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Public Design Development Plan for Traditional Culture Transmission Zone -With Focus on Public Design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Daechon-dong Theme Park-

전통문화 전승지구 공공디자인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 황요순 (조선대학교 대학원 디자인경영학과) ;
  • 임채형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5.02.05
  • Accepted : 2015.07.06
  • Published : 2015.07.28

Abstract

Amidst various efforts which have been made to revive a city, the potential discover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based on copious cultural heritages is extremely significant. Therefore, in this study, qualitative researches were conducted based on bibliographic data and image materials centered on public design of Theme Park in Daechon-dong,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case studies verifying the identity of Korean public design through countless numbers of research materials. However,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 common fact because it's essential to find the national legitimacy and regional identity by tiding over problems in standardized urban development through well-designed development plan for history, living and economy bloc among the regional traditional cultural assets while rejecting the meaning in an excessively broad sense. The spaces assigned with significance are cultural contents embedded with cultural original form of the region and there is room for creative development in order to generate city brand value and to activate the spa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spatial interpretation of Daechon-dong's Theme Park and the methodology of semiotic spatial planning can not only be applied but also in that this study has demonstrated positive effects on space.

도시를 재생 발전시키려는 다양한 노력들 중에서 풍부한 문화유산을 바탕으로 한 공공디자인의 발전에 대한 잠재적인 발견은 매우 의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국내 지자체의 유사한 환경에 대한 공공디자인 활용가치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정체성에 대하여 지나친 광의(廣義)의 의미를 지양(止揚)하고 지역의 전통문화지역 자산 중 역사와 문화, 생활경제권의 계획적인 발전 방안을 통해 입지현황 분석 및 전통문화의 중요성과 그에 따른 파급효과가 "광주광역시 대촌동 테마파크"에 미치는 결과에 대해 논의 하였고, 그 결과 국내 외의 테마파크 공공디자인에 전략 및 개발 연구설계에 따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의미가 부여된 공간은 지역의 문화원형적 소재를 내포한 문화콘텐츠로서, 공간의 활성화 및 광주광역시의 도시브랜드 가치창출을 위한 창의적 발전의 여지를 갖게 하는 것이다. 이에 대촌동 테마파크 공간해석과 기호학적 공간기획의 방법론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 본 연구가 공간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으로써 국내의 '전통문화 전승지구 공공디자인 발전'에 대한 모멘텀(Momentum) 환경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체부,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아시아문화중심 도시 7대문화권역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 종합계획(광주광역시 남구 구정 4개년계획), 2012.
  2. 박영춘, "'도시의 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회논문지, 제37권, 제4호, pp.29-31, 2002.
  3. 박양호, 도시재생지원사업단, "한국의 참여형 도시.마을 만들기", 국토연구원, 제2-22호, pp.16-19, 2011.
  4. 조혜진, 도시 사인시스템에 적용된 환경색채 연구: 서울시 '종로 업그레이드 프로젝트' 정책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58-60, 2007.
  5. 조원석, 김흥기, "공공디자인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해외 사례의 조사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지, 제11권, 제3호, p.18, 2009.
  6. 곽진민, 이은미, "브랜드에 생명을 불어넣는 스토리텔링 마케팅", KT경영연구소, pp.2-4, 2010.
  7. 김은선, 공간 스토리텔링 기획 연구 : 나주 역사.문화자원이 분포된 공간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3, 2009.
  8. 이지홍, 지역 문화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공공기관의 외부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30, 2009.
  9. 이승희, 도시공간의 가로시설물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7, 2009.
  10. 이승희, 도시공간의 가로시설물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8, 2009.
  11. Bill Backer, The Care and Feeding of Ideas, New York Books,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