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af Marriage Experience

청각장애인 부부의 결혼생활 경험

  • Received : 2015.04.13
  • Accepted : 2015.06.29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ll the deaf marriage experienc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case research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couple. This researcher following same issues from 5 couples case study analysis. This researcher set 5 titles and analyze from the 5 main issues about the deaf couple's experience as time goes by. The titles are 'finally the marriage spouses both deaf', 'to overcome communications difficulties', 'worried about raising children and get some help from other people and try something', 'try to get over the difficulties and hardships', 'recovering family relationship and challenge.' Through this study, understanding the deaf couples desire in having a family and live a normal life after becoming parents is "in a family deaf culture" wherein they aspire to become more mature and experienced deaf persons. But the meaning of maintaining constancy was not just keeping their situation by taking familiar things hence there were no challenges. Keeping the constancy, maintaining a family since marriage, delivering and raising their children, make them realize some laws of life. They correspond well and break the narrow limited cultural way of thinking and recognized a broader sense of understanding while keeping constancy. Their life that is keeping their culture and experiencing matured life will be a good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the deaf 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의 결혼 유형에서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청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의 결혼생활 경험을 총체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부부를 한 쌍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사례연구 접근을 활용하였다. 5쌍의 사례별 분석에서 나타난 이슈들을 중심으로 공통적인 특성을 주제로 묶어 청각장애인의 결혼경험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5가지 주제로 분석하였다. 주제별로 나열하면 '결국 결혼상대는 청각장애인', '의사소통의 부담감과 어려움을 이겨나감', '자녀양육을 걱정하며 도움 받거나 노력함', '어려움과 장벽들 넘어서기', '가족관계의 회복과 도전'이다. 본 연구를 통해 결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던 청각장애인의 결혼생활 경험의 의미는 "익숙한 농문화권에서 부부로 항상성을 유지하고 싶음에서 부모가 되면서 장애를 재인식하며 청인화를 원하지만, 그 문화권 내에서 더 노력하는 성숙의 발판으로서 장애를 경험하며 다시 머무르게 되는 삶" 이라는 점이었다. 이처럼 문화의 유지의 추구와 그 연속성 상에서 성숙을 경험하는 이들의 삶은 농문화를 이해함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바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