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bjectivity on Communication Styles of Nursing Freshmen : Q Methodological Approach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 Received : 2015.07.23
  • Accepted : 2015.09.12
  • Published : 2015.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subjectivity on communication styles of nursing freshmen and explore their properties by using the Q Methodology. Fifty nursing freshmen of P sample classified 55 Q-statements into the normal distribution of 11 point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15 and analyzed by using PC-QUANL program. As a result, communication styles are identified as 'Open-interaction facilitator', 'Other-considerate listener', 'Tense-sensitive to criticism person', and 'Non-interactive observer'. Open-interaction facilitators proficiently use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penly disclosing themselves and facilitating interactions with others. Other-considerate listeners primarily consider others before themselves, with careful communication. Tense-sensitive to criticism persons are nervous, sensitive to criticism, and are distractive style, so they have difficulties in intimate interaction with others. Non-interactive observers are bystanders who observe others and feel indifferent to interactions, without any self disclosur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for developing communication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ing freshmen.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특성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방법은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간호대학 신입생으로 구성된 P 표본 50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Q 표본 55개의 진술문을 11점 척도 분포도에 분류하게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PC-QUANL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스타일은 '개방적 교류 촉진형', '타인배려 경청형', '비판예민 긴장형', '교류회피 관찰형'으로 추출되었다. 개방적 교류 촉진형은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능숙하게 사용하여 개방적으로 자아를 노출하고 교류를 촉진하는 유형이다. 타인배려 경청형은 자신보다는 타인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여 신중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스타일이다. 비판예민 긴장형은 비판에 예민하고 긴장하며 산만한 스타일로 친밀한 교류가 어려운 유형이다. 교류회피 관찰형은 자기를 노출하지 않고, 타인을 관찰하면서 상호교류에 무관심한 방관자 스타일이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간호대학 신입생을 위한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 E. Peplau, Interpersonal Relations in Nursing: A Conceptual Frame of Reference for Psychodynamic Nursing, New York: Springer Pub, 1991.
  2. D. Sherrod, B. Sherrod, and T. Sherrod, "Expand your communication style", Nursing, Vol.39, Suppl Men, pp.18-21, 2009.
  3. 송미령, 김은만, 유수정, "간호학생의 기본간호수행 능력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90-40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390
  4. http://www.kabon.or.kr/
  5. 봉은주, "집단활동을 활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94-40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94
  6. 배수현, 박정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리 더십 향상을 위한 교과외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pp.202-214, 201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2.202
  7. 송지호, 간호교육인증평가 기준집(간호학 학사학위 과정), 서울: 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14.
  8. 조인영,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교육요구도",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6권, 제4호, pp.2593-2601, 2015.
  9. 박정원, 김근면, "간호대학생의 자의식과 의사소통 불안이 대인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제19권, 제1호, pp1-10, 2011.
  10. 오은정,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타인인식 및 의사 소통능력,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1. P. J. Silvia and A. G. Phillips,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fficacy, and trait communication apprehension: Is there an impact on basic course success?", Commun Res Rep., Vol.19, pp.29-37, 2001.
  12. J. Arquero, J. A. Donoso, T. Hassall, and J. Joyce, "Accounting students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A study of Spanish and UK Students," Eur Account Rev, Vol.16, pp.299-322, 2007. https://doi.org/10.1080/09638180701391337
  13. 박정원, 최정,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간호 학생의 정신간호학 실습 경험", 스트레스연구, 제21권, 제3호, pp.213-227, 2013.
  14. 신경아, 이은숙, "의사소통 훈련 집단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인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49-158, 201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149
  15. R. E. de Vries, A. Bakker-Pieper, F. E. Konings, and B. Schouten, "The Communication Styles Inventory (CSI): A Six-Dimensional Behavioral Model of Communication Styles and Its Relation With Personality", Communication Research, Vol.40, No.4, pp.506-532, 2013. https://doi.org/10.1177/0093650211413571
  16. T. Brown, B. Williams, M. Boyle, A. Molloy, L. McKenna, C. Palermo, L. Molloy, and B. Lewis, "Communication styles of undergraduate health students", Nurse Educ Today, Vol.31, No.4, pp.317-322, 2011. https://doi.org/10.1016/j.nedt.2010.06.006
  17. L. McKenna, T. Brown, M. Boyle, B. Williams, C. Palermo, and E. Molloy, "Listening and communication style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Vol.4, No.11, pp.50-58, 2014.
  18. R. E. de Vries, A. Bakker-Pieper, R. A. Siberg, K. van Gameren, and M. Vlug, "The Content and Dimensionality of Communication Styles," Communication Research, Vol.36, No.2, pp.178-206, 2009. https://doi.org/10.1177/0093650208330250
  19. W. Stephenson,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20. 박정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행위 유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1. T. D. Stephen and T. M. Harrison, "Assessing communication style: A new measur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14, No.3, pp.213-234, 1986. https://doi.org/10.1080/01926188608250642
  22. 한금선, 양승희, 손정남, 박정원, 김근면,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제 3판, 서울: 고문사, 2014.
  23. V. Satir, 사티어 모델(가족치료의 지평을 넘어서), 서울: 김영애 가족치료 연구소, 2000.
  24. Z. C. Chan, "A qualitative study on non-verbal sensitivity in nursing students", J Clin Nurs, Vol.22, No.13-14, pp.1941-1950, 2013.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2.04324.x
  25. 임승주, 박은영, "사티어 의사소통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과 인간관계 변화 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51-162, 2013.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151
  26. 박정원, 하나선,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불안과 의사소통 기술 수행", 스트레스연구, 제22권, 제4호, pp.169-180, 2014.
  27. 이수진, 안경식, "청소년의 자의식과 정서조절양식 이 또래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5호, pp.151-17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