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Social Communication on Online Social Media -Comparison of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온라인 사회관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소통 차이 연구 -연결형과 결속형 관계를 중심으로-

  •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
  • 김숙 (한국콘텐츠진흥원)
  • Received : 2015.04.06
  • Accepted : 2015.06.01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on the social communication phenomenon on online social media by comparative analysis among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It examined the social media usage, social communication recognition, soci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intent social participation by exploring social capital which are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of online social media.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adults over the age of 20. As a result, in a quantitative respect a high rate of online media usage was observed all social capital. On the other hand, in a qualitative aspects 'understand' and 'trust' was came out in the bonding capital, but 'agreement' was not observed in all social capital. Also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nt social participation were different in the social capital. The bonding was affected by 'understanding' but the bridging was affected by 'trust' and 'agreement'. Therefore, it was able to discuss that the understanding of online social media user and social communication characteristic must be preceded and the activator policy of social communication must consider the different features of online social capital.

본 연구는 온라인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사회적 이슈의 소통 현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셜 미디어는 개인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의견이 소통되는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이용자의 사회적 관계 유형을 '연결형'과 '결속형' 두 가지로 구분하고 사회관계 유형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량, 사회적 소통 인식, 사회적 소통 만족, 그리고 사회참여 의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이용이 가능한 전국 16개 도시 거주 20대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소통의 양적인 측면에서 연결형과 결속형의 소셜 미디어 이용량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대화 내용에 대한 '이해도'나 대화자에 대한 '신뢰도'는 결속형이 더 높게 나타났고, 소통의 핵심요소인 '합의도'는 모든 사회관계 유형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소셜 미디어에서의 대화 양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해석의 공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결속형은 소통에 대한 '이해'가 주요 요인이었지만, 연결형은 '신뢰'와 '합의'가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적 소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셜 미디어의 이용자 유형과 소통의 특성을 보다 심도깊게 이해하여 보다 긴밀한 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종길, 박상호, "정치관여도, 미디어 중요성, 정치냉소주의와 정치효능감이 정치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3호, pp.166-197, 2006.
  2. N. Kwak, A. Williams, X. Wang, and H. Lee, "Talking politics and engaging politics: An examination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al features of political talk and discussion engagement," Communication Research, Vol.32, No.1, pp.87-111, 2005. https://doi.org/10.1177/0093650204271400
  3. D. Shah, J. Cho, W. Eveland Jr., and N. Kwak, "Information & expression in a digital age. Modeling internet effects on civic particip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32, pp.531-565, 2005. https://doi.org/10.1177/0093650205279209
  4. 황유선, "트위터 이용이 사회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전통 미디어 이용, 정치 관심, 트위터 이용 패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6호, pp.56-79, 2011.
  5. W. Bennett, C. Breuning, and T. Givens, "Communication and political mobilization: Digital media and the organization of anti-Iraq war demonstrations in the U.S.," Political Communication, Vol.25, pp.269-289, 2008. https://doi.org/10.1080/10584600802197434
  6. M. Roberts, W. Wanta, and T. Dzwo, "Agenda setting and issue salience on-line," Communication Research, Vol.29, No.4, pp.452-462, 2002. https://doi.org/10.1177/0093650202029004004
  7. 심흥진, "소셜미디어의 정치참여 효과에 관한 연구: 주관적 규범과 동류집단압력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8권, 제3호, pp.6-52, 2012.
  8. 이원태, 김춘식, 이나경, 소셜미디어에서 온라인 정치담론의 특성,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 연구, 2010.
  9. 이지영, 신재권, 이상우, "카카오스토리 이용패턴과 이용동기 연구: 이용량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379-38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379
  10. 이환수, 이나리,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4권, 제9호, pp.153-16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153
  11. 류정호, 이동훈, "소셜 미디어로서 마이크로 블로그 공론장의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탐색적 연구: 네트워크 동질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4호, pp.309-330, 2011.
  12. 이범준, 조성겸, "사회적 소통의 진단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 사회, 제22권, 제2호, pp.111-148, 2014.
  13. 김성태, 김여진, 최홍규, 김형지, "뉴미디어를 통한 소통 채널의 확장과 정치참여 변화 연구: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주목하여", 평화연구, 2011년 봄호, pp.5-38, 2011.
  14. 이선희, 김은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속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3호, pp.121-160, 2012.
  15. 금희조, 조재호,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참여,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5호, pp.348-371, 201.
  16. 심흥진, 황유선,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와 사회 자본: 트위터 초기 사용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5호, pp.327-347, 2010.
  17. D. Kline and D. Burstein 저, 한국언론재단 역블로그,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6.
  18.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Y: Greenwood, 1986.
  19. 임성준, 추승엽, "한국영화제작프로젝트 조직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pp.75-94, 2004.
  20. R. Putnam,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 https://doi.org/10.1353/jod.1995.0002
  21. R.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Society, New York: Simon & Schuster, 2000.
  22. P. Moy, D. Scheufele, and R. Holbert, "Television use and social capital: Testing Putnam's time displacement hypotheses," Mass Communication & Society, Vol.2, pp.27-45, 1999. https://doi.org/10.1080/15205436.1999.9677860
  23. E. Uslaner, "Trust, civic engagement, and the Internet," Political Communication, Vol.21, pp.223-242, 2004. https://doi.org/10.1080/10584600490443895
  24. 금희조,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9-46, 2010.
  25. S. McClurg, "Social network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 in explaining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Vol.56, pp.448-464, 2003.
  26. 이숙정, 백선기, 한은경, "교육수준에 따른 정치 참여 격차: 뉴스미디어, 사회적 연결망, 정치사회적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5 호, pp.113-136, 2013.
  27. J.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95-120, 1989.
  28. Ellison et al.,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2, pp.1143-1168, 2007.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67.x
  29. B. Brandtzaeg, "Social Network Sites: Their Users and Social Implications-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7, pp.467-488, 2012. https://doi.org/10.1111/j.1083-6101.2012.0158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