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rivate Security Guards'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job burnout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철규 (용인대학교 항공보안학과) ;
  • 김상진 (용인대학교 항공보안학과)
  • Received : 2015.05.08
  • Accepted : 2015.05.31
  • Published : 2015.05.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how job stress of private security guards would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it basically looks into mediating effects of job burnout to understand the former's effects on the latter. In order to conduct the analysis, the study selected private security guards working for security agencies located in Seoul as a research subject, and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700 of those security guards who had been gathered by a random cluster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four months from May of 2014 to September of the same year and with 24 samples that had not been returned or that had been observed to have some outliers excluded, a total of 676 samples were applied as final data. The study used SPSSWIN 18.0 Statistical Package for analyzing the data, and hypotheses were confirmed via 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Person'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 path analysis. Findings of the analysis reported that emotional exhaustion has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among role conflict, role overload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role ambiguity is not significantly connected. In addition, as for a relation of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emotional exhaustion was turned out to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The study did not notice any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role ambiguity. Add to that, in terms of a relation between role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 emotional exhaustion appear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which helped a relevant hypothesis to be partly adopted. Regarding a relation of job stress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results of a path analysis on dehumanization, dehumanizatio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a relation between role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s for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the study confirmed that they have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is relation of dehumaniz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learned then that dehumaniz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relation between role ambiguity and turnover intention. However, the study figured out that when it comes to a relation of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dehumanization has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and as a consequence, a relevant hypothesis was adopted in part.

이 연구의 목적은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서울소재 경비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모집단을 설정하였으며, 설문지는 무선표집법(random sampling)에 의하여 70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약 4개월간에 걸쳐서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회수되지 않거나 극단치가 있는 24부를 제외한 총 676부를 최종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SPSSWIN 18.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고갈은 역할갈등, 역할과부하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역할모호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고갈은 역할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역할모호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과부하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비인간화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역할모호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역할갈등, 역할과부화는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역할모호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비인간화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역할갈등과 역할과부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제.조성구(2012), 스마트 보안장비와 성범죄 예방 GPS 애플리케이션,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3:27-49
  2. 김양애(2013).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7-49.
  3. 김일성(2013).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감정노동의 직무태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원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5-177.
  4. 김진수(2006). 호텔종사원의 역할 스트레스와 긴장, 소진 간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 15.
  5. 박수영(2011). 항공사 종사원의 고용불안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6
  6. 박영진(2005).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 만족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박지철(2013).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백수현(2010).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관계: 영양사 및 영양교사와 조리 종사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5-49
  9. 신강현(2003).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소진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pp. 1-17.
  10. 염영배(2012). 지방자치단체 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
  11. 이병직(1999). 교사들의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상지대학교대학원.
  12. 이영화(2011).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소진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6-117.
  13. 이용주(2012). 민간경비조직 구성원의 변혁적․ 서번트 리더십이 팔로워십,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pp. 89-91.
  14. 이종건.이중문(2009).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대회
  15. 천덕상(2013). 조리사의 성격특성이 소진 및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특급호텔 조리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0-51.
  16. 천성수(2008). 사회적 지원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충청남도 지역 구급대원을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7-145.
  17. 성미혜.윤현옥.이현정(2007).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6(2): pp. 147-157.
  18. 주일엽(2010).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7(1):
  19. Baron, R. M & D. A. Kenny(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0. Brief, A. P., & Motowidlo, S. J. (1986).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 710-725. https://doi.org/10.5465/amr.1986.4283909
  21. Cordes, C .L. & Dougherty, T. W.(1993).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 621-656.
  22. Halim, A. A.(1978). Employee Effective Response to Organizational Stress: Moderating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Personal Psychology, 31(3), 561-579. https://doi.org/10.1111/j.1744-6570.1978.tb00463.x
  23. Ivancevich, J. M., & Matteson, M. T.(1980a). Organizational Leve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A Review and Recommendation: Job Stress from Theory to Suggestion, Haworth press, 229-26.
  24. Kang. H. A., N ho, C. R., Park, E. M., & Shin, H. R.(2008).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of Child Welfare Employees.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60(3), 107-127. https://doi.org/10.20970/kasw.2008.60.3.005
  25. Maslach. C. (1982). Nurnout: The Theory and Research. Tayloy & Francis, 139.
  26. Maslach, C. & Jackson, S. E.(1986).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2d ed.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alo Alto, CA.
  27. Michacl, C. E. & Spector, P. E.(1982). Causc of Employcc Turnovcr: A Test of the Moblet, Griffeth, Hand, and Me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52-59.
  28. Moeday.(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29. Sager, J. K.(1994). structural model depicting salespeople's job stress.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ing science, Vol.22. 74-84. https://doi.org/10.1177/0092070394221007
  30. Singh, J. Goolsby, J. R. & Rhoads, G. K.(1994).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Boundary Spanning Burnout for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 559-569.
  31. Van Dyne, L., Graham, J. W., & Dienesch, R. M.(1994).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truct re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765-802. https://doi.org/10.2307/256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