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an Archive Village Project and Its Improvement Plan: The Case of I County

기록사랑마을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I군 기록사랑마을을 중심으로 -

  • 오유진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 한희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육혜인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김수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 연구소)
  • Received : 2015.04.30
  • Accepted : 2015.05.12
  • Published : 2015.05.30

Abstract

In 2008,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itiated the Archive Village project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valuable private records and enhancing the awareness of archival culture. To justify the expense of the government-supported project and determine its future direc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ject. To do that, the researchers visited an Archive Village in I county and examined its accessibility, exhibition contents, facilities, equipment, etc., through observation.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ject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well as eight residents and three persons who were involved in building and managing the Archive Village in I coun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study suggests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Archive Village in I county.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help other villages plan acquisition and management, as well as how to make important private records in local areas available.

국가기록원은 민간영역의 중요 기록물을 보호하고 기록문화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부터 매년 '기록사랑마을'을 지정하여 지원 운영해오고 있다. 기록사랑마을은 국가 재정지원을 받는 사업인 만큼 예산사용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사업의 방향성을 재정립하기 위하여 본래의 사업 목적을 기준으로 현재 현황을 점검하고 살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사랑마을 중 I군을 방문하여 접근성, 전시내용 및 방법, 시설 및 장비 등을 관찰을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3명의 지역 관계자, 8명의 마을주민, 1명의 국가기록원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기록사랑마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장차 기록사랑마을 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사랑마을의 효과적인 이용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보다 많은 마을에서 그 지역의 민간기록물을 수집 관리 및 활용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록원 (2012.4). 12년도 기록사랑마을 지정 계획. 성남: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2.4). 2012 The Archive Village Project Plan. Seong-nam:National Archives of Korea.
  2. 국가기록원 (2014.7). 중요 민간기록물 발굴지원('16년 제9호)을 위한 기록사랑마을 발굴조사 계획. 성남: 국가기록원. National Archives of Korea (2014.7). The Excavation Plan of Archive Village Project for Important Private Records Excavation Support (2016 No.9). Seong-nam: National Archives of Korea.
  3.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27. Kwak, Kun-Hong (2011). A Study on a Paradigm Shift to Archives of everyday lif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9, 3-27.
  4. 김지현 (2014). 미국, 캐나다, 호주 주립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05-126. Kim, Ji-Hyun (2014). An Analysis of Policies on the Acquisition of Private Records at State/Provincial Archives in the U. S., Canada, and Austral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3), 105-126.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105
  5. 김지환 (2013. 9. 18). 제주도, 민간기록물 체계적 관리 시스템 마련. 제주도민일보. Kim, Ji-Hwan (2013, September 18). Jeju Island arranged private records management system systematically. The Jejudomin News.
  6. 김화경 (2012). 마을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 전략: 부산 산복도로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143-161. Kim, Hwa-Kyung (2012). Acquisition Strategy for Constructing Local Archives: The Case of Busan Sanbokdoro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143-161.
  7. 문정임 (2012. 2. 19). 제3호 기록사랑마을 내달 전시관 열고 발굴영역 확대. 제주도민일보. Mun, Jeong-Im (2012, February 19). No.3 Archival Village opens hall and enlargement of excavation area next month. The Jejudomin News.
  8. 문창현, 정성미 (2009). 박물관 관광 서비스품질의 관람객 만족도에 관한 연구: history museum과 art museum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7(1), 3-27. Moon, Chang-Hyun & Jung, Sung-Mi (2009). A Study on the Tourist's Satisfaction with the SERVPERF of the Museum - Case Study of Jeonju National Museum and Jeonbuk Province Art Museum. Journal of regional studies, 17(1), 3-27.
  9. 설문원 (2012).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 Seol, Moon-Won (2012). Building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Documenting Loca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32, 3-44.
  10. 손일화 (2009). 문화관광지 체험 척도 개발: 부산 박물관 방문객 평가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3(1), 181-202. Sohn, Il-Hwa (2009). Development of Experience Scale in Cultural Touring Spots: Evaluations of Busan Museums Visitors. Journal of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33(1), 181-202.
  11. 송정숙, 허정숙, 이예린 (2014).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27-151. Song, Jung-Sook, Heo, Jeong-Sook, & Lee, Yea-Lin (2014). Digital Image Archiving Methodology on the Port of Busan: A Case Study Using an Open-Source Archiving Softwa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4(3), 127-151.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127
  12.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Youn, Eun-Ha (2012). Communities and community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33, 3-37.
  13. 이경숙, 이연화 (2011). 전시회 참가자의 서비스품질, 서비스가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2010 서울리빙디자인페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3), 428-439. Yee, Kyeong-Sook & Lee, Yeon-Hwa (2011). Impacts on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on Visitors 'Satisfaction in Exhibi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3), 428-439. https://doi.org/10.5392/JKCA.2011.11.3.428
  14. 이대휘, 신재기 (2011). 전시회 서비스품질 평가를 통한 지속적인 전시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2(4), 505-525. Lee, Dae-Hui & Sin, Jae-Ki (2011). Developing and maintaining the trade show industry through service quality evaluation.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12(4), 505-525.
  15. 이보람, 황진현, 박민영, 김형희, 최동운, 최윤진, 임진희 (2014). 공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록시스템 구축가능성 연구: ICA AtoM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연구, 39, 193-228. Lee, Bo-Ram, Hwang, Jin-Hyun, Park, Min-Yung, Kim, Hyung-Hee, Choi, Dong-Woon, Choi, Yun-Jin, & Yim, Jin-Hee (2014). A Study on Usability of Open Source Software for Developing Records System: A Case of ICA Ato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39, 193-228.
  16.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Community Archpe) 시론: 마을 차원의 책, 기록, 역사 그리고 치유와 창업의 커뮤니티를 위한 제안. 기록학연구, 18, 221-255. Lee, Yeong-Nam (2008). Essay on the Community Archp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18, 221-255.
  17. 이영남 (2012). 공동체 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3, 3-42. Lee, Yeong-Nam (2012). Some Possibities of Community Archiv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33, 3-42.
  18. 이해영, 김영은, 김은영, 김현지, 남경희, 이미라, 이은화, 전혜영, 최정윤 (2007).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 및 개선 방향: 기록관 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25-42. Rieh, Hae-young, Kim, Yung-Eun, Kim, Eun-Yung, Kim, Hyun-Ji, Nam, Kyung-Hee, Lee, Mi-La, Lee, Eun-Hwa, Jeon, Hye-Yung, & Choi, Jeong-Yoon (2007). Evaluation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Information Services in Records Centers and Archives: A Case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7(2), 25-42.
  19. 임지은 (2010.7). 박물관 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 지각 및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전주시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학회 전북 학술발표대회, 171-182. Lim, Ji-Eun (2010, July). A Study on Service Quali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by Types of Museums: Focusing on Jeonju Tourist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Tourism Sciences Society of Korea, Jeon-Buk, 171-182.
  20. 전북역사문화학회, 신평생활사박물관 (2007). 신평생활사박물관 소장유물도록. 임실: 임실군. Chonbuk Na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Society & Life History Museum of Shin-Pyeong (2007). List of artifacts owned by Life History Museum of Shinpyeong. Imsil: Imsil-Gun.
  21. 정재훈, 이경훈 (2004). 박물관 관람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6), 109-116. Jeong, Jae-Hoon & Lee, Kyung Hoon (2004).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Visitors' Satisfaction in Museu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6), 109-116.
  22. 현문수, 김동철 (2013).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36, 195-231. Hyun, Moon-Soo & Kim, Dong-Chul (2013). A Study on Developing Archival Contents for Documenting Local Historical Charact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36, 195-231.
  23. 국가기록원. 검색일자: 2015. 2. 23. http://www.archives.go.kr