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prescriptions including Magnoliae Cortex as a main component in Dongeuibogam

東醫寶鑑 中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活用에 대한 考察

  • Lee, Jaecheol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Jung, Myu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im, Kyusa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Yun, Yonggab (College of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이재철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
  • 정명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임규상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윤용갑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 Received : 2015.06.04
  • Accepted : 2015.06.24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report describes the remedial fields, symptoms, pathology, dosage, prescriptional constitution of 40 prescriptions related to the use of Magnoliae Cortex main blended prescriptions from Dongeuiboga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investigations on the prescriptions that use Magnoliae Cortex as a key component. Prescriptions that Magnoliae Cortex was taken as a monarch drug are utilized for 13 therapeutic purposes, for example, abdominal dropsy, abdominal lump. In particular, 27.5% of the prescriptions appear in the chapter of abdominal dropsy. Prescriptions that utilize Magnoliae Cortex as the main ingredient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abdominal lump, abdominal dropsy. Magnoliae Cortex is used in pathogenic factors such as cold, congestion of Qi and used in pathology related to digestive system. The dosage of Magnoliae Cortex is 2pun(about 0.75g) to 3don(about 11.25 g), however 1don(about 3.75g) has been taken the most for clinical application. Pyeongwisan is the most useful base prescription which use the Magnoliae Cortex as the main component.

Keywords

I. 緖 論

厚朴은 木蘭과(목련과 ; Magnoliaceae)에 속한 落葉喬木인 후박나무 및 요엽 후박나무의 樹皮 혹은 根皮로서, 여름에 生長 15~20년 이상된 植株에서 채취하여 土坑속에 싸놓고 靑草로 뚜껑을 덮어 씌워서 發汗이 되어 水分이 內部로 스며들게 한다. 그 후 內皮가 紫褐色 혹은 黃褐色으로 변하게 되면 이것을 꺼내서 햇볕에 건조한다. 이것을 재차 쪄서 부드러워지면 茼狀으로 둥글게 말아서 그늘에 말려 사용하고 있다.1,3,7,9)

厚朴의 性味는 苦·辛·溫·無毒하고, 歸經은 脾·胃·肺·大腸經이며, 效能은 化濕導滯, 行氣溫中, 消痰平喘 작용이 있어 脾胃氣滯, 脘痞吐瀉, 食積便秘, 痰飮喘咳등의 병증에 활용되고 있다.1,3,4,7)

厚朴에는 β-eudesmol, magnolol, honokiol, tetrahydromagnolol, isomagnolol 등이 함유되어 있고 소량의 magnocurarine, alkaloid류, saponin류가 함유되어 있다.2,4)

厚朴의 주된 약리 작용은 평활근 이완작용, 항궤양 작용, 항균작용이다. magnocurarine은 소장의 장력을 하강시키고, 히스타민으로 유발된 십이지장 경련에 억제작용이 있다. 또한 magnolol은 유문결찰 및 스트레스로 유발된 궤양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고 악성농창에 대하여 뚜렷한 항균활성이 있다. 이외에도 항알러지 작용, 중추신경억제작용이 보고되고 있다.5,6,8,10)

厚朴은 配伍되는 藥物이나 배합되는 처방에 따라 다양한 效能을 발휘하고 있는 바, 이에 저자는 東醫寶鑑 中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40種에 대한 治療領域, 病症 및 主治, 病因·病理, 使用量, 處方構成內容등의 문헌적 자료 분석을 통하여 厚朴의 活用에 대한 方劑학적 知見을 얻었기에 報告하는 바이다.

 

II. 本 論

조사방법은 東醫寶鑑 중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 4011~25)種의 內容을 data base화하여 文獻的 資料分析 및 內容整理를 하였다.

本 論文에서 主藥이라 함은 處方構成에서 厚朴의 役割이나 使用量이 君臣藥으로 作用하거나, 혹은 여러 가지 藥物과 等分으로 構成되어 있는 경우로 효능과 사용량으로 볼 때 主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君臣藥에 대해서는 《素問.至眞要大論》에서 “主病之謂君, 佐君之謂臣...”이라 하였고, 《脾胃論》에서는 “君藥分量最多, 臣藥次之, 使藥又次之, 不可令臣過于君”, “力大者爲君”이라 하였으며, 《活人心統》에서는 “凡用藥殊分, 主病爲君, 以十分爲率, 臣用七八分, 輔佐五六分, 使以三四分”이라 한 내용을 참조하였다26, 27).

1.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治療領域(病門)에 대한 調査를 해서 頻度數와 百分率를 정리 하였다.

2.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調査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를 區分하고, 이에 대한 病症 및 主治를 調査하였다.

1) 脹滿·積聚門에서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2) 癰疽·痎瘧門에서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3) 小兒·嘔吐·傷寒門에서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4) 婦人· 大便· 濕· 前陰· 消渴· 血 病門에서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症 및 主治

3.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因.病理調査

1)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六氣와 관련된 病因․病理 調査

2)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氣鬱滯와 관련된 病因․病理 調査

3)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虛弱과 관련된 病因․病理 調査

4)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其他 病因․病理 調査

4. 厚朴의 使用量에 대한 調査

厚朴의 각 處方別 一回 使用量을 調査하여 病症, 處方, 百分率(%)로 整理하였다. (단, 用量이 불분명한 것은 생략하였다.)

5.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調査

1) 熱脹·寒脹·䐜脹·脹滿·蠱脹·氣脹·積聚·痞塊·食鬱門에서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基本方

2) 癰疽·內托·腎癰·癰疽·雜證·痎瘧·截瘧·癰疽·痎瘧門에서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基本方

3) 慢脾風·諸疳·五藏疳·噎膈反胃·嘔吐噎膈反胃·太陰形證·傷寒煩燥·小兒·嘔吐·傷寒門에서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基本方

4) 求嗣·久泄·中濕·寒疝·消渴·便血門에서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 基本方

 

III. 考 察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치료영역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脹滿, 積聚, 癰疽, 痎瘧, 小兒, 嘔吐, 傷寒, 婦人, 大便, 濕, 前陰, 消渴, 血 등 13개 영역에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脹滿에 활용한 처방 빈도수가 27.5%로 가장 많았고, 積聚에 활용한 빈도수는 20%, 癰疽에 활용한 빈도수는 10%, 痎瘧에 활용한 빈도수는 10% 등으로 조사되어 厚朴은 주로 脹滿, 積聚 등 인체의 中焦疾患에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1을 보면 알 수 있었다.

厚朴이 主藥으로 활용된 病症을 조사해보면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脹滿에서는 熱脹, 寒脹, 䐜脹, 蠱脹, 氣脹 등에 厚朴을 主藥으로 활용하고 있어 厚朴이 脹滿과 많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1).

한편 積聚에 있어서는 痞塊, 食鬱 등에 厚朴을 主藥으로 활용하고 있어 厚朴을 積聚의 治療에 많이 활용했음을 알 수 있다 2.1).

癰疽 및 痎瘧에서는 癰疽內托, 腎癰, 截瘧 등에 厚朴을 主藥으로 활용하고 있어 厚朴이 外科疾患과 瘧疾에 많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2).

그 밖에도 慢脾風, 五藏疳, 噎膈ㆍ反胃, 太陰形證, 傷寒煩燥, 便血, 久泄, 求嗣, 中濕, 寒疝, 消渴 등에 厚朴을 主藥으로 사용한 方劑를 활용하고 있다 2.3, 2.4).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病因·病理를 조사한 결과는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寒脹, 傷冷服肚, 傷寒發汗後, 傷寒下後, 風寒暑濕所傷 등 六氣에서는 寒과 관련된 病因·病理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氣의 病理에서는 濁氣在上, 氣脹, 中滿이 활용되었고, 虛의 病理에서는 虛滑, 內氣虛餒, 年衰氣弱이 활용되었다.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에서 使用量을 조사한 결과는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즉, 一回 使用量으로 볼 때 二分, 二分五厘, 三分, 五分, 六分, 七分, 八分, 一錢二分半, 一錢半, 二錢, 二錢半, 三錢, 各等分인 경우 등이 조사되었다. 이중 가장 많이 使用된 경우가 一錢으로 전체 25%를 차지하였으며, 주로 脹滿, 積聚, 痎瘧 등에 一錢을 많이 사용하였다. 五分이하가 사용된 경우는 疳病과 癰疽 등 주로 皮膚疾患에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으며, 久泄, 熱脹, 痎瘧, 消渴 등에는 二錢이상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만성적인 질환에는 厚朴이 다량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方劑의 構成內容을 조사해보면 5에서 보는 바와 같다.

脹滿ㆍ積聚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 基本方은 厚朴, 蒼朮, 陳皮로 구성된 平胃散임을 알 수 있다. 5.1)에서 보는 바와 같이 脹滿 중 寒脹에 사용하는 順氣木香散은 平胃散과 二薑丸이 基本處方임을 알 수 있으며, 木香順氣湯은 平胃散을 기본으로 二陳湯과 錢氏異功散類를 합한 處方임을 알 수 있으며, 分消湯은 平胃散, 枳朮丸, 四苓散, 快氣湯을 합하여 脹滿의 通治方임을 알 수 있다. 消脹飮子와 三和湯, 大正氣散, 吳茱萸湯역시 각각 平胃散을 基本方으로 사용하고 있다. 積聚에 사용하는 潰堅湯, 潰堅丸은 香砂平胃散類에 橘半枳朮丸을 配伍하여 사용하였으며, 加味柴平湯은 平胃散과 小柴胡湯을 합한 柴平湯에 六味三稜丸類를 配伍하여 사용하며, 木香調氣散은 香砂平胃散에 越鞠丸類, 快氣湯을 配伍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蒼朮과 陳皮는 厚朴과 基本 配合을 이루어 脹滿, 積聚에 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1)

癰疽疾患에서는 病症에 따라 十宣散, 乳香散, 保元湯, 芎歸湯, 理血湯, 桔梗枳殼湯, 四磨湯類, 不換金正氣散, 二陳湯등 다양한 處方을 基本方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癰疽內托인 加味十奇散은 十宣散과 乳香散을 합한 處方이고, 十宣散은 保元湯과 芎歸湯을 합한 處方이다. 또한 腎癰에 사용하는 十六味流氣飮은 十宣散, 理血湯, 桔梗枳殼湯, 四磨湯類를 합한 處方이다. 癰疽雜證에 사용하는 加味不換金正氣散은 不換金正氣散에 二陳湯을 합한 處方이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厚朴이 化濕·行氣·消痰作用으로 癰疽疾患에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2)

痎瘧疾患에서는 小淸脾湯, 淸脾飮, 人參截瘧飮, 截瘧七寶飮에서 보는 바와 같이 小柴胡湯類와 平胃散類가 基本方을 이루고 있어, 痎瘧疾患에서 厚朴이 半表半裡의 邪氣를 제거하는데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2)

밖의 질환에서도 五藏疳에 消疳丸, 噎膈反胃에 五膈寬中散, 中濕에 除濕湯, 便血에 厚朴煎, 寒疝에 三因葱白散을 사용한 예에서 볼 수 있듯이 基本方을 厚朴·蒼朮, 厚朴·陳皮, 厚朴·蒼朮·陳皮의 平胃散으로 하고 病症에 따라 여러 가지 處方을 합하여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3, 5.4)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厚朴은 配伍되는 處方이나 藥物에 따라서 化濕導滯, 行氣溫中, 消痰平喘 등의 다양한 效能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厚朴이 配合된 方劑를 分析하고 構成藥物의 作用을 이해할 뿐 아니라, 方劑構成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V. 結 論

東醫寶鑑에 厚朴이 主藥으로 配伍된 40處方에 대하여 資料調査를 한 바 다음과 같이 要約할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