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marketing system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has been criticized as it mainly depends upon private local dealers, having too many step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we believe, which makes it less efficient. Meanwhile, there were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of how they are delivered to consumers. In order to devise and implement targeted forest policies efficiently, it is quite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nnel of them.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nnel of chestnut, bitter persimmon, oak mushroom, and wild greens by data analysis, field and phone survey, and then drew an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marketing system. First of all, the number of middle step has to be reduced and the direct transaction has to be expended. In addition, we need to have more active involvement of Forest cooperative in production sites, adding values by processing, and the upgrade of current marketing centers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which have been launched since 2004 by Korea Forest Service.
단기소득 임산물의 유통이 산지유통인에 의존하는 예전 방식 그대로이고,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 많은 단계를 거쳐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은 많이 있어왔지만 생산된 단기소득 임산물이 소비자에까지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단기소득 임산물의 유통경로를 파악하는 것은 임산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맞춤형 산림정책을 고안하고, 이의 시행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밤, 대추, 떫은감, 표고버섯, 산채 등 5개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생산지, 중간, 소비지 유통경로를 설문조사, 현장조사 등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단기소득 임산물 유통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유통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유통단계 축소 및 직거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산림조합의 임산물 유통 역할확대, 상품화 및 가치 제고, 그리고 유통센터 업그레이드 등도 추진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