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 on the Inconvenient Factors by Using the Bathroom in Stroke Patients

뇌졸중환자의 욕실사용 불편요소에 관한 조사

  • Kim, Minh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Seoho Hospital) ;
  • Won, Junghe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Dongkang Hospital) ;
  • Park, Jisu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Busan Paik Hospital) ;
  • Chang, Moo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Inje University)
  • 김민호 (서호병원 작업치료실) ;
  • 원정희 (동강병원 작업치료실) ;
  • 박지수 (부산백병원 작업치료실) ;
  • 장문영 (인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5.05.26
  • Accepted : 2015.06.16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make the bathroom experience an inconvenient one for stroke patients, including the use of basic materials to provide an effective and individualized bathroom environment.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 to June 20, 2014 on 81 stroke patient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general factors of respondents, degree of inconvenience of general bathroom usage, and inconvenient factors. The questions on inconvenient factors of bathroom usage are comprised of 20 questions in a 5-point Likert scale. Result: The degree of inconvenience of bathroom usag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of patients using wheelchairs experience more inconvenience than the group of patients without wheelchairs. The inconvenient factors between two groups are shown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oor sill, the location of the mirror, the chair for showering, transferring to the bathtub, slippery floor, the location of cabinets, door width, shower space, the location of shower booth, and the safety handle on the wall and toilet (p<.05).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inconvenient factors in the bathroom experience stroke patients vary depending on the use of wheelchair. The result may be utilized as therapeutic basic materials provide an effective bathroom environment to stoke patients in future.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연(2010). 아파트 욕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방안 연구: 치수 및 가구배치계획과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구민숙(2005).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의 욕실환경 및 제품에 관한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오정, 최재순, 하해화(2001). 지체장애인의 특성에 따른 주택개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11), 19-28.
  4. 김경미, 장문영, 김진미 등(2006). 노인의 가정내 공간사용에 관한 인식 조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4(1), 35-48.
  5. 김규식(2011).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외국의 사례 및 국내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우송대학교 공학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한솔(2011). 가정환경 수정이 농촌 노인들의 작업 수행도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제모(2014). 편마비 환자의 일반 접이식 수동 휠체어 사용상 문제점 분석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보건복지부(2011). 장애인 실태조사.
  9. 송창호, 이규창, 유재호 등(2010). 뇌졸중환자의 낙상 예방을 위한 체중부하 비대칭과 자세 동요와의 관련성. 대한물리의학회지, 5(1), 81-88.
  10. 신경주, 장상옥(2001). 유니버설 디자인 욕실로의 개조. 한국생활과학연구, 19, 53-69.
  11. 안성준(2004). 후천적장애인의 주거개조 방향에 관한 연구: 휠체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오은영(2010). 뇌졸중 편마비 성인을 위한 일상생활보조 도구 적용: 사례연구.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1), 1-6.
  13. 오찬옥(2001). 공동주택 거주 지체장애인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주거환경특성요인 : 부산지역 영구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17(2), 29-36.
  14. 이광수(2009). 노인가구의 주생활 행위 및 주거요구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소영(2012).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 사업의 특성과 주택개조가 거주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주거학회지, 23(5), 9-18.
  16. 이춘엽, 송지원(2007). 장애인이 거주하는 주택의 욕실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 뇌졸중 이후의 편마비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6(3), 76-84.
  17. 이호숭, 김미영(2010). 한국인의 욕실사용 문화를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한국감성과학회지, 13(2), 347-358.
  18. 임경민, 이유나(2013).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과 척수손상 외래환자들의 주거환경개선에 대한 요구도 조사. 한국콘텐츠학회지, 13(8), 324-333.
  19. 최선애(2004). 만성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최향일(2002). 이동성 장애인의 주택 사용실태와 개조요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한국소비자원(2009). 가정 내 욕실/화장실 미끄러짐 사고 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 타일 안전실태 조사. 서울: 한국소비자원.
  22. 한국장애인개발원(2010). 장애인 주택개조사업의 거주 후 평가 및 운영방식에 관한 연구.
  23. 홍소영, 장문영, 김경미(2013). 통합교육환경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학교활동 참여분석: PEO모델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1(1). 95-104.
  24. Canadi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1997). Enabling occupation : A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Ottawa, Ontario, Canada : CAOT publications.
  25. Cumming RG, Thomas M, Szonyi G et al(2001). Adherence to occupational therapist recommendations for home modifications for falls prevention. Am J Occup Ther, 55, 641-648. https://doi.org/10.5014/ajot.55.6.641
  26. Law M, Steinwender S, Leclair L(1998). Occupational health and well-being. Canad J Occup Ther, 65, 81-91. https://doi.org/10.1177/000841749806500204
  27. Mann WC, Ottenbacher KJ, Fraas L et al(1999). Effectiv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interventions in maintaining independence and reducing home care costs for the frail elderl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Fam Med, 8(3), 210-217. https://doi.org/10.1001/archfami.8.3.210
  28. Mercier L, Audet T, Hebert R et al(2001). Impact of motor, cognitive, and perceptual disorders on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stroke. Stroke, 32(11), 2602-2608. https://doi.org/10.1161/hs1101.098154
  29. Peurala SH, Kononen P, Pitkanen K et al(2007). Postural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5(2), 101-108.
  30. Sims NR, Muyderman H(2010). Mitochondria, oxidative metabolism and cell death in stroke. Biochim Biophys Acta, 1802(1), 80-91. https://doi.org/10.1016/j.bbadis.2009.09.003
  31. Tzeng HM(2010). Understanding the Prevalence of inpatient falls associated with toileting in adult acute care settings. J Nurs Care Qual, 25(1), 22-30. https://doi.org/10.1097/NCQ.0b013e3181afa321
  32. Tzeng HM(2011). A Feasibility study of providing folding commode chairs in patient bathroom to reduce toilet-related falls in an adult acute medical-surgical unit. J Nurs Care Qual, 26(1), 61-68. https://doi.org/10.1097/NCQ.0b013e3181d94f4d
  33. Wahl HW, Fange A, Oswald F et al(2009). The home environment and disability-related outcomes in aging individuals: what is the empirical evidence?. The Gerontologist, 49(3), 355-367. https://doi.org/10.1093/geront/gnp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