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ritical Approach on Multiculturalism Shown in Romance Films

로맨스 영화에서 다루어지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오상희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 이주은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5.06.29
  • Accepted : 2015.07.28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e negative awareness of a multiculturalism rises around the world because of various problems that happen with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Nevertheless, the reason we uphold multiculturalism is that multicultural phenomenon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capitalism and the decline of multiculturalism might imply danger of bringing about radical nationalism. This study assumes that a distortion of multiculturalism is the result from a myth of romance film which affects the public perception as an integral component of a discourse. Grounded upon monomith, the narrative structure of romance film of which motive comes from courtly love makes people miscomprehend the value of multiculturalism because of the multicultural factor as substitute for romantic obstacle. As the character of romance movie is likely to be formed focusing on superficial images and denotations, this tendency causes the hierarchy and the representative minority drives out the rest of other minorities. The attempt to arouse people's tolerance and understanding of the other is frustrated both by the structure of binary oppositions and the clich$\acute{e}$.

세계 각지에서 다문화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면서 다문화주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주의를 가치 지향적인 사조로 견지해야 하는 까닭은 다문화가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체제의 필연적인 현상이기에 분리할 수 없고 섣부른 다문화주의의 퇴조는 반인륜적 배타적 민족주의로 퇴행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의 가치가 왜곡되는 기저에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담론의 요소로서 로맨스 영화의 신화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로맨스영화의 스토리텔링 구조는 원질서사에 입각해 궁정식 사랑을 모티브로 취하며 서사 전략적 차원에서 시련으로 치환되는 다문화는 다문화주의의 의미를 왜곡시킨다. 로맨스 영화의 캐릭터는 피상적 이미지와 명시적 의미 위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 과정에서 마이너리티가 위계화 되고 주변부로 밀려난 또 다른 마이너리티는 담론에서 배제된다. 로맨스를 통해 타자에 대한 관용을 도모하려는 시도는 이항대립적 구조속에 유폐되고 종국에 상투적인 결말로 인해 와해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천응, 혼종적 담론비판분석으로 본 한국의 다문 화담론 비판,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 한건수, "한국사회의 다문화주의 혐오증과 실패론: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다문화와 인간, 제1권, 제1호, pp.113-143, 2010.
  3. 한겨레, IS 격퇴는 불가능...함께 사는 방법 익혀야, 2015. 06. 21.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696829.html
  4. 설한,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퇴조 원인 분석: 문화 개념과 교범성 문제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제7권, 제1호, pp.81-106, 2014.
  5. 연합뉴스, 유럽 다문화주의 실패 논란 서울서 재연, 2012. 11. 3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963939
  6. 캠벨 조지프(Campbell Joseph), 이윤기 역,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민음사, 2004.
  7. 김윤아, 이종승, 문현선, 신화, 영화와 만나다, 만남, 2011.
  8. 안숭범, 최혜실, "멜로영화 스토리텔링의 신화 구조 분석에 관한 시론", 인문콘텐츠, 제27호, pp.89-103, 2012.
  9. 보이틸라 스튜어트(Voytilla Stuart), 김경식 역, 영화와 신화, 을유문화사, 2005
  10. 지젝 슬라보예(Zizek Slavoj), 이민우 역, 향락의 전이, 인간사랑, 2001.
  11. 바르트 롤랑(Barthes Roland), 이화여자대학교 기호학연구소 역, 현대의 신화, 동문선, 2002.
  12. 강태희, 현대미술의 또다른 지평, 시공사, 2000.
  13. 배상준, "한국의 다문화 영화 - 장르적 접근", 인문콘텐츠, 제36호, pp.75-104, 2015.
  14. 이형숙, "할리우드 다문화주의의 한계: 영화 <크래쉬> 연구를 통해", 미국학논집, 제43집, 제3호, pp.5-25, 2011.
  15. 이부미, "다문화 교육의 혼돈과 이해의 과정 : 안산 '원곡동' 현장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5호, pp.103-127, 2011.
  16. 김종갑, 김슬기, "다문화사회와 인종차별주의: 한국다문화영화를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제7권, 제2호, pp.85-105, 2014.
  17. 이도흠, "나마스테에 나타난 타자성의 두 양상", 기호학연구, 제34집, pp.169-19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