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온과 염분이 능성어(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난 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e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조재권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 홍창기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 박종연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 손맹현 (남서해수산연구소 해역산업과) ;
  • 박충국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
  • 박재민 (경상북도 토속어류산업화센터)
  • 투고 : 2015.01.21
  • 심사 : 2015.03.22
  • 발행 : 2015.03.31

초록

본 연구는 해상가두리에서 사육한 능성어의 수정란을 가지고 난 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정란은 유백색의 구형으로 분리부성란이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난 발생 과정 동안의 수온은 $21.5{\sim}23.5^{\circ}C$(평균 $22.0{\pm}0.05^{\circ}C$), 염분은 32.0~33.0 psu (평균 $32.5{\pm}0.05psu$) 범위였다. 각 수온조건별로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15^{\circ}C$에서 29시간, $20^{\circ}C$에서 27시간, $25^{\circ}C$에서 24시간, $30^{\circ}C$에서 17시간, $35^{\circ}C$에서 15시간이 소요되었다. 염분별 부화율은 15 psu에서 80.0%, 20 psu에서 81.8%, 25 psu에서 86.4%, 30 psu에서 89.1%, 35 psu에서 79.1%로 25~30 psu에서 가장 부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형율은 저염분 구간인 15 psu (20.0%)와 20 psu (18.2%)보다 35 psu에서 기형율이 20.9%로 가장 높았다. 각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 (t:hour)과 수온($T:^{\circ}C$)과의 관계는 직선함수식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발생에 있어 난 발생이 진행되지 않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5.4^{\circ}C$로 추정되었다.

We studi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e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under sea cage culturing condition. In regard to rearing environment, the water temperature is $21.5{\sim}23.5^{\circ}C$ (mean $22.0{\pm}0.05^{\circ}C$) and the salinity is 32.0~33.0 psu (mean $32.5{\pm}0.05psu$). The time of egg development was positively proportional to water temperature with 29 hrs, 27 hrs, 24 hrs, 17 hrs, 15 hrs after fertilization in $15^{\circ}C$, $20^{\circ}C$, $25^{\circ}C$, $30^{\circ}C$, $35^{\circ}C$ respectively. Each of the salinity hatching rate was 80% in the section of 15 psu, 81.8% in the section of 25 psu, 89.1% in the section of 30 psu, and 79.1% in the section of 35 psu. All things considered, the highest hatching rate appeared in the range of the section of 25~30 psu. Abnormalities of low salinity section, such as 15 psu (20.0%) and 20 psu (18.2%), was lower than the abnormalities of 35 psu that belongs to high salt section. The relation between the time of egg development (t:hour) and water temperature ($T:^{\circ}C$) was represented by the mathematical formulae. The mean biological minimum temperature was $5.4^{\circ}C$.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희웅.전제천.강덕영.조기채.최기호.김규희. 2009. 동갈돗 돔, Hapalogenys nitens 난과 자치어의 생존 및 성장에 미치는 저염분 및 저수온의 영향. 한국어류학회지, 21: 158-166.
  2. 김병호.김경민.이영돈.송춘복.노 섬. 1997.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번식생물학적 연구 I. HCG 처리에 의한 배란유도. 한국양식학회지, 10: 55-61.
  3. 김영수.도용현.김수연.장영진. 2010.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수정란의 수온별 발생 속도. 발생과 생식, 14: 59-63.
  4. 김익수.최윤.이충렬.이용주.김병직.김지현. 2005. 한국어 류대도감. (주)교학사, pp. 276-286.
  5. 변순규.이성훈.황재호.한경호.연인호.김진도.이종하.이배익. 2009. 수온이 찰가자미(Microstomus achne)의 난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발생과 생식, 13: 265-270.
  6. 손상규.전세규. 1999.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바이러스의 병원성 연구. 한국어병학회지, 12: 107-113.
  7. 송영보.백혜자.김형배.이경준.Kiyoshi Soyano, 이영돈. 2005. $17{\alpha}$-methyltestosterone에 의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성전환 유도. 한국양식학회지, 18: 167-172.
  8. 송영보.백혜자.김형배.Kiyoshi Soyano.김세재.이영돈. 2008. HCG 처리에 의한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성숙과 배란유도. 한국양식학회지, 21: 96-101.
  9. 양문호.최영웅.정민민.구학동.오봉세.문태석.이창훈.김경민.한석중. 2007. 자바리, Epinephelus bruneus의 난 발생과 부화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발생과 생식, 11: 105-109.
  10. 오봉세.최영웅.구학동.김성철.정민민.박흥식. 2010. 벵에돔 Girella punctata와 긴꼬리벵에돔 Girella melanichthys의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발생과 생식, 14: 51-58.
  11. 오상규∙김맹진∙송춘복. 2004. 감성돔 알의 생존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한국양식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요지집, 5월 2004, pp. 209-210.
  12. 이영돈.고경민. 2003. 능성어 번식기술개발을 통한 양식 산업화. 제주대학교, 제주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 pp. 45-50.
  13. 이정용.김완기.장영진. 1997. 참가자미, Limanda herzensteini의 난 발생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한국양식학회지, 10: 357-362.
  14. 이정용.이채성.김완기.박상언.민병화. 2007. 태평양 대구 Gadus macrocephalus 채란, 부화 및 자어성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한국양식학회지, 20: 260-264.
  15. 이창규.허성범.박 승.김병균. 1997. 산란기간중의 붉바리 난 질 변화. 한국양식학회지, 10: 463-472.
  16. 전제천.노 섬. 1991.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Temminck et Schlegel) 난 및 자치어의 염분 내성에 관한 연구. 한국양식학회지, 4: 73-84.
  17. 한경호.조재권. 2007. 수온이 졸복 Takifugu pardalis의 난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양식학회지, 20: 265-269.
  18. 한형균.강덕영.허성범.김성원. 2001.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초기 발달, 성장 및 생존율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한국양식학회지, 14: 17-27.
  19. 황형규.김대현.박민우.윤성종.이윤호. 2008.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난 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수온, 염분의 영향. 한국양식학회지, 21: 234-238.
  20. Kato, K., K. Ishmaru, Y. Sawada, J. Mutsuro, S. Miysshita, O. Murata and H. Kumai. 2004. Ontogeny of digestive and immune system organs of larval and juvenile kelp grouper Epinephelus bruneus reared in the laboratory. Fish Sci., 70: 1061-1069. https://doi.org/10.1111/j.1444-2906.2004.00906.x
  21. Kawabe, K. and H. Kohno. 2009.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l and juvenile blacktip grouper, Epinephelus fasciatus. Fish Sci., 75: 1239-1251. https://doi.org/10.1007/s12562-009-0128-7
  22. Kitajima, C., M. Takaya, Y. Tsukashima and T. Arakawa. 1991.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reared in the laboratory, Japan. J. Ichthyol., 38: 4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