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ertoire of Selection and Communication of Refusal "Annyeongdeul Hasipnikka?" and Communication Theory of Niklas Luhmann

선택의 토대와 거부의 소통 안녕들 하십니까 현상과 루만의 체계 이론적 커뮤니케이션

  • 김영빈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한혜경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 김무규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5.01.31
  • Accepted : 2015.05.26
  • Published : 2015.06.15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ccount for the so-called "Annyeongdeul Hasipnikka?" communication in terms of Niklas Luhmann's communication theory. The communication theory of Niklas Luhmann which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system theory is, despite its complexity, effective to shed light on many unique communicative phenomena. To understand the thematic diversity and ceaseless conjunction as the obtrusive characteristics of the "Annyeongdeul Hasipnikka?" communication the adoption of the system-theoretical communication theory is required. Unlike Habermas's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highlighting the consensus as decisive goal of communication, Luhmann maintains that the proliferation through diversification and persistence of communication even through refusal are also the communicative elements for its operation. This paper tries to demonstrate the uniqueness of "Annyeongdeul Hasipnikka?" communication by virtue of the system-theoretical perspective.

이 연구는 루만의 체계 이론을 통해, 2013년 12월에 발생한 '안녕들 하십니까?(이하 안녕들)' 현상을 분석했다. 루만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은 타아에 의해 선택된 정보와 선택된 전달을 자아가 선택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시작하고 성립된다. 이때 이해는 내용의 수용과는 별개로, 그것은 후속 커뮤니케이션의 쟁점이다. 이처럼 선택을 토대로 한 커뮤니케이션의 설명은 안녕들 현상에 잘 적용되며, 아울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해석을 심화시킨다. 특히 안녕들 현상이 가져오는 후속 커뮤니케이션의 파생에 대한 해석을 위해 루만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적절하다. 안녕들 현상은 '안녕하지 못한 정치'에 대해 특정한 의미를 발생시키며 후속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유발하는 자기 생산적 체계다. 아울러 반박 대자보나 심지어 대자보 훼손 행위도 안녕들 현상이 발생시킨 '안녕하지 못한 정치'에 대한 부정을 야기하는데, 이 또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다. 따라서 대자보는 안녕들 체계의 '안녕하지 않음'을 상징적으로 일반화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대자보 훼손은 안녕들 체계와는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커뮤니케이션으로 관찰될 수 있다. 안녕들 체계는 대자보를 통해 사회에 더 나아간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고 후속 커뮤니케이션을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