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민경배, 신명희, 류태호, 곽선혜 (2014). 국내 대학 e-러닝의 운영 특징 및 수강자 요구 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31-39.
- 이정민, 노지예 (2014). 모바일 과학학습 성과 에 대한 시간관리, 유용성, 흥미의 예측력 검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1). 65-73.
- 교육부(2013). 초.중.고 학교 스마트기기 보유 현황.
- 산업통상자원부(2014). 이러닝산업실태조사.
- J. H. Huang, Y. R. Lin, and S. T. Chuang (2007). Elucidating user behavior of mobile learning: A perspective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lectronic Library, 25(5). 585-598. https://doi.org/10.1108/02640470710829569
- S. Y. Park, M. W. Nam, and S. B. Cha,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Evalua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ducational Technology, 43(4). 592-605.
- Y. S. Wang, M. C. Wu, and H. Y. Wang,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and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0(1). .92-118. https://doi.org/10.1111/j.1467-8535.2007.00809.x
- 주영주, 정애경, 정유진 (2015).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에서 사이버대학생의 모바일 자기효능감과 이동성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1). 55-68.
- 강명희, 신은미, 유지원(2013). 외국어 학습에서 모바일러닝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교육공학연구, 29(3), 637-665.
- Venkatech, V., Morris, M. G., Davis, G. B., & Davis, F. D. (2003). Users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 S. Y. Park, M. W. Nam, and S. B. Cha,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mobile learning: Evaluat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ducational Technology, 43(4). 592-605.
- Rice, R. E. (1993). Using network concepts to clarify sources and mechanisms of social influence. Communication Science, 12. 75-93.
- Rice, R. E., & Aydin, C. (1991). Attitudes toward new organizational technology: network proximity as a mechanism for socail information processing.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6(2). 219-244. https://doi.org/10.2307/2393354
- 한정선, 김소희 (2006). 웹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정보기술에 대한 태도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논의.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4), 29-50
- Allport, G. W. (1935). Attitudes. In C. Murchison. Handbook of socila psychology. Worcester, MA: Clark University Press.
- 이재신 (2006). 기술 사용에 대한 태도 변화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종단적 연구: 개인의 주관적 판단과 사회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0(6). 388-414.
-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 박성열, 남민우 (2012). 정보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대학생 모바일러닝 사용의도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1). 51-75.
- 권오준 (2010). 스마트폰 잠재수용자의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1(1). 55-83.
- 전새하, 박나래, 이중정 (2011). 공공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0(2). 97-112.
- Karahanna, E., Straub, D. W., Chervany, N. L., (1999). Information technology adoption across time: A cross-sectional comparison of pre-adoption and post-adoption beliefs. MIS Quarterly, 23(2) 183-213. https://doi.org/10.2307/249751
-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 송태민 (2010). 정부기관 웹 사이트 만족도 및 사용태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보건복지가족부 관련기관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0(1), 242-261.
- M. Fishbein, I. Ajzen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Cambridge, MA: Addison-Wesley.
- Moran, M., Hawkes, M., & Gayer, O, E., (2010). Tablet personal computer integration in higher education: apply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technology model to understand supporting factors.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42(1). 79-101. https://doi.org/10.2190/EC.42.1.d
- 이문봉 (2012). 혁신성이 SNS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UTAUT를 중심으로. 한국산 업정보학회논문지. 17(7). 177-186.
- 이종옥, 김용문 (2013). 국내 스마트폰 사용 자들의 앱북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8(3). 45-67. https://doi.org/10.7838/jsebs.2013.18.3.045
-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 조규락 (2012). 고등학생의 모바일 러닝 실태 및 인식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6). 5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