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and Development of White-box e-Learning Contents for Science-Engineering Majors using Mathematica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Mathematica 기반의 화이트박스 이러닝 콘텐츠 설계 및 개발

  • Received : 2015.03.13
  • Accepted : 2015.06.28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how to design and develop white-box based e-learning contents which are equipped with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tep-by-step computational procedures for studying vector calculus for science-engineering majors who might need supplementary mathematics learning. Noting that rewriting rules are often used in school mathematics for students' problem solving, the theoretical aspects of rewriting rules are reviewed for developing supplementary e-learning contents for them. The software design of step-by-step problem solving requires careful arrangement of rewriting rules and pattern matching techniques for white-box procedures using a computer algebra system such as Mathematica. Several modules for step-by-step problem solving as well as producing dynamic display of e-learning contents was coded by Mathematica in order to find the length of a curve in vector calculus after implementing several rules for differentiation and integration. The developed contents are equipped with diagnostic modules and immediate feedback for supplementary learning in terms of a tutorial. At the end, this paper indicates the strengths and features of the developed contents for college students who need to increase math learning capabilitie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논문의 목적은 미적분에 관한 보충학습을 요하는 이공계 대학생들을 위하여 공업수학의 벡터미적분 교육을 중심으로 개념적 이해와 계산 과정의 단계별 풀이를 보여주는 웹 기반 이러닝 콘텐츠를 설계 및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수학교육용 소프트웨어에 관한 고찰을 하였으며 학교 수학에서 등장하는 문제해결의 과정을 규칙 재작성으로 처리함으로써 화이트박스 형태의 콘텐츠 제작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Mathematica의 패턴 매칭을 이용하여 미분과 적분 연산자를 구현하였고, 이를 벡터미적분에서 등장하는 매개변수화된 곡선에 대한 길이 구하기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콘텐츠 개발의 예를 제시하였다. 튜토리얼 형태로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는 단계별 풀이 과정이 나오는 실습하기 콘텐츠와 퀴즈 문제를 통하여 학습자의 과정을 진단해 주는 형성평가 모듈로 구성되었다. 끝으로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의 특징과 이공계 대학생들의 수학에 관한 기초학력을 증진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살펴보았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민숙, 강윤수 (2014). GeoGebra를 활용한 극한 지도가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 17(4), 697-716.
  2. 김덕선, 이상구, 정경훈, 설한국 (2008). 선형대수학 교육에 적용되는 양방향 콘텐츠 기반의 MathML과 JAVA 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제47권 제1호, 75-89.
  3. 김성옥, 안경모, 이종원 (2009). 공학전공자를 위한 대학수학교육과정과 및 교과목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 23(4), 961-976.
  4. 남진영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6(1), 211-229.
  5. 박경은, 이상구 (2015).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향상과 Sage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9(1), 19-33.
  6. 박형빈, 정인철, 이헌수 (2010). 이공계 신입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학업 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3), 329-341.
  7. 박홍준 (2005). 컴퓨터 대수 시스템과 웹 연동 기술을 활용한 웹 매뉴얼 생성기 개발.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홍준, 전영국 (2008). 컴퓨터 대수와 베이지언 추론망을 이용한 이공계 수학용 적응적 e-러닝 시스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5), 276-286. https://doi.org/10.5392/JKCA.2008.8.5.276
  9. 박홍준, 전영국, 장문석 (2007). 컴퓨터 대수 시스템을 이용한 이공계 수학용 이러닝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14-A(6), 383-390.
  10. 서종진, 유천성, 최은미 (2006). 대학수학교육에서 Maple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9(4), 557-573.
  11. 이광형, 조충호 (2000). 인공지능개론. 서울: 홍릉과학출판사.
  12. 이헌수, 김영철, 박영용 (2013).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2012년 M 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 27(4), 369-379.
  13. 전영국 (2001). Mathematica를 이용한 웹기반 미적분 모듈의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4(2), 105-114.
  14. 전영국, 강윤수, 김선홍, 정인철 (2010). 개인 적응형 이산 수학 학습을 위한 CAS 기반의 가상 학습 시스템 개발, 한국학교수학회, 13(1), 125-141.
  15. 전영국, 김진영, 권순걸, 허희옥 (2007). 컴퓨터대수시스템 기반의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 개발과 형성 평가, 한국학교수학회, 10(1), 27-43.
  16. 정자욱 (2012). GeoGebra를 이용한 미적분수업의 질적 사례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채수환, 유동선 (2003). 이산수학원론. 서울: 교우사.
  18. 최재룡, 전영국, 추인선 (2003). Maple 길잡이. 서울: 교우사.
  19. 한세호, 장경윤 (2009). 고등학교 수학 문제해결에서 CAS의 도구발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1(3), 527-546.
  20. Beeson, M. J. (1998). Design principles of Mathpert: Software to support education in algebra and calculus. In N. Kajler, editor, Computer-Human Interaction in Symbolic Computation, pages 89-115. Springer-Verlag.
  21. Buchberger, B. (1989). Should students learn integration rules? Technical Report at RISC, Austria.
  22. Buchberger, B. & Loos, R. (1982). Algebraic simplification. Computer algebra: Symbolic and algebraic computation, Computing Supplementum 4, 11-43. Springer-Verlag.
  23. Bundy, A. (1983). The computer modeling of mathematical reasoning, Academic Press, London.
  24. Drijvers, P., Kieran, C., Mariotti, M-A., Ainley, J., Andresen, M., Chan, Y. C., Dana-Picard, T., Gueudet, G., Kidron, I., Leung, A. dan Meagher M. (2009). Integrating Technology into Mathematics Education: Theoretical Perspectives. In Lagrange, J-B., Hoyles, C. (Eds.), Mathematics Education and Technology-Rethinking the Terrain. New ICMI Studies, Volume 13. New York: Springer.
  25. Ellis & Gulick (2001). 미분적분학과 해석기하학 (CALCULUS With Analytic Geometry Fifth Edition). 수학교재편찬. 청문각.
  26. Mavrikis, M. & Maciocia, A. (2003). WALLIS: a Web-based ILE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Studying Mathematics,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27. Melis, E., Andres, E., Budenbender, J., Frischauf, A., Goguadze, G., Libbrecht, P., Pollet, M. & Ullrich, C.(2001), ActiveMath: A Generic and Adaptiv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12, 385-407.
  28. Sutner, K. (2005). CDM: Teaching Discrete Mathematics to Computer Science Majors. ACM Journal of Educational Resources in Computing, Vol. 5, No. 2, 1-11.
  29. Tall, D. (Ed.) (1991).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Kluwer Academic Pub.
  30. Tom Wickham-Jones (2001). webMathemaica: A User Guide, Wolfram Research, Inc.
  31. Wester, M. J. (Ed.) (1999). Computer Algebra Systems. John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