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etaphor Study for the with Children with Disabled Child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from Disability Study Perspective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은유연구: 장애학의 관점에서

  • 강유진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연희정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플러스)
  • Received : 2015.06.15
  • Accepted : 2015.07.25
  • Published : 2015.08.30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taphor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disability studies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21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the students of universiti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 were selected as target object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ep. 15 to 29,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d quantified based on the systematic metaphor analysis. As a result, the metaphor for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such as medicine-limit type, medicine-diversity type, society-limit type and society-diversity.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basic data required for consideration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for increasing the professional speciality of teachers who perform the integrated education in the training cours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장애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은유를 장애학의 관점을 통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4년 9월 15일부터 9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을 바탕으로 범주화 후 수치화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아에 대한 은유는 의료-한계 유형, 의료-다양성 유형, 사회-한계 유형, 사회-다양성 유형의 총 4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정에서 통합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찰과 통합교육의 실시하는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희, 정은, 조원일, 곽정란, 전지혜, 정희경 (2013). 한국에서 장애학하기. 서울: 학지사.
  2. 강종구 (2013). 장애학 관련 외국학술지에 나타난 통합교육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2(1), 1-20.
  3. 강종구, 김건희 (2010). 특수교육에 적용된 장애학의 연구 경향 고찰.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1(4), 375-414.
  4. 고연숙, 김경숙 (2005).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도 조사. 유아특수교육연구, 5(6), 128-147.
  5. 김미정 (2001). 한국 영화에 나타난 장애인의 자아의식과 차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정, 최은아 (2007). 특수교과목 이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 이미지분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289-308.
  7. 김윤복 (2003). 한국 신문의 장애인 관련 보도 분석.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종도 (2004). 은유의 세계. 서울: 한국문화사.
  9. 박경수 (2010). 장애인의 다중패러다임에 근거한 사회복지사의 장애개념 인식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6, 161-182.
  10. 박승희 (2004). 장애개념화의 진전이 장애인 지원 구축에 지니는 함의. 특수교육학연구, 38(4), 27-65.
  11. 박영순 (2000). 한국어 은유연구.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12. 오영희, 김현정 (2004). 특수교육관련 교과과정이 에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변화에 비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21, 95-110.
  13. 윤삼호 (2006). 장애학의 정치. 대구DPI.
  14. 이금섭 (2006).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5(1), 59-82.
  15. 이동석 (2004a). 장애인의 다중 패러다임과 한국 장애인복지의 성격 : 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6(3), 227-251.
  16. 이동석 (2004b). 장애학의 다중 패러다임에 따른 한국 장애인 운동의 성격 분석. 재활복지, 8(1), 34-67.
  17. 이선자, 정윤옥 (2010). 장애학의 다중패러다임을 통한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유형. 주관성 연구, 20, 165-183.
  18. 이소현, 박은혜 (2006). 특수학생교육: 통합학급 교사들을 위한 특수교육지침서. 서울: 학지사.
  19. 이수연, 박종영, 박정자, 이은숙 (2013). 장애학의 관점에서 본 장애이해교육의 실태분석과 나아갈 방향.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4(1), 19-35.
  20. 이연선 (2015). 은유와 은유분석 고찰을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은유분석 역할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9(1), 253-275.
  21. 이연선, 견주연, 김지연 (2014).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은유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571-589.
  22. 이유선 (2004). 은유와 실재. 철학, 79, 185-209.
  23. 이지은 (2014). 문화학적 장애학을 위한 시론. 뷔히너와 현대문학, 43, 323-343.
  24. 정혜영, 서보순 (2011).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2), 121-149.
  25. 조경자, 이현숙 (2012). 예비유아교사의 놀이 은유에 나타난 놀이에 대한 인식. 교원교육, 28(4), 337-358.
  26. 조한진 (2011). 장애학에 대한 재고찰.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4), 1-25.
  27. 조한진, 강민희, 정은, 조원일, 곽정란, 전지혜 (2013). 한국에서 장애학하기. 서울: 학지사.
  28. 최강희, 박세라, 하종아 (2010). UCC동영상에 나타난 장애인 인식 분석. 재활복지, 14(1). 1-29.
  29. 최미화 (2010). 장애 이해 교육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 유아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 유아특수교육연구, 10(4), 89-114.
  30. 최성이 (2003). 영화 오아시스 - 장애인 영원한 주변인으로 남다. 장애와 사회, 1, 165-176.
  31. 최애경, 강영심 (2007).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동에 대한 이미지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1(3), 27-42.
  32. 한은미, 이경화 (2014). 개념적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유아에 대한 신념.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22.
  33. 허숙민, 박진희, 김문수 (2012). TV 드라마 속 장애인 이미지 분석-장애이론 모델과 미디어 프레임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19(1). 1-22.
  34. Beminor. (2015). 왼쪽 눈이 의안인 나는. (2015.05.07). http://beminor.com/news
  35. Black, M. (1993). More about metaphor. In A. Onthony (ed.), Metaphor and though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6. Conor, D. J. (2005). Studying disability and disability studies: Shifting paradigms of LD-A synthesis of responses to Reid and Valle.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38(2), 159-174. https://doi.org/10.1177/00222194050380020501
  37. Lakoff, G., &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8. Prestly, M. (1998). Construction and Creations: Idealism, materialism, and disability theory. Disability and Society, 13(1), 283-301.
  39. Reindal, S. M. (2000). Disability, gene therapy, ana eugenics-A challenge to John Harris. Journal of Medical Ethics, 26(2), 89-94. https://doi.org/10.1136/jme.26.2.89
  40. Shakespears. T. (2013). Disability rights and wrongs, 장애학의 쟁점: 영국사회모델의 의미와 한계(이지수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6).
  41. Shuell, T. J. (1990). Teaching and learning as problem solving. Theory into Practice, 29, 102-108. https://doi.org/10.1080/00405849009543439
  42. Titchkosky, T. (2000). Disability studies: The old and the new. Canadian Journal of Sociology, 25(2), 197-224. https://doi.org/10.2307/334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