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about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Job Value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Graduating Students

치위생과 졸업예정자의 직업의식과 취업가치관에 대한 조사연구

  • 장성연 (경복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5.03.18
  • Accepted : 2015.04.20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study has an objective not only to be helpful to the understanding about students'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conditions which are related with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job value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graduating students. Study subjects were 350 female graduating students in 3-year-course College, dental hygiene department at five areas of Seoul, Gyeonggi, Gangwon and Gyeongnam.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19.0. Regarding job values, job prospect of dental hygienist is a little developmental (55.2%) and institution hoping to work is dental clinic (43.2%), reasons for employment in major area are good wage and working environment (24.0%). And regarding opinion about job, dental hygienist job is a measure for living income (69.7%). Regarding job selection conditions, 35.0% subjects replied good human relationship. In the questionnaires regarding professional job in vocational consciousness category, results showed high percentages in that 'the occupation is a job in charge of oral health improvement'; regarding academic area, 'scaling should be done better than dentist'; regarding human relationship, 'harmony between colleagues is closely related with job efficiency'; regarding work ethics, 'development of dental hospital (clinic) and dental hygienist is correlated.' In vocational consciousness of study subjects, higher major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fessional job consciousness and work ethics consciousness (p<0.05) and the correlation results in vocational consciousness areas showed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p<0.01). In case that the characteristic in one type is higher among 4 types, all other types showed high characteristics and also showed high general vocational consciousness.

본 연구는 치위생과 졸업예정자들의 직업의식 및 취업가치관에 관련된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 취업준비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이나 기관에서 보다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취업지도를 실시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직업의식으로는 전문직종에 관한 질문에는 '구강보건향상의 일익을 담당하는 직업이다', 학술관련으로는 '치석제거는 치과의사보다 더 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인관계 부분에서는 '동료와의 화목은 업무효율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근로윤리에서는 '치과병(의)원 발전과 치과위생사 발전은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가 높게 나왔다. 취업가치관으로 치과위생사의 직업전망은 조금 발전적이다 55.2%, 지금과 차이가 없을 것이다 27.4% 순으로 나타났으며, 취업희망기관으로는 치과병원 43.2%, 치과의원 24.3%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경우 90.5%, 아직 고민 중으로 답한 경우 9.5%이고,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보수와 근로환경이 좋다고 생각한다. 24.0%, 치과위생사의 장래성이 밝기 때문 22.1%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고민 하는 이유로는 적성과 흥미에 맞지 않아서 5.4%, 보수와 근로환경이 열악해서 1.9%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의식 부분에서 전문직종의식과 근로윤리의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직업의식의 영역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p<0.01)로 나타나 네 가지 유형 중 어느 한 가지의 특성이 높으면 다른 특성들도 모두 높으며, 전반적인 직업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라 전공시간에 전문직 태도 및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확대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는 것이 습득되었고, 자신의 업무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이라는 인식이 고취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인문학적 소양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 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서 론

사람은 직업을 통해 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삶의 의미와 보람을 찾고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갖는다. 최근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면서 지식과 정보가 개인 및 국가 경쟁력의 주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평생학습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삶과 일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직업세계의 변화에 대한 능력을 함양하고 바람직한 직업의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1).

직업이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계속하여 종사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산업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이 일정한 직업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을 통하여 생계를 유지해 나가고 또한 사회적 역할 분담으로 사회가 유지 발전하고 아울러 개성 발휘와 자아실현으로 자기 성취의 욕구를 충족해 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직업의 선택은 불가피하며, 직업을 선택할 때는 일반적으로 개인의 특성과 직업의 특성을 고려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직업을 바라보는 관점인 직업의식이다2).

직업의식은 직업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을 뜻한다. 이것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변하지만 상당기간 지속되고 쉽게 변하지 않는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특유한 태도, 도덕관, 가치관 등을 말하며,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내지 개인적인 사회적 연대성을 가지며,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과 자주성을 깨달아 스스로 아는 것을 말한다3).

Zytowski4)는 직업가치관을 진로결정시 고려하게 되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으로 보고 있으며, Kalleberg5)는 직업가치관을 개인이 자신의 직업에 관하여 가지는 생각 즉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한 관점이라고 좀 더 일반화된 정의를 내리고 있다.

대학은 학생들에게 깊이 있는 전문지식과 교양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한편, 진로와 취업지도를 통하여 학생들이 사회에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조력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졸업생의 취업문제는 대학에서의 직업지도 차원에서 더욱더 심층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문제로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과 관계된 진로지도나 진로상담은 빈약한 현실이다. 이는 치위생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에서도 예외는 아니다6).

치위생과 재학생은 졸업 후 치과위생사라는 전문직으로 활동하게 되며 치과 의료계의 중요한 일익을 담당하고, 지역주민과 치과질환을 가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예방처치, 치과진료협조 및 경영관리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치과위생사는 최근 현대의료 환경의 첨단화, 의료서비스의 경쟁, 고객 대상자들의 욕구 다양화로 지속적인 의료 환경 변화에 적응해 나가야 하며, 시대의 요구에 맞추어 능력있는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해 봉사지향적인 직업으로서 높은 책임감과 봉사정신, 그리고 윤리의식을 갖추어야 한다7). 그러므로 치위생과 졸업자는 뚜렷한 직업의식이 필요하다.

자신의 직업에 호의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들만이 보다 높은 열의를 가지고 그 일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올바른 직업의식은 사회와 경제발전의 중요한 요인의 하나일 뿐만 아니라 조직의 각 구성원들이 지닌 직업의식 수준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직무수행결과 그리고 조직의 성과가 달라지기도 한다8).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준비 및 취업의식에 관한 연구 논문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9-11). 그러나 직업의식과 취업가치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위생과 졸업예정자들의 직업의식 및 취업가치관에 관련된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 취업준비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학이나 기관에서 보다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취업지도를 실시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되는 데 의미를 두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이 연구는 서울, 경기, 강원, 경남 지역의 5개 대학 3년제 치위생과 졸업예정자 여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에서 한 문항이상 작성이 안 되었거나, 일괄적으로 작성된 33명의 자료를 제외한 317명의 설문자료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자로부터 교육을 받은 조사원들에 의해 자기기입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기간은 2014년 9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4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2. 연구방법

직업의 견해 및 직장선택의 조건으로는 나이, 치위생과 전공 만족도, 치과위생사의 직업전망, 취업희망기관,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한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이유, 전공분야로 취업을 고민하는 이유, “직업의식”과 관련한 교과목의 개설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하였다.

직업의식은 Han2)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전문직종, 학술관련, 대인관계, 근로윤리의 4항목으로 총 18문항으로 신뢰도는 0.711∼0.781이다(Table 1).

Table 1.Job-Consciousness Level Question Reliability

3. 자료분석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19.0 (IBM Co.,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대상자의 직업의 견해 및 직장선택의 조건에 관한 견해는 빈도분석을 하였다. 직업의식, 전공만족도에 따른 직업의식에 관련된 견해는 t-test와 ANOVA를 검정 후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직업의식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취업가치관

연구대상자는 총 317명 졸업예정자 여학생으로 연령은 20∼22세 82.0%, 23∼25세 15.1%, 26∼28세 2.8%로 나타났고, 전공학과 만족도는 만족 32.8%, 보통 61.2%, 불만족 6.0%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취업가치관으로 치과위생사의 직업전망은 조금 발전적이다 55.2%, 지금과 차이가 없을 것이다 27.4%, 매우 발전적이다 16.4%, 기타 0.9% 순으로 나타났으며, 취업희망기관으로는 치과병원 43.2%, 치과의원 24.3%, 보건(지)소 12.0%, 종합병원 6.9%, 대학병원 6.0%, 기타 7.6%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경우 90.5%, 아직 고민 중으로 답한 경우 9.5%이고,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보수와 근로환경이 좋다고 생각한다 24.0%, 치과위생사의 장래성이 밝기 때문 22.1%, 전공 관련 일이 나의 적성과 흥미에 맞기 때문 21.5%, 일에 관한 자긍심과 보람을 가질 수 있기 때문 13.2%, 기타 9.8%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고민 하는 이유로는 적성과 흥미에 맞지 않아서 5.4%, 보수와 근로환경이 열악해서 1.9%, 치과위생사로서 직업에 대한 자긍심이 없어서 1.3%, 기타 0.9%, 치과위생사의 장래성이 불안정하기 때문 0.3% 순으로 나타났고, 교육과정에 “직업의식”과 관련한 교과목이 개설 필요성으로 필요하다 66.6%, 필요없다 33.4%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 Values (n=317)

2. 연구대상자의 직업의 견해 및 직장선택의 조건

연구대상자의 직업의 견해로는 생활수입을 위한 수단이다 69.7%, 출세 및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16.1%, 꿈과 자아실현의 터전이다 14.2% 순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선택의 조건으로는 인간관계가 좋은 직장 35.0%, 근무조건이 좋은 직장 33.4%, 발전 가능성이 있는 직장 12.0%, 보수가 많은 직장 11.4%, 일에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직장 6.3%, 재능, 개성에 적합한 직장 1.9% 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Table 3.The Views and Work Conditions of the Job Selection (n=317)

3. 연구대상자의 직업의식도 정도

연구대상자의 직업의식의 전문직종에 관한 질문에는 구강보건향상의 일익을 담당하는 직업이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술관련으로는 치석제거는 치과의사보다 더 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인관계 부분에서는 동료와는 화목은 업무효율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가 높게 나왔고, 근로윤리에서는 치과병(의)원 발전과 치과위생사 발전은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가 높게 나왔다(Table 4).

Table 4.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4. 연구대상자의 전공만족도에 따른 직업의식

연구대상자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의식 부분에서 전문직종의식과 근로윤리의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Table 5).

Table 5.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a,bSame letters indicate statistically different by Scheffe multiple comparison. *p<0.05.

5. 직업의식 영역간의 상관관계

직업의식의 영역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어 네 가지 유형 중 어느 한 가지의 영역이 높으면 다른 영역들도 모두 높으며, 전반적인 직업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Table 6).

Table 6.**p<0.01.

 

고 찰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사람들은 하고 싶은 일, 보람된 일을 추구하고 중요한 사회적 활동인 직업을 가지는데, 직업은 개인에게 사회구성원으로서 자격을 부여하고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9).

대학생 시기는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앞두고 있으므로 진로결정과 준비의 측면에서 특히 중요한 시기이며, 높은 직업의식을 갖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대학 졸업예정자에게 있어서 진로 및 직업을 선택하는 일은 개인이 결정해야 하는 수많은 문제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 중 하나이다12). 개인이 성장하며 경험한 다양한 환경과 그에 따른 가치관은 학생들의 취업가치관 및 직업의식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의 치위생과 학생들은 다양한 임상실습 및 임상현장에서의 경험으로 이루어진 교육과정을 거치며 습득한 전문지식과 전문적 직업의식을 바탕으로 과거 치과위생사가 진출할 수 있었던 취업의 장보다 더욱 다양한 방면으로의 취업이 가능해졌다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의 졸업 후 진로를 지도하기 위하여 졸업예정자들의 직업의식 및 취업가치관을 조사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직업전망은 조금 발전적이다 55.2%, 지금과 차이가 없을 것이다 27.4%, 매우 발전적이다 16.4%, 기타 0.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생각하는 치과위생사에 대한 직업적인 전망은 치위생과에 재학 기간에 전공수업시간과 임상실습 등으로 접한 치과위생사의 근무여건 및 근무행태가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한다 90.5%, 아직 고민 중이다 9.5%로 나타났고,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는 보수와 근로환경이 좋다고 생각한다 24%, 치과위생사의 장래성이 밝기 때문 22.1%, 전공 관련 일이 나의 적성과 흥미에 맞기 때문 21.5% 순으로 나타났고, 전공분야로 취업을 고민하는 이유로는 적성과 흥미에 맞지 않아서 5.4%, 보수와 근로환경이 열악해서 1.9%, 치과위생사로서 직업에 대한 자긍심이 없어서 1.3%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의 견해로는 생활수입을 위한 수단이다 6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분야로 취업을 원하지만 취업은 생활수입을 위한 것으로 나타나 급여의 조건에 따라 이직률이 높아질 가능성을 제시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직장선택의 조건으로는 인간관계가 좋은 직장 35.0%, 근무조건이 좋은 직장 33.4%, 발전 가능성이 있는 직장 12.0%, 보수가 많은 직장 11.4%, 일에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직장 6.3%, 재능, 개성에 적합한 직장 1.9% 순으로 나타났다. 직장 선택의 조건 중 발전가능성이 있는 직장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Lee 등10)과 Han2)의 연구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취업가치관 및 직업의식이 변화된 것으로 보인다. 직업은 개인적 차원에서는 자아실현과 재화의 획득이지만 사회적 측면에서는 사회적 책임감을 수반하는 것이며, 자발성과 자율성에 기초하여 전문직업인은 다양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직업적 행위를 해야한다14).

직업의식의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동료와의 화목은 업무효율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가 3.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문직종 영역에서 구강보건향상의 일익을 담당하는 직업이다와 학술관련 영역에서는 치석제거는 치과의사보다 더 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가 각각 3.27점으로 나타났으며 근로윤리 영역에서는 치과병(의)원 발전과 치과위생사 발전은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가 3.16점으로 나타나 Han2)의 연구와 Lim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치과진료, 양질의 치과의료 서비스를 위해 동료와의 팀워크가 중요함을 자각하며 자신의 맡은 업무에 대한 애착과 자긍심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연구대상자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의식 부분에서 전문직종의식과 근로윤리의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는 전공시간에 전문직 태도 및 직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며 확대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는 것이 습득되었으며, 자신의 업무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이라는 인식이 고취되어 보여진 결과라 할 수 있다15).

직업의식의 영역간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어 네 가지 유형 중 어느 한 가지의 특성이 높으면 다른 특성들도 모두 높으며, 전반적인 직업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나 Jang16)의 연구와 Lim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졸업예정자들의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졸업 후 취업에 대한 가치관과 직업의식이 높게 나타나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전문직으로서 치과위생사에 대한 확신과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바람직한 취업지도 방안을 모색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은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일부 대학의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주의가 요구되며, 취업가치관 및 직업의식과 관련된 문항개발과 4년제 학제의 치위생학과 졸업예정자를 포함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References

  1. Park DY, Kim DY: A status of vocational consciousness of students in a regional University. KOSOVE 25: 1-32, 2006.
  2. Han GS: Research on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based on the students expecting graduation-. Gachon Gill College Incheon 29: 477-489, 2001.
  3. Kim H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997.
  4. Zytowski DG: The concept of work values.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18: 176-186, 1970. https://doi.org/10.1002/j.2164-585X.1970.tb00231.x
  5. Kalleberg AL: Work values and job reward. A theory of job satisfaction. Am Sociol Rev 42: 124-143, 1977. https://doi.org/10.2307/2117735
  6. Lee SM: Factor analysis in the work values types of freshmen ʼs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J Dent Hyg Sci 4:55-60, 2004.
  7. Lee YS, Jang JH, Moon A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tress on job satisfaction in oral health professional. J Korean Acad Dent Health 11: 823-831, 2011.
  8. Katzell RA, Thompson DE: Work motivation: theory and practice. Am Psychol 45: 144-153, 1990. https://doi.org/10.1037/0003-066X.45.2.144
  9. Han SJ, Lee SM, Lim MH: A survey on preliminary dental hygienists’ senses of employment. J Korean Acad Dent Health 7: 583- 594, 2007.
  10. Lee SM, Kim SC, Han S: A study of work values on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J Dent Hyg Sci 5:239-244, 2005.
  11. Hwang JY, Yang SY, Son GY, Won BY, Oh SH: Employment preparation and job preference of dental hygiene majoring stud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13: 677-684, 2013.
  12. Jin HJ, Kim HY. Dental hygiene freshmen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its influence perception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J Korean Acad Dent Health 11: 893-900, 2011.
  13. Lim MH. A study on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freshmen of major and occupation. J Dent Hyg Sci 6: 244-284, 2006.
  14. Kang BW. A study on the ethical valu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10: 1-18, 2010.
  15. Kim MK, Jung YR, Han HJ: A study on the job values and job prefer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Acad Dent Health 9: 1-11, 2009.
  16. Jang JH. A research of freshmen's motives entering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s to their major. Jinju Health College Jinju 22: 181-198, 1999.

Cited by

  1. Clinical training and career planning of dental hygienist students in Jeju province vol.45, pp.4, 2015, https://doi.org/10.21851/obr.45.04.202112.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