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웹툰 2.0의 서비스 현황과 발전 방향: 사용자 인터페이스 변화와 멀티미디어 효과 적용을 중심으로

The Current Service Status an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Webtoon 2.0: Focusing on the Changing of User Interface and the Applying of Multimedia Effects

  • 이수지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
  • 전봉관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 투고 : 2015.04.29
  • 심사 : 2015.06.29
  • 발행 : 2015.08.28

초록

웹툰 시장이 성장하고 웹툰의 주요 수용 환경이 웹에서 모바일로 변화하는 추세에 따라, 플랫폼 사업자들은 기존의 웹툰에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고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하고 있다. 웹툰 변화의 주요한 흐름은 멀티미디어 효과를 적용하는 경우와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양식을 구현하는 경우로 대별된다. 본 연구는 그와 같이 변화된 웹툰을 '웹툰 2.0'으로 정의하며 초기 양식의 웹툰인 '웹툰 1.0'과 구분 짓는다. 이를 통해, '웹툰'이라는 단일 범주 안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다양한 양식의 웹툰을 분류하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웹툰 서비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현재까지 개발된 다양한 양식의 웹툰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측정 및 분석하여 웹툰 2.0과 웹툰 1.0의 현황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웹툰의 변화 과정 앞에 수동적 수용자로 머물러 있던 사용자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웹툰 플랫폼 사업자, 작가, 사용자에게 모두 유효한 웹툰의 기술적, 미학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market of webtoon is expanding and the main users' acceptance environment of webtoon is changing from web to mobile. Among this phenomena, platform companies combined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and a new user interface to the webtoon. The major directions of change in webtoon are applying multimedia effects and actualize the optimized form for the mobile environment represented by a smartphone. This study defined these types of webtoon as 'Webtoon 2.0' and built a separate concept from 'Webtoon 1.0' which means the early form of webtoon. Through this, we propose a new standard in classifying various types of cartoons that are sporadically serviced to users. Also, through experiments with users, we checked the current status of webtoon 2.0 and webtoon 1.0 by quantitatively measur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use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webtoon. Through this, this study suggest technical and aesthetic development application of Korean webtoon which is available to platform operators, writers and us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숙, "국내 웹툰 산업이 한류 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진흥원 KOCCA포커스, 2014-09 호, p.2, 2014.
  2. http://www.tapastic.com
  3. http://www.comico.jp
  4. 김지선, "'한류` 이끌 다음 주자는 '웹툰'", 디지털 타임스, 2014.11.20.
  5. 주헌식, "웹툰의 표현 형식 변화에 따른 비사실적 표현에 의한 콘텐츠 제작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과학예술포험, 제15권, p.384, 2014.
  6. 서지혜, "NHN, 스마트폰용 웹툰 '스마트툰' 출시", 헤럴드경제, 2012.10.25.
  7. 김창훈, "다음, 음악-영상 등 결합한 웹툰 '공뷰' 선보여", 게임조선, 2014.12.04.
  8. 김규인, 이병철, 이준아, 손홍찬, 김민선, "웹툰 내용 유형에 따른 페이지 넘김 방식에 대한 연구 - 스토리, 에피소드형 웹툰에서의 터치 방식과 스크롤 방식에 따른 사용자 경험 비교",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4, 2014.
  9. 최보람, 노선, 박진완, "Scroll Tracking 실험을 통해 분석한 웹툰의 연출 기법",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제12권, 제3호, p.36, 2012.
  10. 정규하, 윤기헌, "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17호, pp.8-9, 2009.
  11. 송요셉, "웹툰의 현황 및 특성과 웹툰 기반 OSMU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진흥원 KOCCA 포커스, 2012-09호, p.4, 2012.
  12. http://www.trendmonitor.co.kr/html/01_trend/01_korea_view.asp?idx=1260
  13. 전현지, "웹툰(webtoon)의 차별성에 따른 웹믹 (webmic) 개념설정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 연구, 제4권, 제2호, p.200, 2008.
  14. 이승진, "만화를 기반으로 한 융합콘텐츠 모델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애니메이션연구, 제8권, 제1호, p.109, 2012.
  15. Robert Coover, "The End of Books," The New York Times Book Review 11, 1992.06.21.
  16. 임근호, ""아직 틈새 있다"...벤처, 웹툰시장 속속 진출", 한국경제, 2014.12.25.
  17. 백란이, 웹툰의 몽타주식 연출 연구, 세종대학교 애니메이션학 석사학위논문, p.8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