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Low-Floor Bus Route Selection Considering a Residential Distribution and Traffic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 A Case of Busan -

교통약자의 거주 분포와 통행특성을 고려한 저상버스 노선 선정 - 부산시를 사례로 -

  • PARK, Ji-Ho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 NAM, Kwang-Woo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Received : 2015.05.15
  • Accepted : 2015.06.1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guarantee of transportation for elderly and handicapped people is increasingly necessary owing to their growing social and economic activity. In March of 2013, a partial amendment to the law for transportation of the vulnerable was made by the government, to make more convenient transport a legal requirement. The amendment describes standards for the installation of transport facilities, and its support available. However, the adjustment of low-floor bus routes is not included. Therefore, low-floor buses are operating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handicapped. This study evaluates the current low-floor bus system user experience by considering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vulnerable customers and analyzing their reasons for using public transport. As a result of this work, adjustments to current bus routes are proposed. The residential distribution of vulnerable people has been assessed using the supporting materials of the urban renewal project in Busan City, and their reasons for using public transport have been collected by a survey of the target user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group A, which has good accessibility, was in high demand, but provided the most limited service. Whereas group C, which also has good accessibility but was in low demand, provided its service most frequently. The data show the supply and demand inconsistencies of low-floor buses, and the inefficiency of bus route alloc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s to current method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low-floor buses.

고령인구와 장애인구의 사회경제적 활동증가로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 보장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13년 3월 정부는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수단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해 법제도적 측면의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을 일부개정 하였다. 개정된 법 내용에는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기준과 설치대상 지원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운행노선 조정에 관한 사항은 포함되지 않아 실제 교통약자의 통행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채저상버스가 운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약자의 거주분포와 통행목적을 분석하여 현재 운행하고 있는 저상버스 노선을 교통약자의 이용편리성 측면에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저상버스 노선 조정안을 제시하였다. 교통약자 거주분포의 분석지표로는 부산광역시 도시재생사업 지원을 위한 커뮤니티 뉴딜 자료를 활용하였고, 통행목적의 분석지표로는 교통약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교통약자 셔틀버스 노선현황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통약자의 이동수요가 높고, 방문지점과 접근성이 높은 그룹 A의 버스노선에 저상버스 운행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동수요는 낮으나 방문지점과 접근성이 높은 그룹 C의 버스노선에 저상버스 운행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통약자의 통행수요와 저상버스 운행노선 현황이 상당 부분 불일치하며, 비효율적인 저상버스 배치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운행 중인 저상버스 노선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치하고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ong, H.R., D.G. Seo, Y. Hasemi and Y.J. Kown. 2011. A study on the walking speed of crowd for safety evacuation design of the elderl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5(1):19-26. (홍해리, 서동구, 長谷見雄二, 권영진. 2011. 고령자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군집보행속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5(1):19-26).
  2. Hwang, H. 2010. A study on the use of public bus of the disabled. Master Thesis, Univ. of Seoul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Seoul, Korea. 60pp (황호. 2010. 장애인의 공공버스 이용에 대한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쪽).
  3. Jung, C.Y. 2012. Forecasting GIS based bus demand by route. Master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정창용. 2012. GIS 기반 노선별 버스수요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Kim, J.Y., J.H. Lee and S.H. Oh. 2008. Analysis of the low floored bus effect on elderly peopl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8(1):29-34 (김지영, 이종호, 오승훈. 2008.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 버스도입의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28(1):29-34).
  5. Lee, C.H., S.Y. Kim and J.S. Kim. 2014. A study on low-floor bus route sele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3(4):73 -85 (이창현, 김상엽, 최재성. 2014. 저상버스 노선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ITS학회논문지 13(4):73-85). https://doi.org/10.12815/kits.2014.13.4.073
  6. Lee, S.H., 2005. Anyone can know that traffic barrier-free. The Seoul Institute (unpublished data).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3) Report of mobility conveniences survey(2013) report of mobility conveniences survey. 324pp (국토교통부. 2013. 교통약자이동편의실태조사 보고서. 324쪽).
  8. Park, J.N. 2013. A supporting plan of the public transit for the transportation handicapped. Master Thesis, Univ. of HanSung. Seoul, Korea. 98pp (박정남. 2013.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지원 방안. 한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쪽).
  9. Park, J.S. 2008. Measures to enhance efficiency for public bus transportation system. Master Thesis, Univ. of ChonNam, Gwangju, Korea. 60pp (박주석. 2008. 시내버스 운행체계의 효율화 방안.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쪽).
  10. Shin, G.S. 2009. A study on transportation handicapped's travel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Master Thesis, Univ. of Young Nam, Gyeongsan, Korea. 79pp (신길수. 2009. 교통약자의 통행행태 및 이동편의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쪽).

Cited by

  1. 교통약자 이동지원센터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저상버스 정류장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vol.18, pp.1, 2015, https://doi.org/10.22678/jic.2020.18.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