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idal Current State of Myeongnyang Strait on the Date of Myeongnyang Sea Battle, by Orbital Period of Celestial Body

천체의 궤도 운동 주기 분석을 통한 명량대첩 당시의 명량수도 조류 상태에 관한 연구

  • Kim, Hyun-Jong (Faculty of navigation science Div.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Received : 2015.02.23
  • Accepted : 2015.05.28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Miraculous victory of Myeongnyang sea battle turned the tide of the Joseon's entire war against Japan and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remarkable sea victories in the world history. In the sea battle of Myeongnyang, on September 16, 1597(lunar calender), the Joseon navy with 13 battle ships, led by Admiral Yi Sun-sin, won the Japanese navy with their fleet of 133 warships. There were several reasons why Admiral Yi decided on this location for battle. Myeongnyang strait is so narrow and had currents so powerful that many ships could not pass strait simultaneously. Therefore, despite being vastly outnumbered, Admiral Yi used terrain and tidal current advantage to defeat Japanese navy's numerical advantage. In order to find out the tidal state of Myeongnyang strait on September 16, 1597, topological phase of sun and moon was studied by orbital period of earth and moon. The tidal state of Myeongnyang strait on September 16, 1597 is estimated based on the theories of tide and tide tabl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ime of slack water were found to be 0636, 1248, 1906 and time/speed of maximum tidal current were found to be 0930/8.3kts(NW), 1612/9.9kts(SE).

명량대첩(鳴梁大捷)은 1597년 음력 9월 16일(양력 10월 25일) 정유재란 당시 충무공 이순신의 지휘를 받는 조선 수군 전함 13척이 일본 수군 전함 133척을 물리친 세계 해전사에 빛나는 전투이며, 정유재란의 판도를 바꾼 대첩이다. 이충무공은 13척의 조선 수군 전선으로 수백 척의 적선을 대적하는 데에 있어서, 명량수도의 좁은 지형과 독특한 조류를 이용하고자 하여 9월 15일에 해남 우수영으로 진영을 옮긴 다음 날에 명량해협에서 적선을 맞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명량대첩 당시에 조 일 양국 수군의 전함 기동에 큰 영향을 준 명량해협의 조류 상태를 추산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에 있어서는 평형조석론(equilibrium theory of tide)과 동력학적 조석론(dynamical theory of tide)을 기반으로 하여, 지구에 대한 천체(달, 태양)의 위상이 명량대첩 당시에 있어서의 위상과 동일하게 되는 회귀시점을 천체 운동의 주기를 분석함으로써 계산하였다. 그리고 그 회귀시점에 대하여 조화분석법으로 계산한 조석 자료를 적용하는 방법으로 명량대첩 당시의 조류 상태를 추산하였다. 그 결과, 명량수도의 조류는 새벽 06시 36분에 전류해서 북서쪽으로 흐르기 시작하여 09시30분에 최대 유속인 8.3노트에 이르렀고, 12시 48분에 다시 남동쪽으로 전류하여 16시 12분에 최대 유속인 9.9노트에 도달한 다음, 19시 06분에 북서쪽으로 다시 전류하였다고 판단할 수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orea Hydrography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2014), Tide Table, KHOA,, pp. 283-291
  2. Korea Hydrography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1960-2014), Tide Table, KHOA,
  3. Lee, S. H.(1976), Nanjungilgi, Jipmundang, p. 230
  4. Lee, S. Y.(2004), Tide Story, Pyisics and High Technology, p. 10.
  5. NDMI(2004), Simulation of Tide and Storm Surges around the Kyung-nam Province by Typhoon Maemi,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pp. 11-22.
  6. Pinet P. R.(2003), Invitation to Oceanography 3rd. Ed.,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pp. 260-271.
  7. Rama, C. M. M(2014), "Orbital Spin: A Ne Hypothesis to Explain Precession of Equinox-The Third Motion of Earth", International Journal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2014/4, pp. 20-28.
  8. Universiteit Utrecht(2014), A Catalogue of Eclipse Cycles, http://www.staff.science.uu.nl/
  9. Wikipedia (2015a), http://ko.wikipedia.org/wiki/조석
  10. Wikipedia (2015b), Theory of tides, http://en.wikipedia.org/wiki/
  11. Wikipedia(2015c), Orbit of the Moon, http://en.wikipedia.org/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