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Infant Teacher'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Intention to Change Jobs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정희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 신시연 (가톨릭대학교 아동가족학 전공)
  • Received : 2015.04.03
  • Accepted : 2015.06.09
  • Published : 2015.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fant teacher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on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6 infant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in Gangwon-do province. A Stress coping strategies questionnaire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questionnaire,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revealed that the scale of intention to change jobs decreases as the scales of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and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increase. As the scales of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lso increase, the scales of problem-focused and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ies increases. Secondly, it is revealed that infant teachers' problem-focused coping strategies have a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change jobs. Thirdly,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is also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 on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change jobs. In order to reduce infant teachers' intention to change jobs, this study can provide a basic guideline to develop programs that enhance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infant teachers' stress coping attitudes.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강원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56명의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스트레스 대처방안 질문지(박창순, 2005), 이직의도 질문지(안재현, 2014)와 원장의 감성리더십 질문지(구자영, 2012)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교사의 문제중심 대처방안 및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졌다. 또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높게 발휘될수록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 가운데 문제중심 대처방안과 사회적 지지 추구가 높아졌다. 둘째, 영아교사의 문제중심 대처방안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원장의 감성리더십은 영아교사의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영 (2012).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미라 (2004). 기관 특성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미영, 정옥분 (2014). 영아전담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관한 연구: 환경변인 및 개인변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1(2), 75-96.
  4. 김복란 (2012).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계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정희 (2015).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1), 191-208.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191
  7. 김진아 (2010).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연구: 평택지역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창순 (2005). 초등학교 교사의 내외통제성과 직무 스트레스 대처전략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배종애 (2009). 시설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배현정 (2012). 수술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보건복지부 (2013).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보건복지부.
  12. 서정은 (2013). 직장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서지영 (2002). 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서현, 송선화 (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4), 145-169.
  15. 소병만 (1998). 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송은경 (2011). 원장의 감성리더십,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 간의 인과적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신경희 (2014). 감성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심숙영 (1999). 유아교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유아교육연구, 19(2), 5-22.
  19. 안재현 (2014). 보육교사가 지각한 민간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여윤경 (2003).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윤혜미 (2009).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의 관련 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광자, 유소연 (2011).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대처유형,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와 관계. 임상간호연구, 17(1), 1-15.
  23. 이난희 (2013). 간호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덕근 (2008). 리더십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윤경 (1998).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물리적 근무 환경과 조직헌신성과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연구, 18(1), 223-241.
  26. 이재경 (2006). 보육교사의 이직과 전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정현 (2013). 특수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의 관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https://doi.org/10.5723/KJCS.2011.32.1.157
  29. 이형렬 (2012).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전선영, 최혜순 (2013). 원장의 리더십 및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03-220.
  31. 정경진 (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조명자 (2014). 국립병원 정신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유형 및 이직의도.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조세형, 윤동열 (2013). 중소기업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구성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0(3), 285-300.
  34. 조숙현 (2011). 간호사가 지각한 수간호사의 감성리더십,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조혜숙, 조성연 (2013).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51(5), 527-535.
  36. 최석기 (2009).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 조직문화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7. 최윤진, 김정희 (2014).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5), 225-246.
  38. 최은경 (201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최인희, 정영해, 박인혜, 최영애 (2013). 방문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대처방법과 이직의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2(2), 149-158.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149
  40. 최효영 (2010).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1. Alle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63(1), 1-65.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42. Barbour, N., & Lash, M. (2009).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of young children, In S. Feeney, A. Galper, & C. Seefeldt (Eds.),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158-183).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43. Carton, A., & Fruchart, E. (2014). Sourc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emotional experience: Effects of the level of experience in primary school teachers in France. Educational Review, 66(2), 245-262. https://doi.org/10.1080/00131911.2013.769937
  44. Cassidy, D. J., Lower, J. K., Kintner-Duffy, V. L., Hedge, A. V., & Shim, J. (2011). The day-to-day reality of teacher turnover in preschool classrooms: An analysis of classroom context and teacher, director, and parent perspective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25(1), 1-23. https://doi.org/10.1080/02568543.2011.533118
  45. Curry, J. R., & O'Brien, E. R. (2012). Shifting to a wellness paradigm in teacher education: A promising practice for fostering teacher stress reduction, burnout, resilience, and promoting retention. Ethical Human Psychology and Psychiatry, 14(3), 178-191. https://doi.org/10.1891/1559-4343.14.3.178
  46. Diamond, K. E., & Powell, D. R. (2011). An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intervention for head start teacher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33(1), 75-93. https://doi.org/10.1177/1053815111400416
  47. Goleman, D. (2000). Leadership that gets results. Harvard Business Review. Boston.
  48. Hess, J. D., & Bacigalupo, A. C. (2010). The emotionally intelligent leader, the dynamics of knowledge-based organizations and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organizational development. On The Horizon, 18(3), 222-229. https://doi.org/10.1108/10748121011072672
  49. Lazarus, R. S., & Folkman, S. (1985). Stress and adaptational outcome: The problem of confounded measure. The American Psychologist, 40(5), 770-779. https://doi.org/10.1037/0003-066X.40.7.770
  50. Litjens, I., & Taguma, M. (2010). Revised literature overview for the 7th meeting of the network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OECD.
  51. Mottaz, C. (1988).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lations, 41(3), 467-482. https://doi.org/10.1177/001872678804100604
  52. Stremmel, A. J. (1991). Predictor of intention to leave child care work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3), 285-298. https://doi.org/10.1016/0885-2006(91)90013-B

Cited by

  1. How authentic leadership affects child 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vol.33, pp.2, 2015, https://doi.org/10.24211/tjkte.2016.33.2.337
  2. The effect of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that child care teacher perceiv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ol.36, pp.5, 2016,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5.017
  3. The Influence of Religious Maturity of Christian Child Care Infant Teachers on their Emotional Expressions vol.7, pp.3, 2015, https://doi.org/10.30528/jolss.2017.7.3.003
  4.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on Turnover Intention in a Hotel Employees` vol.42, pp.4, 2017, https://doi.org/10.32780/ktidoi.2017.42.4.275
  5.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5,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6.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