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Housing Community Facilities in the User-Oriented Design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Case of So-Haeng-Ju No.1, No.2, and No.3 -

사용자중심 디자인 관점에서의 국내 코하우징 공동생활시설 활용에 대한 연구 - 소행주(소통이 있어 행복한 주택) 1, 2, 3호 사례를 중심으로 -

  • 이진우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 이주영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 마문호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 황연숙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5.06.29
  • Accepted : 2015.07.28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rove plans by analyzing spatial compositions of cohousing common houses, their role depending on the types of users and spaces, and satisfaction from the user-oriented design perspective. For this study, a basic concept was examin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s. So-Haeng-Ju(Happy House with Communication) Houses 1, 2, and 3 in Seongmisan Village was analyzed. As well, interviews with residents of these hou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ole of user behavior in common house depending on the types of users and spac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ommon characteristics of roles in an exchange with neighbors, cooperative child-care, and residents' meetings. The time and behavioral typ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iving patterns, characteristics, and family members of residents. User satisfaction with the locations of community facilities including communal kitchen and communal living room, the composition of rooms,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and the connection between communal living space and personal living space, was above the average. However, user satisfaction with storage facilities, or defect repair and facility maintenance was low. Most of cohousing common house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use and size of spaces, and a sense of community, including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beyond the environment and Seongmisan Village. In conclusion, a realistic alternative is required for future cohousing by developing a system regarding human resources networks and cost bearing issues.

Keywords

References

  1. 소행주, 박종숙, 우리는 다른 집에 산다, 서울, 현암사, 2013
  2. 새천년준비위원회, 뉴밀레니엄 커뮤니티센터모델개발-새천년정책연구보고서 II, 2000
  3. 연세대학교 출판부, 밀레니엄 커뮤니티 센터, 서울, 2000
  4. 윤태근, 성미산마을 사람들, (주)문학동네, 경기도, 2011
  5. 주거학연구회, 더불어 사는 이웃-세계의 코하우징, 교문사, 2000
  6. 최정신, 새로 쓰는 주거문화, 주거학연구회, 교문사, 2000
  7. 김란수, 한국형 주택협동조합의 사회.경제적 실행 가능성과 제도 개선방안 연구, 세종대 박사논문, 2014
  8. 조정현, 주거단지계획의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 프로그램-코하우징 계획사례를 중심으로-, 카톨릭대 박사논문, 2010
  9. 신정희, 코하우징개념을 적용한 임대형 공동주거공간계획, 홍익대 석사논문, 2008
  10. 안하나,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관점으로 본 코하우징 계획특성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13
  11. 강순주, 김진영, 함선익, 공동주택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의 시대적 경향분석과 사회적 배경 요인들과의 관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3 No.4, 2012
  12. 곽유미, 최정신, 곽인숙, 주생활 공동체 의식에 따른 코하우징 선호도,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18 No.4, 2007
  13. 박경옥, 중산층을 위한 협동조합주택-계층별 대안주거와 협동조합주택의 가능성, 한국주거학회지, Vol.8 No.2, 2013
  14. 박경옥, 류현수, 성미산마을 공동체주거 계획과정의 거주자와 코디네이터의 의견조정 사례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3 No.3, 2012
  15. 박경옥, 이상운, 류현수, 거주자참여 코하우징의 평면조정에서 나타난 계획과정의 특성-코디네이터회사에 의한 성미산마을 코하우징 사례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4 No.4, 2013
  16. 박미선, 새로운 주거형태 코하우징, 주택포럼 Vol.2011 No.1, 2001
  17. 박혜선, 하미경, 도시형 코하우징 관심자의 거주요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5 No.6, 2014
  18. 오정, 최정민, 국내 쉐어하우스 수요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5 No.3, 2014
  19. 한민정, 이상호, 코하우징에 적용된 커뮤니티 개념의 계획기법에 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16 No.6, 2005
  20. 미국 코하우징 협회 http://www.cohousing.org/
  21. 소행주 공식 블로그 http://cafe.naver.com/cooperativehousing
  22. 서울시정뉴스 http://tv.seoul.go.kr/ls/index.asp?no=96856
  23. 아시아경제 http://asiae.co.kr/news/view.htm?idxno=201501141514239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