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ssessment of the Economic Benefits from Electricity Consumption

전력 소비의 용도별 경제적 편익 평가

  • Lim, Seul-Ye (Department of Energy Policy,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Park, Jae-Hyung (Department of Energy Policy,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Yoo, Seung-Hoo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임슬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박재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Received : 2015.05.13
  • Accepted : 2015.06.18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As electricity is an indispensable input to human's existence and industrial production, economic benefits arise from consumption.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electricity consumption are useful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of electricity-related polic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value the economic benefits from electricity use. The economic benefit of electricity consumed is the area under the demand curve which made of the sum of the actual consumer expenditure and the consumer surplus. Consumer expenditure can be easily observed but the information on price elasticity of demand is necessarily required to compute consumer surplus. This study derives the estimates for price elasticit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price elasticities of the electricity demand for residence, industry, and commercial are estimated to be -0.332, -0.351, and -0.263, respectively. Because the consumer surplus of the electricity consumption for residence, industry, and commercial are computed to be 191.54, 143.44, and 231.91 won per kWh, respectively. Given that average prices of electricity use were 127.02, 100.70, and 121.98 won per kWh for the year 2013, the economic benefit are calculated to be 318.56, 244.14, and 353.89 won per kWh, respectively. We can convert the values to 321.96, 246.75, and 357.67 won per kWh in 2014 constant price, respectively, using consumer price index. They can be used in th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a new electricity supply project.

전력은 인간의 생존과 산업생산에 있어서 필수적인 투입요소이다. 전력의 소비로부터 경제적 편익이 발생하며, 특히 전력소비의 경제적 편익은 전력과 관련된 정책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력소비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편익을 평가하고자 한다. 전력소비의 경제적 편익은 소비자 지출과 소비자 잉여의 합으로 구성되는 전력 수요함수 아랫면적이다. 이때 소비자 지출은 쉽게 관측되는 반면에 소비자 잉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용, 산업용, 일반용 전력을 대상으로 하며, 문헌 조사를 통해 전력의 용도별 가격탄력성에 대한 정보를 유추한다. 용도별 전력 수요의 가격탄력성은 각각 -0.332, -0.351, -0.263으로 추정되었다. 2013년을 기준으로 추정된 전력 1kWh 소비의 소비자 잉여는 각각 191.54원, 143.44원, 231.91원이며, 2013년 기준 전력의 용도별 평균가격은 각각 127.02원, 100.70원, 121.98원이므로, 전력소비자의 경제적 편익은 각각 318.56원, 244.14원, 353.89원이다. 소비자 물가지수를 이용하여 이 값을 2014년 기준으로 환산하면 주택용, 산업용, 일반용 순으로 각각 321.96원, 246.75원, 357.67원이다. 이 값은 전력공급사업의 경제성 분석에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세주, 유승훈 (2010). 전국 생활용수의 경제적 가치평가 : 가정용수 대 비가정용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43권, 제11호, pp. 957-965.
  2. 권오상, 강혜경, 김용건 (2014). 가구별 소비자료를 이용한 전력수요함수 추정 및 요금제도 변경의 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3권, 제3호, pp. 409-434.
  3. 나인강, 손양훈 (1999). 냉방기계 보유에 따른 전력수요함수 추정에 관한 연구, 응용경제, 제1권, 제1호, pp. 101-120
  4. 박준용, 김인무, 김창식, 이성로 (2011). 선도추급 과정을 이용한 새로운 예측기법: 장기전력 수요 예측에의 응용, 경제학연구, 제59권, 제3호, pp. 113-147.
  5. 유병철 (1996). 전력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요금조정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6. 유승훈, 박광섭 (2006). 서울시 가정용수 공급의 경제적 편익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9권, 12호, pp. 1057-1066.
  7. 어승섭, 유승훈 (2010). 공업용수의 소비자 잉여와 경제적 가치 추정, 국토연구, 제65권, pp. 151-162.
  8. 이명헌 (2014). 산업 전력요금 인상의 공급가격 및 전력수요 절감 효과 분석:국내 제조업 부문을 대상으로, 자원.환경경제연구, 제23권, 제1호, pp. 43-65.
  9. 이승재, 한종호, 유승훈 (2012). 수송용 LPG 수요함수의 추정 및 활용. 에너지공학, 제21권, 제3호, pp. 331-338.
  10. 이종수, 허은녕 (1998). 국내 전력수요의 장단기 탄력성 추정, 한국자원공학회지, 제35권, pp. 149-156.
  11. 임슬예, 김호영, 유승훈 (2013). 주택용 전력에 대한 지불의사액 분석. 에너지공학, 제22권, 제2호, pp. 141-147. https://doi.org/10.5855/ENERGY.2013.22.2.141
  12. 임재규 (2013). 산업부문의 전력수요관리정책 추진방향에 대한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3. 한국전력공사 (2013). 전력거래약관.
  14. 한국전력공사 (2014). 한전경영통계 2013.
  15. Alexander, D.l., Kern, W., and Neil, J. (2000). Valuing the consumption benefits from professional sports franchises, Journal of Urban Economics, 48, pp. 321-337. https://doi.org/10.1006/juec.1999.2169
  16. Lee J.-S. and Yoo S.-H. (2013). The economic value of residential natural gas consumption: the case of Korea, Energy Sources Part B: Economics, Policy, and Planning, 8(4), pp. 313-319. https://doi.org/10.1080/15567240903468499
  17. Lim K.-M., Lim S.-Y., and Yoo S.-H. (2014a). Short- and long-run elasticities of electricity demand in the commercial sector in Korea, Energy Policy, 67, pp. 517-521. https://doi.org/10.1016/j.enpol.2013.12.017
  18. Lim K.-M., Lim S.-Y., and Yoo S.-H. (2014b).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residential electricity use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contingent valuation, Energy, 64, pp. 601-606. https://doi.org/10.1016/j.energy.2013.11.016
  19. Muller, R.A. (1985). The Socioeconomic Value of Water in Canada. Research Paper #5, Environment Canada.
  20. Yoo S.-H., Lee J.-S., and Kwak S.-J. (2007). Estimation of residential electricity demand function in Seoul by correction for sample selection bias, Energy Policy, 35(11), pp. 5702-5707. https://doi.org/10.1016/j.enpol.2007.06.009
  21. Yoo, S.-H., and Lee S.-R (2012). The economic value of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in Seoul, 에너지공학, 제21권, 제1호, pp. 81-85. https://doi.org/10.5855/ENERGY.2012.21.1.081

Cited by

  1.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Building Seonam Biogas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vol.25, pp.4, 2016, https://doi.org/10.5855/ENERGY.2016.25.4.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