. Shimazu, E. Demerouti, K. Shimada, and N. Kawakami, "Work engagement versus workholism: A test of the spillover-crossover model",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9, pp.63-80, 2014.
  26. B. A. Bakker, and., Tims, and D. Derks, "Proactive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The role of job crafting and work engagement," Human Relations, Vol.65, pp.1359-1378, 2012. https://doi.org/10.1177/0018726712453471
  27.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8. K. A. Bollen,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Wiley, 1989.
  29. R. Crab1e and S. Vibbert, "Managing issues & influencing public", Public Relations Review, Vol.11, No.2, pp.3-15, 1985. https://doi.org/10.1016/S0363-8111(82)80114-8
  30. C. Fornell and F. D.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39-50,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31. G. Holmbeck, "Toward terminological, conceptual, and statistical clarity in the study of mediators and moderators: Examples from the child-clinical and pediatric psychology literatur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5, pp.599-610, 1997. https://doi.org/10.1037/0022-006X.65.4.599
  32. S. E. Humphrey, J. D. Nahrgang, and F. P. Morgeson, "Integrating motivational, social, and contextual work design features: A meta-analytic summary and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work design literatu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2, No.5, pp.1332-1356, 2007. https://doi.org/10.1037/0021-9010.92.5.1332
  33. R. House and R. Aditya, "The social scientific study of leadership: Quo Vadis," Journal of Management, Vol.23, No.3, pp.409-474, 1997. https://doi.org/10.1016/S0149-2063(97)90037-4
  34.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pp.692-724, 1990. https://doi.org/10.2307/256287
  35. M. R. Kanter, The change masters, New York: Simon & Schuster, 1983.
  36. J. H. Kim, "Issue leadership as a mediator between self-efficacy/initiative behavior and leadership effectiveness/innova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13, pp.149-168, 2011. https://doi.org/10.18211/kjhrdq.2011.13.2.008
  37.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4, pp.692-724, 1990. https://doi.org/10.2307/256287
  38. R. C. MacCallum and S. Hong, "Power analysi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using GFI and AGF", Multivariate Behavior Research, Vol.32, pp.193-210, 1997.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3202_5
  39. L. C. Pearce and J. A. Conger, Shared leadership: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Sage Publications, 2002.
  40.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Y. Lee, and N. P. Podsakoff,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8, pp.879-903, 2003. https://doi.org/10.1037/0021-9010.88.5.879
  41. K. Preacher and A. Hayes,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Vol.36, pp.717-731, 2004. https://doi.org/10.3758/BF03206553
  42.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 and A. B. Bakker,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confirmative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3, pp.71-92, 2002. https://doi.org/10.1023/A:1015630930326
  43. G. S. Scott and A. R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on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pp.580-607, 1994. https://doi.org/10.2307/256701
  44. S. W. Kozlowski and B. S. Bell, Work groups and teams in organizations, Handbook of psychology, 2003.
  45. G. Yukl, Leadership in organizations, 6th edition. Person Education. 2010.
  46.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Tesgt manual for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Unpubished manuscript, Utrecht University, the Netherlands, Retrieved from ttp://www.schaufeli.com,2001.
  47. 지성호, 강영순, "사회과학분야의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정 방법에 대한 논의",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6, pp.3121-3131, 2014.
  48. 백기복, "이슈리더십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북악경영연구, 국민대학교 경영연구소, pp.335-351, 2004.
  49. E. M.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Vol.13, pp.290-312, 1982. https://doi.org/10.2307/270723
  50. B. W. Schaufeli and B. A. Bakker, "The Measurement of Work Engagement With a Short Questionnaire A Cross-National Study," Utrecht University, Marisa Salanova, Jaume I University, 2006.
  51. 김현숙, 김정훈,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서 조절초점의 매개효과", 무역연구, 제10권, 제6호, pp.1115-1136, 2014.
  52. 김정식, 차동옥, "리더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제21권, 제3호, pp.331-370, 2013.
  53. 김익철,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이슈 실행의 매개효과 검증", 리더십연구, 제3권, 제1호, pp.5-26, 2011.
  54. 김정훈, "리더십 발휘동기, 리더십 행위 그리고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321-337, 20114 https://doi.org/10.5392/JKCA.2011.11.4.321
  55. 박노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과 효과, pp.543-573, 2011
  56. 최영근, 김규배, "일중독 및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POSRI 경영경제연구, 제12권, 제2호, 2012.
  57. 김동산, 백기복, 김보영,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검증", 인사조직연구, 제22권, 제3호, pp.99-136, 2014.
  58. 김진희, "팀웍, 조직냉소주의 및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효과", 인사조직연구, 제16권, 제4호, pp.1-40, 2008.
  59. A. A. Chughtai, "Linking affective commitment to supervisor to work outcom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8, pp.600-627, 2013.
  60. 지성호, 강영순, 목표지향성과 혁신행동의 관계 에서 지속학습활동의 매개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pp.2745-2759, 2012.
  61. J. Reeve,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Emotion(4th Ed.), New York: Wiley, 2005.
  62. G. Catarina, C. Luis, and C. Antonio,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inno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Vol.19, pp.1-18, 2015.
  63. S. K. Parker and C. M. Axtell, "Seeing Another Viewpoint: Antecedents and Outcomes of Employee Perspective T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pp.1085-1100, 2001. https://doi.org/10.2307/3069390
  64. J. Henderlong, Beneficial and detrimental effects of praise on children's motivation: Performance versus person feedbac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nford University, 2000.
  65. V. Vroom and P. Yetton, Leadership and decision making, Pittsburgh: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1973.
  66. 신명용, 이슈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성 검증, 국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7. 양별철, 지성호, 강영순, "상사 코칭과 직무수행의 관계에서 건설적 사고와 직무열의의 이중매개 효과", 상업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205-23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