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spective Changes of English Digital Textbook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보편적 학습 설계에 근거한 영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선 방안

  • 김정렬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 Received : 2015.03.17
  • Accepted : 2015.04.14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One of the issues with the textbooks pertinent to the current study is whether or not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factors have been dealt to satisfy students with different aptitudes in learning the core objectives of the lessons. This study develops a modified version of the UDL analysis criteria from the cross curricular criteria to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uses it to analyze the sequence of digital English textbooks to investigate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UDL factors in the new textbooks. The result shows that the textbook is designed most favorably to the students with the talent of linguistic aptitude and less favorably to the students with other types of aptitudes. The sequence analysis shows that sentence/word length and appearance of new words are incrementally sequenced as students advance upper grades. However, the syntactic complexity of middle school curves up steepl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 UDL analysis will provide learning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digital English textbooks to cover different aptitudinal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학습 설계 준거를 제시하고 이 준거를 활용하여 현재 실험학교에서 운용되고 있는 영어과 디지털교과서를 분석함에 있다. 보편적 학습 설계 준거를 기준으로 디지털 교과서가 학년과 학급급간에 의사소통기능별로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디지털 교과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디지털 교과서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학습자들 중에 언어적 적성이 있는 학생들에게 친화적인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적성의 학생들은 불리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어휘의 계열성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서 적절하게 복잡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통사적 복잡성은 중학교에서 갑자기 문장당 어휘수가 급격하게 올라가면서 보편적 학습 설계 준거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보완이 시급하다. 서책형 교과서와 달리 디지털 교과서는 멀티미디어 자원의 통합이 용이하고 볼륨의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디지털 교과서를 구성할 때에 이를 사용하는 학습자들이 가진 언어적 적성 외에 다양한 적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2년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추진계획, 교육부, 2012.
  2. D. Rose and A. Meyer, A practical reader i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rvard Education Press, 2006.
  3. S. Burgstahler and R. Cory, Universal Design in higher education: From principles to practice, Harvard Education Press, 2008.
  4. C. Schelly, P. Davies, and C. Spooner, "Student perceptions of faculty implement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J. of Postsecondary Education and Disability, Vol.24, No.1, pp.17-28, 2011.
  5. 변호승, 최욱, "전자교과서의 국내외 동향과 개발 절차," 초등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177-193, 2002.
  6. 박현아, 수준별 디지털 초등영어 교과서 운영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출간 박사학위논문, 2012.
  7. S. Krashen,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nd implications, Laredo Publishing Co Inc. 1985.
  8. 김진석, "영어과 교육과정 및 교재개발에서의 연계성 기준", 영어교육연구, 제19권, 제2호, pp.215-234, 2007.
  9. 전문기, "Coh-Metrix를 이용한 중학교 1학년과 2학년 개정 영어교과서 읽기 자료의 코퍼스 언어학적 연계성 분석", 언어과학연구, 제56권, pp.210-218, 2011.
  10. M. Templine, Certain language skills in children: Their development and interrelationships,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57.
  11. A. Graesser, D. McNamara, M. Louwerse, and Z. Cai, "Coh-Metrix: Analysis of text on cohesion and language," Instruments & Computers, Vol.36, pp.193-202, 2004. https://doi.org/10.3758/BF03195564
  12. M. Halliday and R. Hasan, Cohesion in English, Longman, 1976.
  13. T. Landauer, "LSA as a theory of meaning," In T. Laudauer, D. Mcnamara, S. Dennis, and W. Kintch (Eds.), Handbook of latent semantic analysis(pp.3-34), Erlbaum, 2007.
  14. N. Schmitt, Vocabulary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5. L. Lotto and A. de Groot, "Effects of learning method and word type on acquiring vocabulary in an unfamiliar language," Language Learning, Vol.48, No.1, pp.31-69, 1998. https://doi.org/10.1111/1467-9922.00032
  16. 김정렬, 천윤희, "코퍼스 언어학적 분석을 통한 초.중등 영어 교과서의 연계성 연구: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대상으로," 영어교육, 제63권, 제2호, pp.361-394, 2008.
  17. 양지윤, 김정렬, "Coh-Metrix를 통한 초중등 영어교과서 연계성 분석", 영어교육, 제67권, 제2호, pp.319-341, 2012.
  18. 한종임, 성춘자, 고범석, 정의석. 디지털 영어교재 개발 사업 성과 분석 연구, (연구보고 KR 2008-0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9. E. Charniak, "A Maximum Entropy Inspired Parser," Proceedings of the First Conference on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Morgan Kaufmann Publishers, pp.132-139, 2000.
  20. 주재호, 김현숙,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어교과서 연계성에 대한 연구", 영어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77-96, 2002.
  21. 윤수경, 김명지, 최준호, "디지털교과서의 상호작용성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205-22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205
  22. 김미혜, "디지털교과서 내용구성에 관한 사용자 선호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2호, pp.900-911,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