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 주요국 생활시간조사(Time Use Survey) 결과 비교. NYPI 2010 청소년 통계 브리프.
- 강창실 (2008).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구형모, 황순택 (2001). CCQ 자아탄력척도와 자아통제척도의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 임상, 20(2), 345-358.
- 김동일 (1999). 학습부진 영재아동. 서울: 원미사.
- 김미향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학업탄력성의 조절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용래 (2000).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분석. 홍익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17, 3-39.
- 김윤경 (201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의 성취압력, 학업소진,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정현, 마연연, 고민선 (2013). 중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양식이 학업소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교육학회지, 25(2), 129-146.
-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서울: 위즈덤하우스.
- 김홍희 (2014).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대학원.
- 모상현, 김형주 (2014).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I : 2013 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NYPI 청소년 통계 브리프, 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박명선, 유가효 (2013). 아동의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과학논집, 39, 39-38.
- 박연수 (2003). 이혼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시 고려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 성희경, 한기순 (2011). 영재의 고민과 상담요구에 대한 개념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18(9), 309-336.
- 송영명, 정성수 (2013).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25(1), 152-166. https://doi.org/10.13000/JFMSE.2013.25.1.152
- 신민, 안도희 (2014). 영재와 평재의 자기조절 전략에 미치는 요인: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5), 877-892. https://doi.org/10.9722/JGTE.2014.24.5.877
- 신병찬 (2012). 초등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기대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안종혁 (2014). 초등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학업소진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철경, 임지연 (2014).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 I. NYPI 청소년 통계 브리프, 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이미자 (2010).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및 조절효과 탐색.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 이상민 (2012). 초 . 중 . 고등학생의 학업소진 진행과정 및 경로분석. 서울: 집문당.
- 이점순 (2006). 담임교사의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 이해리, 조한익(2006).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치료, 18(2), 353-371.
- 조성화 (2013). 초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소진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 진선홍, 양태연, 한기순 (2012). 영재들의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탐색. 영재교육연구, 22(3), 779-800. https://doi.org/10.9722/JGTE.2012.22.3.779
- 최옥, 이우송 (2014). 청소년의 학업소진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디지털정책연구, 12(9), 455-463.
- 통계청 (2014). 2014 청소년 통계.
- 편무경 (2012). 초등 영재학생의 학업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메타-인지전략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지표개발 및 조성방안 연구 I: 총괄 보고서.
- 이영복, 이상민, 이자영 (2009). 한국형 학업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 15(3), 59-78.
- 홍승표 (2010). 영재.잠재영재.일반학생의 학교 소진 경험 및 주관적 안녕에 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9(1), 75-96.
- Altman, R. (1983).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search model. Roeper Review, 6, 65-68. https://doi.org/10.1080/02783198309552757
- Dirkes, M. A. (1983). Anxiety in the gifted: Pluses and minuses. Roeper Review, 6(2), 68-70. https://doi.org/10.1080/02783198309552758
- Hayes, M. L., & Sloat, R. S. (1989). Gifted students at risk for suicide. Roeper Rewiew, 12(2), 102-107. https://doi.org/10.1080/02783198909553245
- Hollingworth, L. S. (1942).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New York: World Block.
- Neihart, M. (2002). Risk and resilience in gifted children: A conceptual framework. In M. Neihart & S. M. Reis & N. M. Robinson & S. M. Moon (Eds.),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What do we know? (pp. 113-122). Waco, TX: Prufrock.
- Olszewski-Kubilius, P., & Kulieke, M. (1989). Personality dimensions of gifted adolescents. In J. VanTassel-Baska & P. Olszewski-Kubilius (Eds.), Patterns of Influence on Gifted Learners: the Home, the Self, and the School, 125-145.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Rimm, S. (1995). Why bright kids get poor grades and what you can do about it. New York: Crown.
- Schaufeli, W. B., Salanova, M., Gonzalez-Roma, V. & Bakker, A. B. (2002). The measurement of burnout and engagement: A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 71-92. https://doi.org/10.1023/A:1015630930326
- Shore, B. M., Cornell, D. G., Robinson, A., & Ward, V. S. (1991). Recommended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 Silverman, L. K. (1993). Counseling needs and programs for the gifted.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 and Talent (pp. 631-647). Pergamon Press.
- Terman, L. M., & Oden, M. H. (1947).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4: The gifted child grows up. Stanford, CA: Stanford Univ. Press.
- Terman, L. M., & Oden, M. H. (1959).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5: The gifted group of midlife: thirty five years' follow up a superior group. Stanford, CA: Stanford Univ. Press.
- Terrassier, J. (1985). Dyssynchrony-Uneven development. In J. Freeman (Ed.). The psychology of gifted children, 265-274. Chichester, England: John Wiley.
- Webb, J. T., Meckstroth, E. A., & Tolan, S. S. (1982). Guiding the Gifted Child. Tucson, AZ: Great Potential Press.
-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Bosten, MA: Allyn & Bac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