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화재 피해 관련요인 분석

Analyses on Related Factors with Fire Damage in Korea

  • 투고 : 2015.04.16
  • 심사 : 2015.06.29
  • 발행 : 2015.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화재로 인한 피해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사전 연구를 살펴보고, 주요 화재피해 결정요인에 대한 모델을 만들고 지역환경 요소와 화재피해요소의 변수를 선정하여 상호인과관계 모형을 정립하였다.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28개의 시군구 자치단체별로 공표된 통계를 선정하여, 화재피해에 대한 4개의 종속변수와 22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하여 검증을 하였다. 독립변수는 인적 취약성, 물리적 취약성, 경제적 취약성 및 경감요소와 지역의 특성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선택된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준로그 모형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22개의 독립변수 중에서 만명당 재난약자수, 만명당 제조업 종사주수, 만명당 연료소매업 종사자수, 만명당 음식 요식업 종사자수는 화재의 발생건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이와는 달리 화재로 인한 사망자수는 만명당 사회복지사수와 상업지구비율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외에 화재로 인한 경제적 손실값을 설명하는 변수로는 만명당 부과된 재산세가 유의미한 변수로 도출되었다. 단순히 인구와 면적으로 소방에 필요한 자원을 배분하지 않고 피해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 결과물은 화재예방정책과 화재안전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fire damage are analyzed through previous research reviews. Local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those factors attributed to fire damage (number of fire events, number of injured, number of death, economic loss) were selected to compose mutual relationship model. In order to verify this relationship model, official statistics concerning fire damage were collected from 228 local governments and compared with results from previous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comparison four dependent variables and 22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fire damage were analyzed. Independent variables are divided into human vulnerability factors, physical vulnerability factors, economic vulnerability factors, mitigating factors and local characteristic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selected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we applied a semi-logarithm model and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22 independent variables, the number of the weak to disaster, social welfare service workers,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number of workers in restaurants and bars per 10,000 people show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fire incidence. The number of death from fir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wo variables which are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service workers per 10,000 and the ratio of commercial area. Damage cost is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property taxes per 10,000 people. These factors were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as vulnerability factors (human, physical, economic) and mitigating factors and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validity of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e result could contribute to fire-fighting resource allocation in Korea or they can be utilized in establishing fire prevention policy, which will enhance the national level of fire safe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