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누리과정 연구의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on Nuri-Curriculum

  • 투고 : 2015.05.03
  • 심사 : 2015.06.09
  • 발행 : 2015.06.30

초록

본 연구는 2012년 이후 실시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누리과정과 관련된 연구의 연도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누리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검색사이트에서 "누리과정" 으로 검색된 연구물 중 5세 누리과정이 실시된 2012년 이후부터 2015년 3월까지 발표된 논문 10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누리과정 관련 연구는 5세 누리과정이 도입되고, 3~4세로 확대되어 실시된 2013년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에 있어서는 누리과정의 이해와 적용을 돕기 위한 관련 안내서와 자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의 66.7%로 나타나, 연구가 일부 영역으로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중 내용분석 방법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많이 연구된 방법은 질문지법, 문헌연구였다. 한편 실제 현장에서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실험이나 관찰 연구 및 질적 방법을 통한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내용은 "누리과정 구성방향 관련연구"의 내용이 전체의 68.8%였고, 그 중 자연탐구 영역 관련 내용이 가장 많았다. 이는 지금까지의 누리과정 관련 연구들이 다양한 측면으로 접근되지 못하고 있으며, 현장 중심의 연구가 부족하므로 보완되어 연구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of the Nuri-Curriculum, a national level curriculum, analyzing the subjects,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contents of Nuri-Curriculum studies, and current research trends. For these purposes, 102 Nuri-Curriculum articles in major child care-related journals from 2012-2015 are reviewed. PASW 18.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rat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despite a relatively short implementation period. Second, many research topics dealt with include curriculum-related material. Third, 74.5 percent of the articles used quantitative methods, and content-analysis wa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among them. On the contrary, there was relatively less research which used the experimental method applying the curriculum to real practice, observational or qualitative method. Fourth, most of the research contents focus on the direction of making of the curriculum.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necessity of supplementary research including its application to real practice as the research approaches on the Nuri-Curriculum performed so far have been limi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민정, 한선아, 차영숙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포함된 수학교육 활동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5), 435-452.
  2.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011). 이제 '5세 누리과정'으로 불러주세요.(2011. 07. 14.)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 2100-6556.
  3. 교육과학기술부, 광주광역시교육청 (2013). 유아교육발전 5개년 계획수립 정책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5. 국지윤, 양시내, 김영옥 (2014). 어린이집 평가인증 연구의 동향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5), 199-224.
  6. 권미경, 김정숙, 이경진, 장현실 (2013). 3-4세 누리과정 운영 및 이용현황과 개선방안. 육아정책연구소.
  7. 김민정 (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과학활동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1), 57-77.
  8. 김숙자, 김현정, 장윤정 (2008).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유아 인권교육 관련 내용분석: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9-283.
  9. 김은설, 유해미, 엄지원 (2012). 5세 누리과정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29.
  10. 김춘희, 남기원, 우영숙, 최순덕 (2011).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569-597.
  11. 남기원, 이은형 (2013). 3,4,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 수학활동 비교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747-772.
  12. 박민정, 성일관 (2011).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인식 분석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열린교육연구, 19(3), 1-26.
  13. 박선미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인성교육요소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4), 1007-1031.
  14. 박선미, 홍창남 (2012). 유치원 교원의 목소리를 통한 유아교육 책무성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연구, 32(1), 321-342.
  15. 박은혜, 김소혜 (2003). 유아교육기관에서 교과내용의 성격과 전문성. 사단법인 대한어린이교육협회 제6차 정기총회 및 연구발표회 자료집, 55-106.
  16. 박지희, 조형숙, 염지숙 (2014). 유치원 교사 핵심역량에 기초한 현직교사교육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4(5), 207-228.
  17. 박찬옥, 김진희, 이경진 (201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전통문화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5). 441-464.
  18. 배은영 (2014). 혼합연령학급 지도서에 대한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성태제 (2009). 현대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 손수민 (2014). 누리과정 적용 및 실행에 대한 사립유치원장의 인식. 아동교육, 23(3), 45-61.
  21. 송규운 (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14(1), 39-54.
  22. 안경숙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음악관련 활동 분석: 교육과정 요소를 중심으로. 음악교육연구, 41(2), 171-197.
  23. 안부금, 박수미 (2013). 유치원 교사의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용의 긍정적 경험과 어려움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3(3), 239-265.
  24. 이윤선, 이영신, 김보연 (2013).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8, 189-213
  25. 이윤진, 이정원, 김문정 (2012). 5세 누리과정 이용실태 및 요구조사. 육아정책연구소.
  26. 이정림, 이미화, 오유정 (2014). 5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활용을 통한 누리과정 효과 분석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7. 이지현, 전홍주, 박은혜 (2012). 3,4세 유치원 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4), 253-279.
  28. 장명림 (2012). 누리과정 추진 경과 및 3.4세 누리과정 추진 과제. 육아정책연구소.
  29. 장명림, 장혜진, 이환기, 이승미, 송신영, 최미미 (2012). 5세 누리과정과 초등학교교육과정 및 3.4세 연계 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30. 전혜미, 서영숙 (2012). 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6(4), 167-192.
  31. 정은숙 (2013).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미술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조숙영, 이용주 (2014). 유아교사의 경력과 담당유아연령에 따른 3-5세 누리과정 실행수준 및 요구. 아동교육, 23(3), 425-446.
  33. 조혜영, 황인주 (2012). 5세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담당교사들이 겪게 되는 긍정적 경험, 어려움과 개선방안. 유아교육연구, 32(5), 181-205.
  34. 지성애, 홍혜경, 정정희, 이민정, 고영미, 김낙홍 (2014).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현장적용 현황과 발전방안. 유아교육연구, 34(4), 5-34.
  35. 최은영, 최윤경, 이경진, 신은경 (2013). 5세 누리과정 운영의 질 관리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36. 최정혜 (2013).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사회관계영역 교육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1). 433-453.
  37. 최지원, 서소정 (2014). 만5세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탐구능력을 위한 예술, 과학 융합프로그램의 효과. 대한가정학회,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3(1), 67-80. https://doi.org/10.6115/fer.2015.005
  38. 한태숙, 김연, 황혜정 (2005).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1994-2004. 유아교육연구, 25(3), 219-238.
  39. Barnett, W. S. (2007). Benefits and costs of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hildren's Legal Right Journal, 27, 7-23.
  40. OECD (2006). Starting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y. Paris, France: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