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ole of Color Identity on Building Airlines's Brand Image

브랜드 연상 형성에 미치는 항공사 컬러 아이덴티티의 역할

  • 윤문선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
  • 양근애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
  • 진창현 (경기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15.06.11
  • Accepted : 2015.08.10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efficiency in establishing brand identity by researching the effect of local airlines' use of color identity on consumer's brand awareness. Case analysis on color image has first been implemented. And then an empiric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consumer's brand awareness based on color image and correlation of an airline company's image with its color image on formation of brand image. Airline's use of color identity, associated with color im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s brand association. Also, the importance of color application will be raised identifying that it has a positive impact in establishing domestic airline's brand identity. This will contribute to the domestic airlines in emerging as global leaders with distinct brand identities and competitive edge.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uggest continuing research focusing on new aspects in sensuous consumption behavior given that existing researches on airline's brand have been limited to human services, system, and flight operation.

본 연구는 국내 항공사 컬러 아이덴티티의 활용이 소비자의 브랜드 연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의 효율성을 재고하는데 있다. 국내 항공사의 컬러 아이덴티티에 따른 소비자의 브랜드 연상과, 항공사 이미지와 컬러 아이덴티티 일치성이 브랜드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국내 항공사 컬러 아이덴티티 활용은 기존 대형항공사의 경우 국적기의 상징적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한 전통색채의 활용이 두드러졌고, 신흥 저가항공사의 경우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항공사라는 점에서 지역색을 컬러 아이덴티티로 활용하고 있다. 컬러 아이덴티티에 대한 브랜드 연상은 항공사이미지 형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항공사 컬러 아이덴티티 활용은 브랜드이미지 일치성을 이루어 소비자 브랜드 연상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보여 지는 항공사 브랜드에 대한 연구가 인적서비스, 운항관련 요소, 시스템적인 요소로 국한 되어졌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감각적 소비성향에 맞춘 새로운 관점의 지속적 연구를 시사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연, 박연선, "국내 아파트 브랜드의 컬러아이덴 티티에 대한 연구", 한국색채디자인학연구, 제3권, 제3호, pp.73-84, 2006.
  2. 최선형, 의류제품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3. 마크고베(Marc Gobe), 감성디자인 감성브랜딩, 김앤북스, 2002
  4. D. Aaker,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The Free Pres, 1991,
  5. K. L. Keller,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 1998.
  6. 이유주, "레스토랑 유형별 색채 이미지에 관한 연구", 식공간연구, 제2권, 제1호, pp.35-44, 2007,
  7. L. Cheskin, Color and Communication, ABC Edition, Zurich, 1976.
  8. K. L.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ement, and Managing Customer 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 pp.1-22, 1993. https://doi.org/10.2307/1252054
  9. J. L. Aaker,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34, No.3, pp.347-357, 1997. https://doi.org/10.2307/3151897
  10. 최재원, "브랜드 연상에 대한 지각된 브랜드 가치의 영향", 경영컨설팅리뷰, 제2권, 제1호, pp.85-96, 2011.
  11. W. Lassar, B. Mittal, B. & A. Sharma,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Vol.12, No.4, pp.11-19, 1996. https://doi.org/10.1108/07363769510095270
  12. 박선의, 디자인 사전, 미진사, p.280, 1990.
  13. 이유주, 컬러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레스토랑 색채 계획도구의 개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14.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2010년 제12차 한국 산업의브랜드파워 'K-BPI(Korea Brand Power Index)조사 결과 발표 자료집, 2010.
  15. 이진희,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2권, 제5호, pp.154-16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