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ase Study on the Commercial Space with Space Collaboration -Through 4 Case Studies in Heyri Village -

공간 콜래보레이션이 적용된 상업공간사례 검토 -헤이리 마을의 4사례 검토를 통하여-

  • 신지현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 신경주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5.03.31
  • Accepted : 2015.04.2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Social and cultural impact of postmodernism in the seek for diversity and to respect the individual's personality and character was the center of human-centered thinking. This also affects the design area, as well as architecture, interior design. It is because of interactive interior design that reflects the lives and relationships with people. Thus, in modern society, people to meet the diverse needs have created a third space. Today's commercial space in the flow to a variety of users and is trying to provide comfort. To go to stores often offer lifestyle and proceeding to the next stage of life. Space for the creative force is trying to become getting better space. Collaboration is refer to phenomenon that two or more objects meet to collaborate. Collaboration is can be classified of space, art, low/high, high concept and star collaboration. And this study has been studied mainly collaboration. Space collaboration is can be classified of experiential, the third space, brand passes and landmark. Space collaboration elements rearranged to the standards of interior design theory, analysis, and marketing of space, commercial space, with previous studies of the spatial elements were extra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space analysis method for the verification of collaboration theory is that to develop. Thus, the space collaboration has been developed to fit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and commercial interior spaces will be helpful for applying.

Keywords

References

  1. 다니엘 핑크, '새로운 미래가 온다' 2006
  2. 데본리, 콜래보경제학, 2008
  3. 손유찬, 함정도, 실내디자인의 이해, 기문당, 2012
  4. 오인욱, 실내디자인학, 기문당, 2002
  5. 황세옥, 실내디자인 총론, 세진사, 2000
  6. 김재옥, 국가브랜드 마케팅 전략으로서 세계 박람회 전시관의 공간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1
  7. 김종호,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1
  8. 김지현, 스페이스 마케팅을 적용한 식음공간 연출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0
  9. 남소영, 4Cs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호텔의 스페이스 마케팅 전략 요소, 건국대 석사논문, 2009
  10. 류선진, 공공건축물의 랜드마크 결정요인 분석, 연세대 석사논문, 2012
  11. 박수경, 공간마케팅의 관점에서 본 문화프로그램 활용의 특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 석사논문, 2011
  12. 백민영, 국내 백화전 캐주얼 의류매장의 브랜드 이미지 차별화 전략에 따른 실내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09
  13. 양성은, 국내 플라워디자인 브랜드 활성화 방안, 경희대 석사논문, 2007
  14. 양희영, 현대 패션에 나타난 콜래보레이션 경향의 사회문화적 의미 ,숙명여대, 2010
  15. 이미진, 구매심리과정에서 나타난상업공간의 실내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8
  16. 장희나, 브랜드 커피전문점의 공간디자인 구성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 분석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2010
  17. 정유진, 콜래보레이션을 통한 기업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09
  18. 정윤혜,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마케팅 전략에 영향을 주는 공간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상명대 석사논문, 2010
  19. 정종찬, 이명진, 콜래보레이션의 의미와 가치, 기초조형학회 Vol.9 2008
  20. 정훈실, 패션산업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 간의 콜레보레이션, 연세대 석사논문, 2007
  21. 네이버 지식사전 인테리어 용어사전, 동방디자인 교재개발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