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대한지리학회지)
- Volume 50 Issue 2
- /
- Pages.185-201
- /
- 2015
- /
- 1225-6633(pISSN)
Overcoming the Discourse of Foreignness: A Study on Class Positionality and Dual Identity of Korean Housemaids and Korean-Chinese Domestic Workers
외국인 담론 극복하기: 식모와 조선족 입주 가사노동자의 계급적 위치성과 이중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 Park, Soyoung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소영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5.03.04
- Accepted : 2015.04.11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how Korean housemaids, called Sikmo, and Korean-Chinese migrant domestic workers have similar class positions and therefore form a dual identity in their interactions with female employers. rough spoken stories of the experiences of 27 females from Seoul, including Korean-Chinese domestic workers, Korean housemaids, and their employers, this research effectively overcomes the dichotomous discourse of natives versus foreigners. Instead it suggests the new interpretation that it is not foreignness but class inferiority of the domestic workers that plays a key role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employers. Korean housemaids and Korean-Chinese domestic workers, both groups of whom are migrant workers, have developed coping strategies to enhance their labor value by spatially relocating themselves from their home society to a new society. They possess a similar labor status in women's history, being of low income, low education, and rural births. Consequently, these women experience 'translocal anchoring,' meaning their identities are intertwined with that of their home societies, and employers perceive th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laces. The Korean employers perceive that the domestic workers' morality and intellectuality are inferior based on their class differences. This stigmatizing process leads employers to regard domestic workers as ambivalent people, not only threatening outsiders but also objects of pity, needing love and protection of their employers. The employers educate them culturally, teaching them skills to survive in the urban environment. These skills include cooking and language, in addition to advice on long-term plans to blend into society.
본 연구는 식모와 조선족 가사노동자가 한국인 고용주와의 관계에 있어 유사한 계급적 위치성을 지니며 이중적인 정체성을 형성함에 주목한다. 서울에 거주하는 27명의 조선족 가사노동자와 고용주, 식모 고용주와의 인터뷰를 토대로, 본 논의는 내국인-외국인의 이분법적 담론에서 벗어나 단순히 외국인성(foreignness)이 아닌 여성 노동자가 가진 계급적 열악함이 고용주와의 관계 형성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식모와 조선족 여성은 자신이 살던 지역사회를 떠나 새로운 사회로 공간을 재배치함으로써 스스로의 노동가치를 향상시키는 생존 전략을 취해 왔다. 그들은 시골 출신, 저소득, 낮은 수준의 교육 등 여성 노동 역사 상에서 유사한 노동 지위를 지녔으며 이주 후에도 자신의 정체성이 소속문화, '그곳'에 얽매이고 평가되는 초지역적 정박(tranlocal anchoring)을 겪는다. 또한 한국인 고용주는 식모와 조선족 가사 노동자의 도덕성과 지적 능력을 그들이 가진 계층 차이에 근거해 평가한다. 이러한 일련의 낙인 찍기 과정은 고용주가 가사노동자를 위험에 처한 본인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존재인 동시에 애정과 보호를 받아야 할 이중적인 존재로 인식하도록 만든다. 고용주들은 그들이 도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요리나 언어를 가르치는 등 문화적으로 교육하고 장기적인 생애 계획을 조언해주기도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