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국내 식품안전보건지표의 개발과정을 정립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식품안전보건지표의 개발과정을 제안하고, 제안된 과정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함으로서 타당성 검사를 실시하고, 개발된 지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식품안전보건지표 개발과정은 국내 환경보건지표 개발과정을 주로 참고하여 설계되었으며, DPSEEA 모형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식품안전보건지표를 개발과정은 크게 개발단계와 운용단계로 나뉜다. 개발단계는 초기지표 제안, 후보지표 선정, 자료 현황 조사, 실행가능성 평가, 파일럿 스터디, 최종 지표 선정의 6단계로 구성되며, 운용단계는 주기적인 지표의 산출과 공표로 구성된다. 개발의 6개 단계는 전반적인 식품안전보건지표 개발을 총괄하는 Task Force팀과 각 개발 단계에서 제안된 지표를 검토 및 평가하는 자문위원회(최소 학계 4명, 연구계 2명, 식약처 관련부서 전문가 4명)의 단계적 역할분배를 통해 운영되도록 하였다. 제안된 과정의 타당성검토를 위해 시뮬레이션을 시행한 결과 제안된 45개의 초기지표 중 최종적으로 4개의 지표(세부지표 17개)가 선정되었다: '국산 과일 채소류 내 잔류농약/제초제 잔류랑 적합판정비율', '식품매개질환사고(outbreak) 발생 수', '식품매개(food-borne) 법정전염병의 발생률', '살모넬라 식중독(Salmonellosis) 발생률'. 선정된 지표는 지수화를 통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2010~2012년의 지표를 토대로 비율차를 적용한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를 산출한 결과 2010년 대비 2011년, 2011년 대비 2012년의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로 10.37과 9.87이 산출되었다. 이는 식품안전보건상태가 2010년에 비하여 2011년에 10.37%, 2011년에 비해 2012년에 9.87% 호전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개별지표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변화율에 기여도가 큰 지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통합식품안전보건지수를 도식화함으로서 대중과 정책입안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식품안전보건지표는 다방면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욱 큰 관심과 함께 법안의 제정과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standardized process for developing food safety health indicators. With this aim, we proposed a standardized process, accessed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process by performing simulations, and provided a method to utilize the indicators. Developing process for domestic environmental health indicators was benchmarked to propose a standardized process for developing food safety health indicators, and DPSEEA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The suggested standardized process consists of an exploitation stage and a management stage. In the exploitation stage, a total of 6 procedures (initial indicators suggestion, candidate indicators selection, data availability assessment, feasibility assessment, pilot study, and final indicator selection) are conducted, and the indicators are routinely calculated and officially announced in the management stage. The exploitation stage is operated by an interaction between a task force team who manages the overall process, and an advisory committee (minimum of 4 in academia, 2 in research, 4 in specialists of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ho reviews and performs evaluations on the indicators. The standardized process was simulated with 45 initial indicators, and total of 4 indicators (17 detailed indicators) were selected: 'Proportion of domestic fruit/vegetable receiving 'acceptable' in the evaluation of pesticide/herbicide residues', 'Food-borne disease outbreaks', 'Food-borne legal infectious disease incidence', 'Salmonellosis incidence'. Synthetic food safety health index was derived by calculating percent difference with the data from 2010 to 2012. Results showed that when comparing the year 2010 to 2011, and 2011 to 2012, the overall food safety status improved by 10.37% and 9.87%,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ribution of indicators to the overall food safety status can be determined by looking into the individual indicators, and the synthetic index may be illustrated to enhance the ease of interpretation to the public and policy makers. In overall, food health safety indicators can be useful in many ways and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drawn to conduct further studies and establish related legis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