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서울사이버대학교 2014년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해서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곽상신, 박명준 (2013). 쌍용자동차 사태: 원인진단과 대안 모색. 노동리뷰, 4, 20-33.
- 권지영 (2012). 당신의 어려움을 '와락' 껴안는 와락센터의 기적-평택 쌍용자동차 실직가족 심리치유센터 '와락'센터 건립사례. 로컬리티 인문학, 8, 211-234.
- 권 혁 (2010). 해고유형론에 관한 소고.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51(1), 713-735.
- 김병숙 (2007). 직업심리학. 시그마프레스.
- 김병숙, 김수정, 안윤정 (2009). 실업자의 심리적.신체적 반응 단계별 주요 증후군 분석. 진로교육연구, 22(1), 93-112.
- 김병숙, 박선주, 김소영 (2007). 청년장기실업자의 증상중심 대응전략 결과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0(3), 139-147.
-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문음사.
- 박영신, 김의철 (2000). 경제불황기의 실직자와 직장인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1), 85-117.
- 백용매 (1999). 실직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예방적 접근. 동서정신과학, 2(1), 94-115.
-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 (2004).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오수성 (2001). 국제금융위기 후 실직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양식, 자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481-496.
- 이민규 (2000). 실직자의 정신건강과 강인성 및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49-561.
- 이훈구, 김인경, 박윤창 (2000). 경제불황이 20대 미취업 실업자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2), 87-101.
- 장재윤, 장은영, 김범성, 노연희, 이지영, 한지현 (2004). 청년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21-144.
- 정진주 (2001). 정리해고자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의 현주소와 대안을 찾아서. 노동사회, 59, 90-103.
- 차민정, 박소영, 송현주, 노연희 (2012). 집합주의 문화가 청년실업에 대한 불안 지각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1), 27-51.
- 최영기 (2009). 시사논단: 경제위기극복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임금연구, 17(1), 70-91.
- 한내 (2010). 해고는 살인이다.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 노동자역사. 한내.
- Creswell, J. W. (2010) 질적 연구방법론.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학지사(원전은 2007년에 출판).
- Cola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city press.
- Davison G. C., Neale J. M. & Kring A. M., (2005). 이상심리학. (이봉건 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4년에 출판).
- Ehrhardt, G. & Hahn G. (1993). Verlaeufe und verarbeitungsformen von Arbeitslosigkeit: Ergebnisse einem Paneluntersuchung in Ostberlin. In Mitteilung aus der arbeitsmarkt und Berufsforschung der Bundesanstalt fuer Arbeit. MittAB 26.
- Fischer, G. & Riedesser, P. (2003). Lehrbuch der Psychotraumatologie. Basel: Ernst Reinhardt Verlag.
- Fryer D. & Payne R. (1984). Proactive behaviour in unemploym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Leisure studies, 3, 273-295.
- Hawton, K., & Rose, N. C. (1986). unemployment and attempted suicide among men in Oxford. Health Trends, 18, 29-32.
- Jackson, P. R. & Warr, P. B. (1984). Unemployment and illhealth: The moderating role of duration and age. psychological Medicine, 14, 605-614.
- Kieselbach. T. & Beelmann, G. (2006). Arbeitslosigkeit Gesundheit: Stand der Forschung. In Hollederer A., Brand H.(Hrsg.), Arbeitslosigkeit, Gesundheit und Krankheit. Bern: Verlag Hans Huber.
- Kulik L. (2000). Jobless man and women: A comparative analysis of job search intensity, attitudes toward employmennt, and related repons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 487-500.
- Lazarus, R. S. & Folkman, S. (1987).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 Mash, E. J. & Wolfe, D.A. (2004) 아동이상심리학. (조현춘, 송영혜, 조현재 공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1999년에 출판).
- Mohr G. (1993). Ausgezaelt. Theoretische und empirische Beitraege zur Psychologie der Frauenerwerbslosigkeit. Weinheim: Deutscher Studien Verlag.
- Paul, K. I., Hassel A. & Moser, K. (2006). Die Auswirkung von Arbeitslosigkeit auf die psychische Gesundheit: Befunde einer quantitativen Forschungsintegration. In Hollederer A., Brand H.(Hrsg.), Arbeitslosigkeit, Gesundheit und Krankheit. Bern: Verlag Hans Huber.
- Platt, S. & Kreitman, N. (1990). Long-term trends in parasuicide and unemployment in Edinburgh, 1968-1987.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logy, 25, 56-61.
- Starrin B, Rantakeisu U., Forsberg E. & Kalander-Blomqvist M. (2000). Undertand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unemployment - the financial/shame model. In T. Kieselbach (Ed.), Youth unemployment and health. A comparision of six European countries. Opladen: Leske+Budrich.
-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s of Qualitiative Research: Techniques &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Rantakeisu U., Starrin B. & Hagquist, C. (1997). Unemployment, shame and ill health- an exploratory study. scandinnnavi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