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Rotoscoping Images in Jonas Odell's Animations

요나스 오델(Jonas Odell)의 작품 세계에 나타난 디지털 로토스코핑 이미지의 특성

  • 김영옥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 Received : 2015.05.01
  • Accepted : 2015.05.30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Although Rotoscoping technique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o mimic the natural and smooth motion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its artistic value was devalued as tricks because it traces the already recorded images. But the fact that the rotoscoping images can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animation and live action in an infinite integral freedom in the digital era became rather expansive new aesthetic possibilities of representation of the reality. In addition, Jonas Odell's animations such as (2010), (2008), (2006) are good example to prove that the rotoscoping images also can serve as means to enhance its narrative.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rotoscoping images act as a unique role in relation with the narrative based on the said person's real stories and realistic images. I argue that his animated films constantly contain these three characteristics -Images to mediate Auditory sensitivity as a record of inner metaphysical reality, anonymous images to represent a specific existential character, and images that act as physical representation that holds the physical space/time and related memory. This reveals that rotoscoping images in this digital era went beyond reproduction for natural movements or special type of style. It rather suggests new layers of experience, and acquires new value in animation.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serve as a foundation to rediscover and re-position the value of rotoscoping images as well as good opportunity to introduce very talented swedish animation artist who already received global attention with his uniqu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style.

로토스코핑 기법은 20세기 초부터 실제 인물의 움직임과 같은 자연스럽고 매끈한 움직임 구사를 위해 오랫동안 활용되어 왔음에도, 이미 촬영된 이미지를 단순히 모방한다는 이유로 예술적 가치가 평가절하 되며 일종의 편법이나 속임수 등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무한 융합이 가능해진 디지털 시대 속에서 실사와 애니메이션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로토스코핑 기법의 활용은 오히려 리얼리티의 확장적 재현이라는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제시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애니메이션적 체험의 층위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로토스코핑의 다양한 융합적 특성들을 적극 활용하고 실험하고 있는 요나스 오델의 작품들은 로토스코핑 이미지가 스타일적인 측면 외에도, 내러티브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역할 할 수 있음을 증명할 수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본 연구는 요나스 오델 감독의 독특한 철학적, 미학적 스타일을 완성시킨 다큐멘터리 형식의 3가지 옴니버스 단편들 -<투실라고 Tussilago>(2010), <거짓말 Lies>(2008), <첫경험 Never like the first time!>(2006) -을 분석하고, 실존 인물의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되는 내러티브와 실사 이미지와의 구조와 관계 속에서 로토스코핑 이미지들이 어떠한 독특한 역할로 의미 작용을 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는 세 가지 특성- 청각적 감성을 매개하는 내적 리얼리티의 형이상학적 기록으로서의 이미지, 특정 인물에 대한 존재적 표상으로서 익명화된 이미지, 물리적 시공간을 담아내는 기억의 표상으로서 신체 이미지-을 기준으로 분류되고 분석된다. 이를 통해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로토스코핑 이미지는 비단 자연스러운 움직임의 재현과 독특한 스타일을 위한 것을 넘어, 어떠한 새로운 가치들을 획득하게 되는지를 밝힐 것이다. 본 연구가 예술적인 면에서 평가절하 되어왔던 로토스코핑 이미지의 가치를 재발견, 재위치 시킬 수 있는 밑거름으로서 역할하고, 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혹은 특정 유럽국에 치우친 애니메이션 작가와 스타일 연구의 환경 속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스웨덴 작가와 그의 독특한 스타일을 새롭게 소개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우룡, 사진과 텍스트, 눈빛, 2006.
  2. 모린 퍼니스, 한창완 외 역, 움직임의 미학, 한울, 2001.
  3.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5.
  4. 백욱인, 네트워크 사회문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 앙드레 바쟁, 박상규 역,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2001.
  6.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이기숙 역,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7. 자크 오몽, 오정민 역, 이마주, 동문선, 2006.
  8.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천년의 상상, 2006.
  9. 차민철, 다큐멘터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0. 토마스 엘세서 & 말테 하게너, 윤종욱 역, 영화 이론: 영화는 육체와 어떤 관계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1. 폴 웰스, 한창완 외 역, 애니마톨로지, 한울, 2001.
  12. 폴 워드, 조혜영 역, 다큐멘터리: 리얼리티의 가장자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13. E.H.곰브리치, 차미례 역, 예술과 환영, 열화당, 2008.
  14. Furniss, M, The Animation Bible, Abrams, 2006.
  15. 금보상, 애니메이션, 실사영화, 디지털 영화의 프레임과 미장센 특성 비교연구,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11호, (사)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7. pp. 49-50.
  16. 김병철, 로토스코핑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디지털 이미지의 미학적 활용, 영화연구, 제 40호, 한국영화학회, 2009. pp. 7-34.
  17. 김이진,로토스코핑을 활용한 2D 애니메이션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 연구, Vol.5 No.2, 기초조형학회, 2004. pp. 313-319.
  18. 민재웅, 애니메이션 운동 이미지에 관한 연구 : 로토스코핑 기법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pp. 12-77.
  19. 서영주, 감각 경험을 확장시키는 애니메이션의 실험적 실천 연구, 중앙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pp. 78-98.
  20. 오동일, 막스 플라이셔의 로토스코핑 기법에 대한 미학적 접근,디지털영상학술지 Preview, Vol.2 No.1, 한국디지털영상학회, 2005, pp. 101-121.
  21. 주성호, 현대 프랑스 철학과 신체의 문제 : 베르그송과 메를로-퐁티, 철학과현실 통권 60호, 철학문화연구소, 2004, pp.145-158
  22. 애니메이툰 http://www.animatoon.co.kr/soft/head_main_view.php?no=91&pinfo=info2 2015. 03. 20.
  23. 요나스 오델 인터뷰 http://www.vice.com/read/im-short-not-stupid-presents-never-like-the-first-time 2015. 03. 20.
  24. IMDB, www.imdb.com, 검색어 :Jonas Odell, 2015. 03.02.
  25.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Jonas_Odell, 2015.03.02.
  26. Vimeo, www.vimeo.com/jonasodell
  27. <투실라고> (Tussilago, 2010).
  28. <거짓말> (Lies, 2008).
  29. <첫경험> (Never like the first time!,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